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책을 읽자 아이들을 읽자
최은희 지음 / 우리교육 / 2006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나름 그림책을 많이 봤다고 자부하는 내가 아직까지 모르고 있는 좋은 책을 만나 볼 욕심으로 고른 책이기에 솔직히 차례를 보고 적지 않은 실망을 했다.

이미 집에 있거나 아니면 도서관에서 빌려 본 책이 대부분이라 새로운 책을 만나지도 못할 것 같고, 지금도 꾸준히 내 아이에게 그림책을 읽어주고 있는 데 뭐 특별하게 건질게 있으랴하는 건방진 생각이 먼저 들었다.

다시 앞으로 넘어가 여는 글을 읽으며 글을 쓰신 분이 현직 초등학교 교사라는 사실과 반 아이들에게 직접 그림책을 읽어준 내용을 이야기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처음엔 국어 수업을 좀 더 재미있게 해 보려는 욕심으로 시작하셨다는 솔직한 말씀 뒤에 아이들이 그림책을 보면서 쏟아내는 마음속 이야기를 집어내는 선생님의 모습이 눈에 그려져 기대감이 생겼다.


학원은 이곳저곳 안 보내도 책만큼은 신경 써서 읽힌다는 것 하나로 좋은 엄마라고 스스로 위로하고 살고 있는 나에게 선생님의 그림책 보여주기는 큰 충격이었다.

밤이면 두 아들 녀석 양옆에 눕히고 불편한 자세지만 행복하게 읽었는데 내가 했던 여러 행동들이 얼마나 잘 못 되었는지 반성하게 했다.

각자 한두 권씩 빼오는 책을 읽기 시작하면 눈은 더 말똥말똥해지고 손은 자꾸 그림을 짚어가고 입은 쉴 새 없이 질문을 해대면 참지 못하고 책을 덮곤 했었다.

아이들은 근질거리는 손과 입을 가만두고 제 어미가 읽어주는 책을 들으며 잠이 드는 그 모습을 보며 얼마나 흡족해 했던지.......

참 어리석었다는 생각이 든다.

좀 천천히 읽더라도 아이들이 그림을 보게 가만두는 건데 하는 후회가 밀려 왔다.


스물 몇 명 되는 아이들을 가까이 앉히고 봄부터 시작해 겨울까지의 한 학년 동안 그때그때 상황과 아이들의 변화에 따라 책을 고르시는 선생님의 모습에서 아이들을 사랑하는 마음이 그대로 전해져 오는 듯 했다.

그리고 내가 아이들에게 수없이 읽어주면서도 놓쳤던 중요한 그림 속  숨은 그림과 이야기들을 찾아낼 수 있었다.

아이의 말을 믿지 못하는 나를 꾸짖는 책인 “지각대장 존”은 이미 우리 아이들의 베스트셀러이기도 하지만 아들들이 차마 나에게 말하지 못했던  마음의 소리를 들을 수 있었다.

그리고 선생님이 그러하셨듯이 스스로에게 “나는 다시는 아이들 말을 의심하거나 내 눈높이로 아이들 마음을 재지 않겠습니다”라고 소리 내 읽어보게 했다.

그리고 무섭고 두려워 피하고 싶었던 이야기였기에 우리 아이들에게 읽혀주고 싶지 않았던 <가족 앨범>과 <슬픈 란돌린>을 읽어줄 수 있을 것 같은 자신감이 생기기도 했다.

 

올해 일학년이 된 둘째는 큰 애보다 항상 아기 같아 아이가 학교생활에 잘 적응할까 걱정이 되기도 했고  선생님이 좋은 분일까 불안하기도 했다.

3월 내내 “우리들은 1학년” 책만 가지고 다니던 아이가 어느 날은 책꽂이를 뒤져 책 한권을 빼들고 나와서는 선생님이 읽어주신 책이라고 자랑을 했다.

<나도 이제 1학년(시공주니어)>라는 책이었다.

아이들에게 꼭 맞는 책을 골라 읽어주신 선생님이라면 입학식 때 먼발치에서 뵌 모습에 대한 기억과 함께 알 수 없는 믿음이 밀려 왔다.

4월이 되었어도 선생님은 가끔이지만 그림책을 읽어주시고 집에서 읽은 책제목과 느낀 점을 한줄 씩 써오라는 숙제를 내주신다.

우리 아이 선생님이 아이들에게 책 읽어주는 모습을 직접 보지는 않았지만 그 모습이 눈에 그려져 학교에서 돌아오는 아이를 붙잡고 맨 먼저 묻어보는 건 선생님이 읽어주신 책 이야기이다.

그리고 우리 둘째가 진정으로 복 받은 아이라는 생각을 한다.

오늘 밤도 잠들기 전 들고 온 책을 오랜 시간에 걸쳐 읽느라 보통 때의 잠드는 시간을 훌쩍 넘기고 많았다.

쉴 새 없이 재잘대는 아이들의 이야기를 끊을 수가 없어 가만히 들어주다보니 어느 새 글자가 아닌 그림을 보고 있는 우리를 발견하게 되었다.

그리고 아이들의 마음을 들여다보는 기술을 터득할 수 있을 것 같은 자신감이 생기기도 했다.

많이 읽혀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아이를 힘들게 했던 엄마가 아닌 천천히 마음으로 읽는 법을 배운 엄마로 책읽기를 시도할 수 있을 것 같아 마지막 책장을 덮으며 행복해 졌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ooninara 2006-04-12 10: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늘 신문기사에서 봤어요. 저도 아이들 책 안읽어주는데..다시 읽어줘야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