-
-
변신 ㅣ 일러스트와 함께 읽는 세계명작
프란츠 카프카 지음, 이재황 옮김, 루이스 스카파티 그림 / 문학동네 / 2005년 7월
평점 :
아무리 책읽기를 게을리한 문외한이라도 '프란츠 카프카' 라는 이름은 누구나 한번 쯤 들어봤을 정도로 그의 명성은 상당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이제야 그의 작품을 제대로 접했다.
지방 보험국 직원으로 근무하며 41세에 폐결핵으로 생을 마감할때 까지 한번도 프라하를 떠난적이 없다는 그의 히스토리를 보니 <변신>이란 작품은 어쩌면 나름의 독특한 고립된 생활이 그로테스크한 상상력을 발휘하도록 영향을 미친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
어려서는 모기처럼 부모님의 피를 빨아서 간신히 생명을 유지하고 자신을 지킬 힘도, 돈을 벌 능력도 없는 무능한 존재처럼 느껴졌기에 어른이 되어 처음으로 받은 월급은 가족에 대한 경제적 원조 가능성 뿐 아니라 독립된 인격체로써의 자존감을 갖게 해준 금전 이상의 의미였다. 그래서 문제가 생기면 당연히 가족을 도왔고 그렇게 할 수 있기에 다행이었으며 그렇게나마 보탤 수 있다는 것에 감사했다.
그러나 그 뿌듯함과 감사함이 부담감과 의미상실로 변이하며 다른 가치를 찾지못하고 스스로 제한되며 고립될때 우리는 <변신>의 '그레고르' 처럼 관습적인' 돈벌레' 가 되어버리고 만다.
인간적인 대화나 따뜻한 교감이 결여된 일상속에서 자본주의 원리에 충실한 조직에 몸담고 경제적인 가장의 역할을 하며 무미건조하게 살아가는 그의 삶이 참으로 황폐하다.
생존 본능만 남겨진 '벌레'로의 변신은 어쩌면 그가 지친 일생의 탈출구나 도피처로 무의식중에 소망해왔던 것은 아닌가 느껴지기도 하다.
돈벌이로써의 가치를 상실함과 동시에 더이상 '아들'이 아니고, '오빠'가 아닌 '그것'이 되어 버린 '그레고르'는 또 다른 존재감(?)으로 그동안 발현되지 못한 여동생의 책임감과 아버지의 가장으로써 능력을 회복시켜주기도 한다.
어쩌면 그가 자신의 자아보다 가족을 위해 의무적으로 행했던 그 역할이 진짜 '돈벌레'가 아니었을런지.
그리고 그 번잡스러운 인간의 모습을 탈피하고 실제 '벌레'의 모습으로 변신했을 때에서야 비로서 자신의 본능과 감정에 충실할 수 있는 존재로 각성된것 아닐까.
<변신> 이라는 책은 여러 출판사에서 출간하고 있지만 이 <문학동네>의 작품은 결코 가볍게 볼 수 없는 그림들을 여백과 함께 채움으로써 오묘하고 야릇한 분위기를 느끼게 하고 상상력을 최대치로 끌어올리며 서글프고 씁쓸한 공감을 이끌어 낸다.
또한 어느 순간 '벌레'로 변해버린 '우리'와 같은 존재 = 그레고르의 이 기괴한 이야기는 카프카의 유니크한 창작력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하며 그의 또 다른 세계에 손길이 가도록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