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슴도치 아이 그림이 있는 책방 1
카타지나 코토프스카 지음, 최성은 옮김 / 보림 / 2005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여자와 남자가 사랑을 해 결혼을 하면 특별한 문제가 없는 한 자연스럽게 생기는 게 자식이다.

별 다른 준비도 없이 엄마가 되고, 아빠가 된 우리 부부에게 가장 힘들었던 건 모든 시계가 아이를 중심으로 움직인다는 것이었다.

‘임신입니다’는 말을 듣는 순간 그 좋아하던 커피도 멀리해야 했고, 친구를 만나는 것도 영화를 보는 것도 자유롭지가 못했다.

아이가 태어나고는 밥을 먹다가도 아이의 울음소리에 달려가야 했고, 자다가도 울음소리에 일어나야만 하는 상황들이 견딜 수가 없었다.

하지만 그런 중에도 둘째를 낳았던 것 아이가 있어 얻은 게 더 많았기 때문이었다.

온전히 나만 바라보는 생명이 있다는 게 무거운 짐이 되기도 했지만 웃는 것, 화내는 것, 우는 것 모두가 아이로부터 시작되니 아이는 나에게 세상의 전부고 작은 우주였다.


여기 한 여자와 남자가 사랑을 해 결혼을 하고 생활에 모든 것은 미래에 태어날 아이를 위해 준비하고 아이를 기다린다.

하지만 기다리고 또 기다려도 아이는 오지 않고 세상은 빛을 잃어간다.

부부는 아이가 아주 먼 곳에 사는 다른 가족의 품에 태어났다는 걸 알고  여왕님의 어린이집으로 아이를 찾아간다.

가시투성이 고슴도치 아이는 엄마 아빠의 집으로 오지만 여전히 가시를 세우며 마음을 열지 못한다.

아이는 어느 날 ‘엄마가 나를 낳았다면 얼마나 좋았을까요?’라는 물음에 “그래, 나도 그러고 싶었단다. 하지만 아무리 애를 써도 너를 낳을 수 없었어. 그런데 정말 고맙게도 엄마 대신 다른 엄마가 너를 낳아 주셨단다. 덕분에 네가 이 세상에 나올 수 있었고, 우리가 이렇게 함께할 수 있는 거야. 아가야. 엄마는 너를 정말 사랑한단다.”라는 답은 눈물이 핑 돌게 한다.


몇 해 전 사촌 오빠가 집안 어른들 앞에서 입양이야기를 꺼냈을 때 다 거두어도 머리 검은 짐승은 거두는 게 아니라는 말씀과 제 자식이 없는 것도 아니고 나이도 젊은 것들이 무슨 입양이냐고 모두들 반대했었다.

그때 오빠는 예쁜 딸 하나가 있었고 집안 어른들은 아들을 기다리고 있던 차에 나온 말이라 더더욱 놀랄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오빠네의 굳은 신념은 누구에 말도 끼어들 틈이 없었고 잘 생긴 아들을 데려왔었다.

가족이 모이면 아무렇지 않은 듯 이야기하고 웃었지만 맨 먼저 묻는 안부가 아들 안부였고 딸애와는 다른 눈빛으로 보는 어른들이 대부분이었다.

그래서인지 오빠는 가족 모임에 한두 번씩 빠지기 시작하더니 아이가 말을 알아들을 무렵에는 거의 만나질 못했다.

내 아이와 다른 환경에서 자라는 아이는 잘못된 아이라는 편견 때문에 우리가 무수한 고슴도치 아이를 만들어내는 게 아닌가 싶다.

 

나는 내 아이들만으로도 인생이 벅차 다른 아이를 입양하는 일은 꿈도 꿔 본적 없다.

연예인들의 공개입양도 박수 받아 마땅한 좋은 일이지만 뒤에 뭔가가 숨은 잇속이 있을 것이라는 못된 생각도 했었다.

오랜만에 오빠와 통화를 했다.

언제나처럼 묻는 조카의 안부에 제 누나를 꼭 닮았다는 말과 아들에게 자신이 입양아란 사실을 말하지 않았는데 어찌해야 할지 모르겠다는 한숨 섞인 이야기를 했다.

가슴으로 안은 내 아이지만 다른 사람에게는 입양아라는 꼬리표를 단 아이로만 비칠 것을 염려하는 오빠의 마음이 너무 절절해 가슴이 먹먹해 왔다.

내가 가진 다른 눈이 다른 가정에는 비수가 되어 꽂혔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다시 한 번 책을 집어 들었다.

내 뱃속에 열 달 담아 낳은 내 자식만 소중했었다.

내 뱃속의 열 달보다 더 기다리고 준비하고 아이를 품은 입양아부모의 모습에서 존경심마저 일어났다.

그리고 시 한편을 가슴으로 읽어본다.


괜찮아

          한강 시


태어나 두 달이 되었을 때

아이는 저녁마다 울었다

배고파서도 아니고 어디가

아파서도 아니고

아무 이유도 없이

해질녘부터 밤까지

꼬박 세 시간


거품 같은 아이가 꺼져 버릴까봐

나는 두 팔로 껴안고

집 안을 수없이 돌며 물었다

왜 그래.

왜 그래.

왜 그래.

내 눈물이 떨어져

아이의 눈물에 섞이기도 했다


그러던 어느 날

문득 말해봤다

누가 가르쳐준 것도 아닌데

괜찮아.

괜찮아.

이젠 괜찮아.


거짓말처럼

아이의 울음이 그치진 않았지만

누그러진 건 오히려

내 울음이었지만, 다만

우연의 일치였겠지만

며칠 뒤부터

아이는 저녁 울음을 멈췄다


서른 넘어서야

그렇게 알았다

내 안의 당신이 흐느낄 때

어떻게 해야 하는지

울부짖는 아이의 얼굴을 들여다보듯

짜디짠 거품 같은 눈물을 향해

괜찮아


왜 그래, 가 아니라

괜찮아.

이제

괜찮아.



시도 때도 없이 울었던 아이에게 왜 그러냐고 화를 내던 내가 진정한 엄마가 됐던 건 ‘엄마 여기 있네, 괜찮아’라고 아이를 안았을 때였다.

처음부터 가시가 있어도 괜찮아라고 아이를 품었던 엄마에 말로 제대로 된 엄마였을 것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영엄마 2006-01-04 16: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주변에 실제로 입양을 한 가족 분이 계셨군요.좋은 리뷰 잘 읽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