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기숙사에서 시가전차를 타고 네 정거장 (8분),
도보로 25~30분 걸리는 거리에 우리 학교가 있습니다.
정류장에서 내리자마자 보이는 이 건물이 바로!
...우리 학교?
...였으면 좋겠지만,
...여기는 신시청입니다.
규모면에서는 독일에서 제일 큰 시청 중 하나라고 생각됩니다.

신시청의 맞은편으로 고개를 돌리면
그에 맞서 조금도 위축되지 않고 위풍당당하게 서있는 이 건물!
여기가 우리 학교?
...역시 아니고,
...여기는 법원입니다.
법원 앞으로 구불구불 펼쳐진 넓은 잔디,
졸졸 흐르는 인공 냇물과 힘차게 물줄기를 뿜는 분수대를 지나서 등교하지요.
오늘은 이곳에서 벌거벗은 아가들이 물놀이를 하고 있었답니다.
법원 건물과 잔디밭 사이로 난 골목으로 들어가면
이 건물 바로 뒤에 우리 학교가 있습니다.

여기가 우리 학교?
예! 드디어 도착했습니다.
이상 학교에 처음 가본 날, 제 마음 속에서 일어났던 경로였습니다.

우리 학교의 정문 전면이예요.
창문에 푸른 하늘이 담길 때의 색이 참 예쁘다는 생각을 합니다.
우리 학교에는 총 4개의 학과가 있습니다.
그래픽 디자인 및 북아트 학과, 사진학과, 회화과, 미디어 예술학과.
물론 각 학과에서 세부 전공은 지도교수별 총 15개로 나뉩니다.
전반적으로 시각 예술 위주인 학교라고 할까요.
그래픽 디자인 및 북아트, 사진 분야에 관해서는
독일 내에서의 공신력을 인정받고 있지요.
사진학과는 이미 19세기에 독일 최초로 창설되었습니다.
사진이 예술이냐 아니냐를 논하고 있던 시절,
이미 대학에 학과를 설치했다는 사실은 확고한 신념을 보여주는 대목이겠지요.
저도 기회가 되면 사진학과의 수업도 들어보고 싶습니다.

정문 위로 큼직하게 써있는 이름이 우리 학교의 정식 명칭이지요.
'그래픽 및 북아트 대학 (Hochschule für Grafik und Buchkunst)'
학문 및 상업, 서적 및 출판의 도시 라이프치히 미대다운 이름.
북아트가 중요하긴 하지만
이것은 이 학교에서 가르치는 교육의 극히 일부분에 불과합니다.
그래서 영문 명칭은 독일어 정식 명칭과 달리
'라이프치히 시각 예술 대학 (Academy of Visual Arts Leipzig)'라고 명명한 듯 하네요.
괴테가 우리 학교에서 스케치를 배웠으며,
그가 이탈리아 등을 여행하면서 그린 데생 실력은 여기 기인합니다.
괴테는 자서전 '시와 진실(Dichtung und Wahrheit)'을 우리 학교에 헌정한 바 있지요.

학교 안으로 들어가서 창 밖을 바라보면,
이렇게 교정의 안뜰이 보입니다.

우리 학교의 내부.
4층 건물에 옥탑층과 지하 작업실까지 총 6개의 층이 있습니다.
까만 옷 입은 남자 둘이 난간에 팔을 괴고 있는 곳이 3층이고,
바로 그 아래 보이는 2층의 까맣고 큰 문이 우리 클라스 강의실이예요.
사실 이제까지는 이 모습도 그저 괜찮다고 생각했답니다.
그런데 오늘, 학교 도서관에서 우연히,
20세기 초 우리학교의 모습을 담은 사진들을 발견했어요.
그리고는 이곳이 1900년경에는 이런 모습이었다는 사실을 새로 알게 되었죠.
사진 학과가 일찌기 개설된 학교라 이런 사진들이 남아 있는 모양입니다.
대출불가한 책을 급히 찍은 것들이라 컬리티가 많이 떨어지는 점을 감안해서 봐주세요.

이렇게 장식되어 있었을 거라고는, 생각도 못했습니다.
매우 신경 쓴 실내였군요.
괴테 시대에는 또 어떤 모습이었을까요?
보지 않았으면 모르되, 일단 보고 나니까, 웬지 속상합니다.
지금 모습에 이제까지는 별 불만 없었지만,
지금도 저런 모습이라면 근사할텐데 하는 아쉬움이 자꾸 드는 건 왜일까요.
관리 좀 잘 하지...
전쟁과 분단, 사회주의를 겪지 않았다면
이곳 라이프치히는 어떤 모습이었을까, 가끔 상상해 봅니다.

100여년 클라스 내부 모습도 한번 보실래요?
회화과 학생들의 아뜰리에입니다. 1910년경이라고 하네요.
실험 가운같은 걸 입은 학생들도, 왠지 지금보다 더 멋지군요.
멀리 모자 쓴 모델 주목~

여기는 교내 인쇄 실습실. 1925년경.
실습실은 예나 지금이나 아주 다르지는 않은 것 같고요.
다시 시간 감각을 챙겨서, 2004년 7월으로 돌아가 볼까요?

이날은 석사 학위 수여식이 있는 날이라 학교에 활기가 넘쳤습니다.
정장 입은 외부 인사들도 학교에 많이 보였구요.
학위 수여식과 동시에 졸업전시회를 오픈합니다.
아직 학업도 시작 안 했는데 웬지 졸업하고 싶어지더군요.
석사(Diplom) 학위 수여식과 박사(Meister) 학위 수여식은 각각 다른 날 거행됩니다.
학위 수여식과 함께 졸업전을 오픈하지요.
석박사 졸업전, 룬트강이라는 전시회 시즌이 오면
이렇게 지역 방송에서 취재를 나와서 뉴스로 내보내기도 합니다.
21세기다운 변모이지요?
볼거리 많은 실습실 구경은 다음을 기약하고,
학교 밖으로 다시 나가볼게요.
날씨가 좋거든요.

학교 옆 나무 그늘이 드리워진 이 길이, 저는 무척 마음에 듭니다.
여름인데도 가을의 냄새가 나서 개인적으로 '가을길'이라 부른답니다.
가을이 오면 정말 운치있을 것 같아요.
이 작은 골목을 사이에 두고 미대와 음대가 맞은 편에 나란히 서 있습니다.
'펠릭스 멘델스존 바르톨디' 음악 연극 학교.
그러고 보니 고등학교 이후부터 항상
음악하는 학생들 연습 소리가 들리는 학교에서 공부했다는 사실을 상기하게 됩니다.
이 점은 제게 여전히 반가운 환경이지요.
오른쪽으로 보이는 건물이 바로 음대랍니다.작성자 : 유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