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서양건축기술사
로버트 마크 외 / 경남대학교출판부 / 1999년 5월
평점 :
절판


시중에 나와있는 많은 건축 관련 역사서(특히 서양건축을 대상으로 한)를 하나하나

 살펴보다 보면, 하나의 편향된 모습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그것이 번역서든 국내의 저서든, 역사를 건축 양식(style)적 측면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고

 그것을 실제로 '만들기'위해서 어떤 지식과 기술과 방법이 필요했던지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고 있습니다. 양식이란 것은 물론 건축을 설명하는 데-특히 역사적 서양건축을 설명하는  데-

 매우 중요한 스펙트럼이긴 하나, 건축은 '건축물'이라는 실재에 관련한 모든 행위와 산물

 을 얘기하는 것이니, 건축역사책 역시 실재하는 건물에 관한 혹은  실제로 지어지는

construction의 사실에 관한 이야기를 하거나, 적어도 그런 측면에서 이해를 기본적으로 바탕

에 두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 책 [서양건축기술사]는 바로 위와 같은 역사적 건축물의 실제적 측면(즉 '만들기'의 측면)

을 다룬 흔치않은 책입니다. 경남대학교 출판부에 출간되었고 매체에서 크게 보도한 적이

없어서인지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서양건축 양식사를 다룬 많은 책들에서 느꼈던 왠지모를

공허함(사실 당연한 것이지만)을 잘 메꾸어줍니다.

물론 건축, 특히 성당과 같은 서양의 역사적 건축물들이 어떤 기술적 토대로만 얘기되는 것

역시 편협한 말이지만(목적과 수단을 혼동하면 안되겠습니다), 그렇다고 아미엥성당과

같은 거대건축물이 신을 향한 염원과 기도, 그리고 틀지워져있는 양식으로 종이접기 하듯이

세워졌다 말할수 없는 것은 그것이 단지 몇 마디 추상적인 문장 몇 개로 설명되기에는

너무 현실적인 물체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 건물들을 만들기위해 얼마나 많은 인력

과 얼마나 많은 재료와 또 과거 얼마나 많은 시행착오(구조적 안정을 계산으로 산출하지 못하

고 경험적으로 실험해 볼 수 밖에 없는 시대니 크고 작은 사고가 빈번했고 인명의 희생 또한

적지 않았습니다)가 일어났는 지를 염두에 두고 건축역사의 의미와 가치를 판단하는 것이

역사적 건축물을 공부할 때 중요한 자세이고 이 책은 그런 측면에서 매우 큰 도움을 줍니다.

서양건축사를 공부하는 분들에게 일독을 권합니다.

 

- 원제: Architectural Technology up to the Scientific Revolution

(The Art and Structure of Large-Scale Building)/ © 1993 MIT / by Robert Mark

 

My blog=http://blog.naver.com/wellbau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건축설계 이야기 1
권도웅 지음 / 기문당 / 1999년 1월
평점 :
절판


한 때 정림건축의 사장으로도 계셨던 권도웅씨의 저작입니다. 현재 2권까지 출간되었습니다.

 첫 직장인 정림건축에서 30년을 넘게 근무하셨다는 사실 만으로도 어떤 '집념'같은 걸

 느낄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이 책(들)은 크게 1,2부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1부는 건축 및 설계

 에 대한 총론적 내용이 있고 2부는 설계 자체에 대한 각론적 얘기들이 있습니다.

 실제 설계 시 바로 적용 가능한 유용하고 실제적인 지식들로 가득하고 오랜 경험에서

 우러나온(그야말로) 실무형 건축가의 조언들이 교훈적입니다.

 이제 막 건축 실무를 준비하는 분들과 바쁘게 도면 그리느라 설계 방법/원리 자체에 신경을

 잘 못쓰는 설계사무실 초년병에게 특히 좋은 책이라고 생각됩니다.

 일독을 권합니다. 

 

My blog=http://blog.naver.com/wellbau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네기 인간관계론 (반양장)
데일 카네기 지음, 최염순 옮김 / 씨앗을뿌리는사람 / 2004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나이가 어릴 때는 어린대로, 나이가 많을 때는 또 많은대로,

이 인간사회에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 지 나름의 올바른 방법을 모색하게 됩니다.

소위 '자기계발서'라는 인터넷책방의 카테고리에 묶여있는 많은 책들이 그런 노력에

화답하기도 하고, 또 한편으로 찬물을 끼얹기도 합니다.

데일카네기(Dale Carnegie)란 서양사람이 쓴 [How to win friends & influence people]

(역: 카네기 인간관계론)은 1937년에 초판이 나온 이후로 전 세계에서 성경 다음으로

많이 팔린 책(논픽션 부분)이라고 합니다. 정말로 놀라운 건 이 책이 그렇게 많이 팔렸다는

사실이 아니라, 그 정도로 많이 팔린 책이 처세술을 소재로 한 것이란 사실입니다.

우리 인간은 어떻게 하면 남과 잘 지낼 수 있을 지에 대해서 정말이지 굉장한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 그만큼 인간이란 실존은 외롭다는 사실의 반증이기도 하겠습니다.

워낙에 잘 알려진 책이고 아마 많은 사람들이 읽었으리라 예상되기 때문에 별로 특별한

리뷰가 되지는 못하겠지만, 책의 핵심은 '진심'이란 키워드 하나로 모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평생동안 '나'라는 닫힌 세계에서, 내가 중심이 되는 세계에서, 반드시 벗어나

'남'을 생각하기 시작하는 것-진심을 담아서 남에게 관심을 가지는 것.

이것이 좋은 인간관계, 좋은 세상, 행복한 삶의 근본이라 얘기하고 있습니다.

돈이 많지 않아도 권력이 없어도 소위 빽이 없어도 세상의 1% 미만의 특별한 삶을 살 수

있지 않겠습니까. 세상 사람의 99%는 자기 밖에 모르고 자기 말만 하는 입만 가졌고,

나머지 1%만이 자기보다 남을 생각하고 자기 이야기보다 남의 말을 들을 수 있는 귀를

가지고 있으니까요.

우리가 입보다 귀를 선택한다면 곧 세상 1%의 인류가 될 수 있는 것입니다. 그 사실을

스스로 정리할 수 있었다는 사실 하나 만으로도 이 책에 올인-충분히-할 수 있습니다.

 

My blog=http://blog.naver.com/wellbau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튼튼하고 아름다운 건축시공 이야기 튼튼하고 아름다운 건축시공 이야기 1
김광만 외 지음 / 발언(건설기술네트워크) / 1999년 10월
평점 :
품절


 건축실무를 적지않은 시간 동안 해 오면서 항상 아쉽고 부족했던 부분은 '건설/시공' 즉

 현장경험에서 얻게되는 지식들인 것 같습니다. 감리를 할 수 있다면 그런 결핍을 어느정도

 보충할 수 있겠지만 설계와 감리가 별개처럼 돌아가는 조직 속에 있다보면(국내 설계사무실

 이 다 그렇지는 않겠지만), 소위 출장감리 외에는 현장을 접할 기회가 거의 전무하다시피 한

 실정입니다(아마 국내의 많은 중대형 설계사무실들이 이런 상황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함인선씨로 기억됩니다. [Tectonic Studio]라는 책에서 "설계와 건설을 통합하여 다시 르네상

 스적인 마스터 빌더가 되는 일이 바로 건축가의 몫이다"라고 주장한 사람이.

 그는 이제 새로운 시대의 건축가는 단지 도면 만을 그리고 건설과정에서 배제되어 있는 사람

 이 아니라, 부재의 생산 및 조립까지 제어하는 강력한 컴퓨터 툴로 무장한 설계와 건설의 통합

 지휘자다라는 요지의 얘기를 한 것 같은데, 이것은 건축가의 생산품이 도면이 아니라 건축물

 이어야 한다는 당연한 얘기-그러나 현실의 실무에서는 겉돌고 있는-를 강조한 것입니다.

 함인선씨의 말처럼 그렇게 앞으로 건축실무의 모습이 변할 지 어떨 지는 좀더 두고봐야겠지만

 (언제나 시스템의 변화에 관한 문제는 더디고 쉽지 않으니까요, 소위 관성이란 게 있습니다),

 설계자가 건설/시공에 관한 얼마 간의 지식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실제 실무를 하다보면

 절실히 느끼게 되는 사실입니다.

 근간 이런 류의 지식들을 잘 선별된 사진과 도판으로 매우 훌륭하게 설명해주고 있는 책들이

 많이 나왔습니다. 현업에 있는 사람으로서 무척 반가운 일이고 앞으로 이런 책들이 지속적으

 로 나와서 간접경험의 절대량을 늘여주길 기대합니다.

 [건축시공이야기]는 현재 1~3권까지 출간되었습니다. 1권은 영락교회 50주년기념관

 2권은 대한예수교 장로회 수영로교회 3권은 코오롱트리폴리스를 각각 사례로 하여 관련

 시공기술 및 건설일지류의 내용들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저자들은 시공건축기술사 및

 협력업체들로 공동 저작되었습니다. 다소 내용이 전문적인 것들이 많아 일반인들이 읽기

 에는 무리가 있으며, 설계사무소 직원들 중에서도 몇년 경험이 안되시는 분들에게는 손쉽게

 읽혀지지는 않습니다. 비교적 어려운 내용일 수도 있지만 실제 공사 현장에서 어떻게 시공을

 하고 어떤 어려움과 해법을 가지고 풀어나가는 지를 이해할 수 있고 설계시 참조점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일독을 권합니다.

 

My blog=http://blog.naver.com/wellbau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