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혈귀 루디, 치과는 정말 싫어 시공주니어 문고 1단계 14
잉그리트 위베 글, 마리아 비스만 그림 / 시공주니어 / 2000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아이나 어른이나 할 것 없이 가장 가기 싫은 곳을 꼽으라면 아마도 병원일 것이다.

특히 치과는 그 중에서도 최고로 가기 싫은 곳일 게다.

나 역시 치과는 죽기보다 싫어 진짜로 이가 너무 너무 아파 도저히 견딜 수 없을 때야 할 수 없이 가는 곳이다.

대기실에 앉아 있는 순간부터 목이 바짝바짝 마르고 순서가 되어 이름이 불려지고 길고 차가운 의자에 눕는 순간 손에 땀이 나고 눈을 뜨기 힘든 밝은 빛과 귀를 괴롭히는 기계음 소리는 아무리 자주 다녀도 익숙해지지 않는 다.

아이들에게만은 튼튼한 치아를 갖게 해주고 싶어  정기적으로 치과에 데리고 다니지만 그때마다 의자에 눕히기도 힘들고 눕혔다 쳐도 입 벌리게 하기가 어려워 살살 달래기도 하고 무섭게 협박도 한다.

이가 오복(五福)중 하나라고 하지만 정말 치과 가기는 괴롭다.


밤 12시면 학교 수업이 끝나고 아침이 밝아오면 잠을 자야 하는 흡혈귀 루디도 우리 인간만큼이나 치과를 무서워한다.

아침을 먹다 송곳니가 아파 딱딱한 아몬드를 제대로 먹을 수 없었던 루디는 학교에 가서도 이가 아파 수업에 집중할 수 없게 된다.

수업이 끝나고 친구 이기트의 삼촌인 치과의사 벤노 나뚤어 박사를 찾아간다.

하지만 처음 가본 치과는 순순히 치료를 받을 수 없을 만큼 무서웠다.

박쥐로 변해 위기를 모면해 보기도 하지만 나뚤어 박사 역시 박쥐로 변신하게 되고 둘은  아침이 오는 걸 알아채지 못하고  거꾸로 매달려 그네타기를 한다.

다행히 이기트의 도움으로 정신을 차린 환자와 의사는 무사히 치료를 마치고 평안한 밤(인간세계에서는 아침)을 맞이한다.


사실 이야기의 교훈(?)은 간단하다.

“이가 아프면 망설이지 말고 치과에 가자”이다.

하지만 그 것보다 더 흥미를 끄는 건 우리와는 너무 다른 흡혈귀의 생활이다.

우리가 저녁을 먹는 시간에 그들은 아침을 먹고, 우리가 곤하게 자는 시간에 흡혈귀는 학교에 간다.

우리가 우유 한잔으로 아침을 시작한다면 흡혈귀는 우유는 맹탕이어서 아무 맛도 안난다고 생각한다.

아이들이 무서워하면서도 관심을 갖는 건 괴물이나 요괴, 귀신 등 우리 인간이 아닌 다른 생물이다.

흡혈귀 루디가 아닌 평범한 아이 루디가 등장해 이가 아파 아침을 못 먹고, 학교에서 공부도 제대로 할 수 없고, 쉬는 시간에도 놀 수 없고, 좋아하는 아이스크림도 먹을 수 없었다면  너무 평범한 일상이라 주의를 끌지 못했을 것이다.

혐오스러운 피가 나오고, 아이들이 볼 수 없는 새벽이면 활동을 하는 흡혈귀의 이야기가 새롭기만 하다.

나와 다른 흡혈귀도 이가 아프면 힘들어하고 치과를 두려워한다는 것이 흥미와 더불어 더 큰 무게의 가르침을 던져 주는 것 같다.

그리고 누구든 이가 아플 때는 치과에 가서 치료 받는 것 말고는 다른 어떤 방법도 통하지 않는 다는 걸 스스로 깨우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