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칼의 노래 (1.2권 합본) - 우리 소설로의 초대 4 (양장본)
김훈 지음 / 생각의나무 / 200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김훈씨의 처녀작.
장편 한 작품과 단편 한 작품으로 동인문학상과 이상문학상을 받은..
최근 노무현씨가 탄핵정국 때 청와대에서 읽었다는 이유로 더 유명해졌다.
아마 나도 그래서 읽게 된지도.
과연 그는 김훈이 담아낸 임금의 입장과 마음에서 무엇을 보셨는지...?
그 스스로는 백성을 죽여서 자신을 살리는 대통이 될 것인지, 자신이 살기위해 백성을 살리는 대통령이 될 것인지, 혹은 백성을 살리기 위해 스스로가 죽고 사는 대통령이 될 것인지. 백성들이 스스로 살기 위해 구해드렸으니 남은 기간은 좀 잘해보시길..
10장만 읽어도 감탄이 절로 나온다.
정말..........이 사람.
어떻게 이렇게 글을 쓸 수가 있지?
읽는 내내 그 장려한 문체에 입을 다물지 못했다.
우리 말로 이런 지경의 표현이 가능하단 말인가...
지금까지의 그 어떤 소설과도 비교할 수 없는 글들이다.
이 사람은 도대체 무엇을 먹고, 어떤 휴식을 취하며 누구와 어떤 대화를 나눌까.....
어떻게 사는 사람이면 그 나이에 이런 감성을 가질 수 있는 거지?
풍부한 어휘력, 놀라운 상상력, 탁월한 은유와 비유, 여성스러운 섬세함, 숨막히는 열정, 질긴 탐구와 사색.
이런 이유로 읽다 가끔씩 아득해지며 어지럽고 심장이 두근거리고 말문이 탁탁 막히기도 한다.
이 장려한 문체로 인해 오히려 술술 읽어지지는 않는다.
대하소설의 재미를 바래서는 안된다.
하지만 칼의 노래는 우리말의 심연을 감상하며, 삶과 죽음에 대한 사색을 작가와 같이 하며 읽어야 하는 책이다.
그리하여 오히려 느리게 읽어야 진가를 느낄 수 있을 듯 싶다.
집필 전에 들은 시간과 노력, 그리고 온전히 이순신이란 한 인간이 되어 숨쉬고 사고하였기에 아마도 칼의 노래가 탄생하였을 것이다.
그의 이 집요함에 갈채를 보낸다.
소설임에도 소장가치가 충분한 책이다.
보통의 시보다도 더 시적이므로.
* 칼의 노래 훔쳐보기
-아마도 내가 알 수 없는 뼛속의 심연에서, 징징징, 칼이 울어대는 울음이 들리는 듯했다.
-모든 죽은 자는 모든 산 자의 적인 듯도 싶었다.
-칼이 닿지 않고 화살이 미치지 못하는 저쪽에서, 세상은 뒤채이며 무너져갔고, 죽어서 돌아서는 자들 앞에서 칼은 속수무책이었다. 목숨을 벨 수는 있지만 죽음을 벨 수는 없었다.
-그 소통되지 않는 고통과 무서움의 운명 위에서, 혹시라도 칼을 버리고 적과 화해할 수도 있을 테지만 죽음은 끝내 소통되지 않는 각자의 몫이었고 나는 여전히 적의 적이었으며 이 쓰레기의 바다 위에서 나는 칼을 차고 있어야 했다.
-살아 있는 아픔이 살아 있는 몸 속에 박혀 있었으나 병의 실체는 보이지 않았다.
-임금의 울음은 뼈가 녹아 흐르듯이 깊었다.
-지나간 모든 끼니는 닥쳐올 단 한 끼니 앞에서 무효였다.
-삶은 집중 속에 있는 것도 아니었고 분산 속에 있는 것도 아니었다. 모르기는 하되, 삶은 그 전환 속에 있을 것이었다.
-북에는 날개의 환상이 담겨 있었고 노는 물에 잠겨 있었다.
-그들을 울게 하는 죽음이 그들 모두에게 공통된 것이었다 하더라도 그 죽음을 우는 그들의 울음과 그 울음이 서식하는 그들은 몸은 개별적인 것으로 보였다.
-그 빈 공간과 빈 시간 앞에서, 내 허리에 매달린 칼의 허망을 나는 견딜 수 없었다.
-무술년의 가을은 여름을 칼로 끊어내듯이 들이닥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