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년 7월 독서정산


1. 밀란 쿤데라 저, "소설의 기술", 민음사(2013), 완독 


쿤데라 소설을 읽기 전에 봤으면 좋았겠다 싶었다. 추상적이고 난해할 수 있는 그의 소설에 대한 길잡이 역할이 가능한 책이어서 그렇다. 그가 생각하는 소설의 정의, 윤리와 기능을 엿볼 수 있었고 그가 소설을 통해 하고자 했던 말이 무엇인지, 왜 그렇게 소설을 썼던 건지 어렴풋이 알 수 있었다.

한편으로는, 이런 '앎'을 통해 어릴 적 그를 향해 막연하게 가지고 있었던 환상이 많이 사라졌다. 이제는 이해할 수 있는 존재로 다가오기 때문일까, 그가, 그의 소설이. 아니, 이해할 수 있다는 말은 다시 읽어보니 웃기다. 쿤데라는 실존적 상태만을 묘사하려고 했을 뿐, 그 부조리와 애매모호함을 구체적인 현실 속에서 견뎌내야만 하는 건 결국 나라는 사실을 절실히 깨달았기 때문일 테다. 결국, 아무것도 해결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구체적인 맥락을 떠나서는, 아무것도 해결되지 않기 때문이다.


한 달을 돌아보며


1. 바빴다. 바쁜 만큼 퇴근 후 퍼졌고, 도파민에 전 현대인 답게 퍼진 시간에 휴식을 취한 게 아니라 핸드폰을 무엇보다 많이 찾았다. 많이 찾아야 할 건 책이었는데 말이다. 말의 목을 잘라낸 김유신처럼 과감한 결단을 통해 좋지 않은 습관을 없애고 싶은 욕망이 강한 요즘이다. 대학생 때 조금이라도 핸드폰에 신경을 쓰는 게 자각 될 때면 카카오톡을 한 달 지우고 살기도 했는데, 그때의 내 모습이 조금은 그립다.


2. 쿤데라를 읽자고 다짐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그의 부고 기사가 났다. 워낙 베일에 쌓여있던 사람인 데다가 장수까지 한 탓에 별다른 느낌은 없었다. 좋게 살다 갔을까, 죽기 전에 삶이 후회되진 않았을까, 세상을 떠나가던 순간에 그의 곁에는 누가 있었을까, 구체적으로 어떤 인간이었을까, 란 몇 가지 호기심 어린 질문이 지나갔을 뿐이었다. 몇 달 전에 아리안 슈맹이 쓴 "밀란 쿤데라를 찾아서"란 책을 도서관에 신청해 도착했는데 아직 빌려보진 못했다. 개인적으로 쿤데라라는 인간과 관련된 책이 더 나왔으면 좋겠다만, 소설이 작가와는 독립된 작품으로서만 인정받길 바랐던 그의 바람을 생각해보면 흠... 뭇사람이 왈가왈부하지 않고 쿤데라라는 사람 자체는 잊어주길 바랐을 사람이니까.


3. 어느 군 부대의 비서실에서 일하던 나는,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이라는 기이하고도 현학적인 제목에 매력을 느껴 사령관실에 책장에 꽂혀있던 진중문고본을 손에 쥐고 한참을 쳐다봤다. (주말에 청소를 하러 나왔을 때였다) 첫 페이지에 등장하는 영원회귀라는 개념을 더듬거리며 좇다가 한동안 니체에 빠졌던 기억도 난다. 물론 책도 쭉 다 읽어버렸고. 나는 당시 왜 쿤데라 소설에 기묘한 감정을 느꼈을까, 그리고 왜 빠져들었을까. 앞서 언급한 막연한 환상(현학적인 개념에 취해)의 영향도 있었지만, 무엇보다 실존적 갈망을 소설에 투사한 영향이 가장 컸던 것 같다. 그래야만 한다는 당위의 세계(나를 짓누르는 책임과 도덕의 세계)에서 벗어나 자유로워지고 싶다는 욕망.


8월에 읽고 싶은 책


The Order of TIme은 계속 읽고, 오랜만에 쿤데라의 참존가를 읽을까 싶기도 하다. 일단 소설의 기술 발췌를 해야 하긴하는데. 붓다 브레인을 조금씩 읽고 있고 보통의 불안도 완독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