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한 만화 교과서 고사성어편 - 초등학교 선생님이 직접 쓴 똑똑한 만화 교과서
고성욱 지음, 우지현 그림 / 북스캔(대교북스캔) / 2005년 11월
평점 :
품절


 

요즘은 아이가 유치원만 다녀도 기본적인 한자 몇 가지는 알게 된다.

특별히 유치원에서 수업을 듣지 않더라도 만화로도 만날 수도 있고, 학습지로도 만날 수 있는 게 한자다.

우리 아이들도 어려서부터 한자를 보아온 터라 어려운 글자라는 느낌보다는 그림글자로 느끼는 듯하다.

그래서인지 곧잘 읽기도 하고 쓰는 것도 그림을 그리듯 뚝딱 써내기도 한다.

내가 한자를 처음 배웠던 건 중학교에 들어가서였고, 지금처럼 쉽고 재미있는 교재도 없었다.

수업은 연세가 꽤 있으신 할아버지 한문선생님께서 칠판에 빼곡하게 한자를 써 놓고 음과 뜻을 달아주는 게 전부였다.

한자를 왜 배워야하는 지도 모르고, 어디에 사용할 수 있는지도 모른 채 그저 마지못해 받던 수업이니 재미있을 리  만무했다.

그래도 가끔씩 듣던 사자성어 이야기는 아직도 기억에 남는다.

“옛날 중국에”라고 운을 떼시면 졸리던 눈도 초롱초롱해지고 어느 수업시간보다도 말똥해지곤 했었다.


‘고사성어는 우리의 일상생활을 윤기 있게 하고 언어 표현을 풍부하게 해 주는 언어의 보물창고입니다.’라는 머리글에서도 알 수 있듯이 고사 성어는 한자의 음과 뜻을 아는 것에서 끝나지 않고 실생활에서도 유용하게 쓸 수 있다.

<초등학교 선생님이 직접 쓴 똑똑한 만화 교과서 고사성어편> 역시 속담편과 마찬가지로 아홉 개의 마당으로 각각 나누어져 있고, 모두 200여개의 고사성어가 수록되어 있다.

각 고사성어에 관련 교과도 따로 표시되어 있고 짧은 풀이와 함께 우리 생활에서 사용되는 구체적인 예를 만화로 꾸며 놓았다.

거기에 “선생님이 들려주는 고사성어 이야기” 코너는 할아버지 선생님이 옛날 옛날로 시작하던 이야기를 듣는 기분이 든다.

똑똑한 한자 풀이에서는 뜻과 음은 물론 부수와 획수까지 표시되어 옥편에서 찾아보기에도 편리하다.

한자 이야기와 비슷한 고사성어, 함께 알아둘 고사성어도 유용하게 쓸 수 있다.

거기에 재미있는 옛 이야기가  나와 있어 전래동화 한편을 읽는 것 같다.

인물 이야기와 상식 이야기도 재미있다.

<속담편>과 마찬가지로 각 마당이 끝나면 ‘숙제를 도와주는 고사성어’들이 나와 좀 더 많은 고사성어들을 만나볼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나만의 논술 노하우>에서는 고사 성어를 이용한 글쓰기의 예도 나와 있다.


일요일 낮에 아들과 늙은 어미 새에게 먹이를 물어다주는 까마귀와 관련된 반포지효(反哺之孝)편을 읽어보았다.

부쩍 말썽을 부리는 아이가 말을 잘 들었으면 하는 특별한 목적을 두고 읽기 시작했다.

먼저 아이가 만화를 읽고 다음으로 까마귀에 효성에 대해 이야기하고 ‘함께 알아 둘 고사성어’편의 풍수지탄(風樹之嘆)의 뜻을 알아보고 춘추전국시대 노나라 ‘노래자’의 이야기를 읽으며 아이의 얼굴을 살폈다.

딱히 뭐라고 말하지는 않지만 오후 내내 말썽 부리는 강도가 약해진 걸 보면 고사성어의 효과(?)를 본 것도 같다.

사실 길고 긴 학창시절에 고사성어를 다른 사람보다 먼저 알고, 많이 안다고 해서 좋아할 것도 으스댈 것도 없을 것이다.

아무리 고사성어를 많이 안다고 해도 그 숨은 뜻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바른 행동으로 옮기지 않는다면 상상안상(牀上安牀)에 지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6-02-13 12:42   URL
비밀 댓글입니다.

초록콩 2006-02-13 12: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넵^^님도 고르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