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 놀다 올게요! 국민서관 그림동화 58
팻 허친스 지음, 서남희 옮김 / 국민서관 / 2005년 10월
평점 :
절판


 

내 아이가 많이 컸다고 생각될 때는 아이가 놀러 다니는 반경이 넓어지면서 일 것이다.

놀이터도 엄마가 없으면 못 가다가 점점 엄마 없이 놀이터도 나가고 친구 집에도 놀러가고 가끔은 너무 멀리가 엄마를 걱정시키기도 한다.

부모도 처음에는 아이가 눈에 보이지 않으면 불안해하다 점점 오래 있다 와도 멀리 나갔다와도 별 걱정을 하지 않게 된다.

농장의 동물들도 우리아이들과 똑 같은 모양이다.


아침부터 아기 돼지는 “엄마, 나 놀다 와도 돼요?”라고 엄마에게 묻는다.

엄마의 허락을 받은 아기 돼지는 아기 양, 송아지, 망아지를 차례로 만나 농장 밖 사과나무가 있는 풀밭으로 간다.

풀밭에서 빙빙 잡기 놀이를 하던 친구들은 마른 풀 더미가 있는 들로 나가 숨바꼭질을 하고 순무 밭에서는 마음껏 뛰어 놀기도 한다.

순무 밭 옆 물웅덩이에서는 물장난을 하기도 한다.

배가 고파진 친구들은 가던 길을 돌려 집으로 되돌아 가기 시작한다.

순무 밭을 지나 들을 지나 풀밭을 지나........

하지만 놀러갈 때는 보이던 순무도 건초더미도 없고 사과도 하나 없자 길을 잘못 든 줄 알고 점점 불안해하기 시작한다.

다행히 농장이 보이고 아기 동물 친구들을 기다리는 건 맛있는 음식과 사랑하는 엄마 동물들이었다.


책을 읽어주다 보면 일부러 깨우쳐 주려하지 않아도 아이는 제 수준으로 이해하고 해석한다.

처음에는 돼지가 만나는 친구들의 순서를 기억하고 지나갔던 장소를 기억하고 놀이의 종류를 기억해 낸다.

그리고 되돌아 올 때에는 갈 때와는 거꾸로 기억해야 한다는 것도 안다.

이것이 이 책에서 이야기하고 싶었던 공간 지각력일 것이다.

공간 지각력은 공간 능력과 관찰력을 결정짓는 능력이라고 한다.

이 한권의 책으로 아이의 공간 지각력을 단번에 배가 시킬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나는 이 책을 통해 공간 지각력에 대해 알아보는 기회가 되었고 그 중요성도 느끼게 된 것만으로도 큰 것을 얻은 듯하다.

아이는 아이 나름대로 원색의 농장 그림과 귀엽고도 특이한 동물 그림에 눈이 휘둥그레지고 즐거워한다.

덤으로 망아지가 말의 새끼인 것도 알게 됐다.^o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