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엔진 네이버(naver)에서 리움을 타이핑하면 백과사전에 이런 설명이 나온다.
삼성문화재단이 도시·건축·자연이 어우러진 공간 속에서 예술·인간·문화가 서로 만나 대화하며,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넘나드는 새로운 문화예술의 지평을 제공할 목적으로 2004년 10월 19일 문을 열었다. 리움은 설립자의 성(姓)인 'Lee'와 미술관을 뜻하는 영어의 어미 '-um'을 합성한 것이다.
^^;;; 오늘 그곳에 다녀왔다. 옛날에 광고 일할 때 호암미술관에 다녀온 적이 있는데, 이곳은 그 차세대 버전쯤 되는 셈이다. 워낙 삼성가에서 모아둔 국보급 미술작품들이 많기 때문에 여러 전시회에서 우연치 않게 마주치게 되곤 하여 몇몇 작품들은 낯이 익지만, 지난 2004년 건립된 이후 하루 관람 인원을 한정했다거나 미리 예약을 해야 가볼 수 있다거나 하는 이야기를 들어 '어허, 거참 사회공헌도 럭셔리하게 티내면서 한다'는 생각이 들어 내 돈내고는 절대로 가지 않겠노라 다짐한 적이 있다. 뭐, 공짜로 볼 수 있는 기회까지 피할 만큼의 각오는 아니었고, 일 때문에도 피할 수 없는 상황이라 오늘 리움미술관을 관람하고 돌아왔는데...
참 알짜배기들을 잘 모아두었다는 것이 나의 감상평이다. 알프레드 쟈코메티, 한스 아르프, 뒤뷔페, 요셉 보이스, 박생광, 박수근, 장욱진, 이중섭, 권진규의 대표작들을 실물 그대로 볼 수 있는 경험이 어디 흔한가 말이다. 청전과 소정의 그림들, 장승업과 김홍도, 정선의 금강전도, 아름다운 백자호를 감상하는 건 문화적 사치도 이만저만한 것이 아니지만 하여간 눈요기는 실컷하고 돌아왔기 때문에 요며칠동안 무척이나 행복할 것 같다.
다만, 오늘 동행한 일행 중에 시인 박형준 선생의 표현을 빌자면 리움은 설립자의 성(姓)인 'Lee'와 미술관을 뜻하는 영어의 어미 '-um'을 합성한 것이 아니라 '이씨네 움막집' 의 약자란다. 그 말을 듣고나니 잘 차려입은 정복의 경비원들과 여기저기 안내 겸 감시원 겸 배치된, 머리를 단정히 묶었으나 그만큼 단호해 보이는 여직원들 틈바구니에서 관람하느라 쌓였던 체증이 확 내려간듯 약간 통쾌해졌다. 원래 전시회나 미술관 관람한 뒤엔 꼭 도록을 구입했는데, 이번엔 그냥 나왔다. 그나저나 벌써부터 그 작품들이 눈앞에 삼삼하니 미칠 지경이다. 누가 공짜로 또 안 보여주려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