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자를 찾아서 동화 보물창고 12
오미경 지음, 홍선주 그림 / 보물창고 / 200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화 덕분에 ‘금자’가 들어간 제목을 보는 순간 주인공이 금자라는 여동생을 찾아 떠나는  모험이야기인가 했습니다.

뭐 금자라는 여동생은 아니지만 주인공 돌배가 금으로 만든 전설속의 자인 금자를 찾으며 펼치는 모험이야기이니 반은 맞춘 셈이지요.

언제인가 아이와 함께 읽은 옛이야기 속에 등장하는 신기한 자는 병든 사람의 몸을 재면 병이 낫고 죽은 사람의 몸을 재면 살아난다는 이야기를 읽은 적이 있는 데 그 이야기가 바로 신기한 금자 전설이라니 반갑기까지 했지요.


아버지 없이 어머니와 동생 달래와 사는 돌배는 온 동네가 알아주는 말썽쟁이였대요.

서당에서도 공부보다는 장난에 싸움질이 일상이었고요.

그날도 친구와 싸운 뒤 훈장님은 사람을 살릴 수 있는 신기한 금자의 전설을 들려주셨답니다.

서당에서도 몰래 빠져 나온 돌배는 또 온갖 말썽을 부리다 집으로 돌아왔는데 글쎄 엄마가 나무를 해오다 쓰러져 의식을 잃은 거예요.

돌배는 엄마가 다친 게 말썽만 부리고 모든 짐을 엄마에게만 짊어지게 했던 자신의 탓인 것 같아 엄마의 병을 낫게 해줄 금자를 찾아 떠나게 됩니다.

돌배는 개 제비와 먼 길을 가다가 산적을 만나 위기에 처하기도 하지만 새로운 친구 덕구를 만나 큰 도움을 받게 되지요.

다시 길을 떠난 돌배는 우여곡절 끝에 금자를 구하게 되고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덕구에 어머니가 돌아가신 걸 알게 되지요.


이 대목까지 읽으며 우리 옛이야기에 자주 등장하는 이야기라는 느낌이 들었어요.

충견인 삽사리 제비에 이야기와 위험에서 주인공을 구하는 덕구와 덕구 어머니, 그리고 꿈에 현몽해 금자에 대해 이야기해주는 노인과 금자의 위치를 알려준 뱀, 거기다 여럿이 힘을 합쳐 못된 사또를 혼내주고 다시 금자를 찾는 대목은 옛이야기 속에 등장하는 여러 장면을 한데 모아 놓은 듯 했습니다.

하지만 돌배가 금자를 품고 덕구 집을 다시 찾아 갔을 때 덕구 어머니의 죽음을 알고 고민하는 모습은 아이가 해결하기에는 너무 큰 문제 같아 글을 읽던 제가 돌배가 되어 땀이 삐질삐질 흘렸답니다.

자신을 도와준 덕구 어머니에 은혜를 감게 되면 집에서 사경을 헤매는 어머니를 살릴 수 없고 그렇다고 금자를 한번만 쓰겠다는 약속을 깨뜨릴 수도 없으니.......

누구도 돌배가 금자를 한번만 쓰겠다는 약속을 듣지는 않았지만 스스로 한 약속이니 안 지킬 수도 없고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돌배의 심정이 어떠했을까는 미루어 짐작할 수 있었어요.

하지만 제가 돌배였다면 돌배처럼 덕구 어머니의 몸을 척척 재지는 못했을 거예요.

“”양친 부모 있는 건 뒤주 안의 닭 신세, 한쪽 부모 있는 건 올콩 밭의 비둘기 신세, 양친 부모 없는 건 눈 덮인 산의 꿩 신세“인 세상을 살아가야 하는 데 덕구 어머니를 살리며 기쁨보다는 서러움이 더 컸겠지요.


삼국유사에 단 몇 줄로 기록되어 있는 <금척설화>를 바탕으로 새로운 이야기를 탄생시켰다니 작가의 상상력은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가끔 아이가 옛날이야기를 읽으면 진짜로 있었던 일이냐고 묻곤 하는 데 금자에 대해서는 자신 있게 말해 줄 수 있었어요.

옛날 신라의 보물 금자를 숨겨두기 위해 만들었던 여러 개의 무덤이 지금도 경주에 가면 있다고요.

아이는 돌배가 엄마를 살리겠다는 희망으로 그 먼 여정을 시작했듯이 눈을 반짝이며 저도 꼭 금자를 구해 엄마가 아프면 한 눈 팔지 않고  달려오겠다고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