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각보 이불 - 제3회 푸른문학상 수상집 작은도서관 20
최지현 외 지음, 이상현 외 그림 / 푸른책들 / 2008년 4월
평점 :
절판


 

아동 전문 출판사 <푸른책들>이 개최하는 ‘푸른문학상’ 에 당선된 4편의 이야기가 한권의 책으로 나온 ‘조각보 이불’은 가족의 이야기이다.

몇 해 전만 해도 가족은 크게 대가족과 핵가족으로 나뉘었다.

하지만 요즘의 가족은 부모의 이혼 등으로 조손(祖孫)가정과 한 부모 가정 등 새로운 형태의 가족이 등장하고 있다.


<조각보 이불>--최지현

보통 새로운 가족이라면 재혼이나 입양 등이 먼저 떠오른다.

하지만 조각보 이불의 가족은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혈연이나 혼인 관계에서 오는 가족이 아닌  새로운 가족이 등장한다.

엄마와 딸들로만 이루어진 두 가정이 모여 한 가정을 이루며 일어나는 일상을 그린 이야기는 우리 집과 다른 가정은 항상 다른 색깔의 안경을 쓰고 보아 온 내 시각에도 변화를 주었다.

경제활동을 하는 한 엄마와 집안일을 돌보는 또 다른 엄마의 모습을 보며 과연 현실적으로 가능할까도 싶지만 어쩜 한 부모 가정에게는 새로운 길을 제시해 주기도 하는 것 같다.

전혀 다른 두 가정이 만나 한 가족이 되는 데는 많은 갈등이 있을 것이다.

특히나 일반적이지 않는 것은 이상하다는 시선에 아이들은 자유롭지 못할 것이다.

하지만 일반적인 가정에도 갈등은 있지만 가족 구성원 중 누군가 위험에 빠지면 더 단단한 결속력을 보이는 게 바로 가족의 참모습일 것이다.

조각조각 떨어져 있던 천 조각들이 한데 모여 따뜻한 이불이 되었듯이 처음 시작은 서로 다른 개성을 지닌 두 가정이었지만 아이들이 자라며 서로 부딪히면서 멋진 보통의 가정으로 자리 잡을 것 같아 안심이 된다.


<우리 할머니 시집간대요>--이용포

TV에서 어느 노부부의 인터뷰를 본 적이 있다.

다음 세상에는 젊어서 속 썩이던 할아버지와 절대 다시 살고 싶지 않다는 할머니와 다음 생에도 꼭 할머니와 다시 살겠다는 할아버지의 말씀이었다.

그때 짐짓 등 돌리고 게시던 할머니께 “그럼 자식들하고 살고 싶으세요” 라는 질문에는 아무리 자식이 좋다고 해도 그래도 등 긁어주는 영감이 최고라고 하셨던 할머니 말씀은 오래도록 잊을 수가 없다.

다행이 시댁이나 친정 부모 모두 건강하셔서 한번도 생각해 보지 못했던 노인의 재혼 문제를 다룬 이야기다.

시골에서 사시던 할머니가 도시의 아들집에 올라와서 사시면서 느끼는 외로움과 허전함을 젊은 사람들이 가늠할 수는 없다.

진정으로 할머니에게 필요했던 건 남편이 아니라 함께 인생의 황혼기를 보낼 친구였을 것이다.


<슈퍼맨과 스파이더맨이 싸운다면>--정은숙

부부 사이에 냉기가 흐르면 아이들의 행동부터 달라진다.

슬금슬금 눈치를 보고 괜히 바쁜 척하며 허둥댄다.

아빠가 선 보증이 잘못되어 이혼얘기까지 오가게 되자 현우는 오줌을 싸기도 하며 불안해  한다.

이혼은 항상 어른들만의 이야기로 의논되지만 가장 큰 피해를 입는 것 아이들이다.

옛날 우리 부모들이 자식 때문에 참고 살았다는 말이 요즘에는 어리석게도 들리지만 경제적인 이유로 이혼을 생각하는 부부에게는 깊이 생각해 볼 말이다.

엄마가 가지무침을 아빠 앞으로 슬그머니 밀어 놓았을 때 느꼈을 현우의 마음을 헤아린다면

이혼보다는 어려워도 함께 해쳐나갈 미래를 택할 것이다.


<최소리네 집>--윤소영

청각장애자인 엄마와 사는 최소리는 나이에 비해 어른스럽다.

그 모습이 더 마음을 짠하게 했다.

장애를 가지고 있지만 열심히 사는 엄마와 그런 엄마를 사랑하고 자랑스럽게 생각하는 소리네야 말로 아름다운 가정이 아닐까 싶다.


현대의 가정은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나와 다른 가정을 다른 눈이 아닌 그 모습 그대로 봐 주는 것이야 말로 우리에게 가장 필요할 것이다.

     가족은 꽃과 같아요.

     예쁘지 않은 꽃이 없듯이

     예쁘지 않은 가족은 없습니다.

     서로 사랑한다면  

     모두가 예쁜 가족입니다.

소리 엄마가 수화로 이야기한 가족의 정의야 말로 진정한 가족의 의미가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