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빠랑 둘이서 동화 보물창고 6
마를리스 바르델리 글, 롤란드 탈만 그림, 김서정 옮김 / 보물창고 / 2005년 4월
평점 :
절판


사랑하는 아들아!
엄마가 요번에 아주 근사한 책을 읽었단다.
새책이 오면 항상 너에게 읽어주는 걸로 엄마에 책읽기를 대신 했는데 <아빠랑 둘이서> 라는 이 책은 엄마가 먼저 읽어보았어.
네 또래의 귀여운 소녀가 수줍은 듯한 미소로 들꽃 한 포기를 들고 서 있는 그림의 표지부터 엄마의 마음을 단번에 사로잡더구나.
이 아이의 이름은 '메를레' 라고 하는 데 프랑스어로 지빠귀라는 뜻이래..
<이름은 소원을 담는 그릇이에요>라고 메를레 엄마가 말했듯이 사람들의 이름 속에는 소원이 담겨 있단다.
물론 너의 이름 속에도 엄마, 아빠의 소원이 담겨 있지.
그런데 메를레는 아직은 지빠귀처럼 아름다운 노래를 부르지 못한대.
대신에 다른 많은 것을 잘 할 수 있다는 구나.
메를레는 그림을 잘 그리고, 비가 오는 날에는 아주 멋진 시를 지을 수 있단다.
더 놀라운 것은 글씨를 아직 쓰지 못하지만 시를 머릿속에 넣어두는 법을 알고 있어.
그리고 메를레는 아빠의 기분을 살필 줄도 안단다.
아빠가 우울한 날이면 차를 만들어 드리기도 하고 그림을 그릴만한 풍경을 찾아보기도 하지.
메를레는 화가인 아빠와 살고 있고, 엄마는 천사가 되었다는 구나.
엄마는 아빠와 단둘이서 살아도 메를레가 항상 밝은 아인 것 같아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었어.
메를레가 살고 있는 집은 자동차 집이야.
어디든지 갈 수 있는 집이라니 생각만 해도 멋지지 않니?
어느 날은 꽃이 가득 핀 들판에서 잠을 잘 수도 있고, 또 어떤 날은 바닷가에서 떠오르는 해를 보며 아침을 맞을 수도 있잖아.
하지만 불편한 점도 있을 거야.
우선 친구를 사귈 수 없을 거고 학교에도 다닐 수 없을 거야.
그래서 메를레의 아빠도 메를레를 학교에 보내기 위해 홀러루프 마을에 정착하게 된단다.
처음 간 학교에서 새 친구들도 만나게 되고 알파벳도 배우게 돼지.
메를레는 A를 배우면서 멋진 알파벳 A 이야기를 만들지만 선생님은 "A는 그냥 알파벳일 뿐이야. 그 이상은 아니란다"라고 말씀하신 단다.
엄마는 이 부분을 읽으며 엄마가 너에게 했던 행동들이 떠올랐어.
네가 엄마가 묻는 말에 엉뚱한 대답을 하면 자세히 들어보지도 않고 네 말을 막곤 했는데 그것이 옳지 못했다는 생각이 들더구나.
또 음악시간에는 선생님이 메를레를 향해 음악에 소질도 없고 고집불통이라고 말씀하시지.
하지만 메를레는 선생님께 아주 멋진 말을 한단다.
<선생님은 제 안에 뭐가 있는지 모르세요. 그건 저만 알아요. 제 안에서 무슨 소리가 울리는지 저는 알아요. 다른 사람은 아무도 못 들어요. 제 목소리가 엉뚱한 소리로 만들어 버리니까요. 하지만 제 곡조가 얼마나 예쁜지 선생님이 아신다면 아마 놀라실 거예요.>
엄마도 남이 하는 말에는 마음 상하고 슬퍼하지만 진실로 내 마음속에서 울려오는 소리는 잊고 살았는데 엄마는 어린 메를레에게서 큰 것을 배웠단다.
아직은 내 속에서 울려 나오는 소리를 듣는 연습을 많이 해야겠지만 마음 소리에 진정으로 귀가 열리게 된다면  우리 가족을 얼마나 사랑하는 지 더 잘 알게 될 거고 더불어 너희에게도 좀 더 자상한 엄마가 될 수 있을 것 같다.
또 다른 사람에 마음에서 울리는 소리에도 귀 기울일 수 있을 것 같기도 하고.
메를레는 아주 작은 것에도 마음을 쓸 줄 안단다.
메를레를 놀래주려고 책상 위에 풀어놓은 작은 거미를 조심스럽게 다룰 줄도 알고 꽃밭을 망친다고 뽑으라고 한 민들레도 사랑할 줄 알지.
언제인가 네가 새로 나온 무당벌레를 발로 밟았다고 했을 때 엄마하고 많은 이야기를 했었지?
넌 밤에 그 무당벌레 식구들이 널 쫓아오는 꿈도 꾸었고 다시는 작은 벌레도 죽이지 않겠다고 엄마에게 다짐했던 기억이 나더구나.
아들아!
메를레에게는 정말 특별한 재주가 있더구나.
또래가 아닌 사람과도 친구가 되는 법을 알고 있단다.
트랙터를 몰고 다니는 야콥 아저씨와 친구가 되고, 노래를 잘하는 마르가레트 할머니에게는 노래를 배우기도 한단다.
특히 해젤바르트 할아버지에게는 음악을 작곡하는 법을 배우기도 하지.
어느 날 아빠와 메를레는 바다를 그려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고 실천에 옮길 계획들을 세운 단다.
해젤바르트 할아버지가 더 이상 먼 길을 돌아다니시지 않게 다리를 놓고 헤르베르트네 방의 그림도 다 완성해 준단다.
그리고 다리가 완성되고 잔치가 열리는 날 조용히 마을을 떠나 바다를 향한단다.
엄마는 오래도록 메를레가 여러 사람들과 어울려 훌러루프 마을에 살기를 바랬는데 이 부녀는 정말 자유로운 사람들인 것 같다.
엄마는 아무리 가고 싶어도 현실을 살피느라 바다를 그리워만 했을 텐데.
지금쯤 메를레는 어떤 사람이 되어 있을까?
노래를 잘 부르게 되지는 않았더라도 분명 자기 마음속에서 들리는 소리를 음악으로 나타낼 수 있는 사람으로 행복하게 살고 있을 것 같다.
이제 너랑 이 책을 다시 읽어보겠지?
우리 아들은 어떤 생각을 하며 이 이야기를 들을까 궁금해진다.
메를레는 어른들 기준의 착한 아이가 되어서 학교 생활을 할 때 선생님께서
"네가 이제야 조금 철이 들었구나"라고 하신 말씀에 대답했던 말이 가슴을 무겁게 하더구나.
"철이 든다는 게 더 이상 기쁘지 않다는 말이라면, 선생님 말씀이 맞아요"
엄마도 너에게 엄마 기준에 철들기를 강요해서 혹시 널 슬프게 하지는 안았나하는 생각이 들었다.
메를레 아빠처럼 자유롭게 살지는 못하겠지만 네가 마음속에서 울리는 진실된 소리를 듣고 진정으로 네가 원하는 길을 갈 때는 너에게 힘이 되어 주는 엄마가 될 거야.
우리 아들도 너에게서 들려오는 따뜻한 마음에 소리를 듣는 다면 메를레처럼 다른 사람의 마음도 헤아릴 줄 아는 사람으로 성장하리라 믿는다.
언제까지나 행복한 사람으로 진정으로 원하는 것을 하며 살수 있기를 엄마는 소원한다.
아들아!
엄마는 메를레 덕분에 파란 하늘을 자주 쳐다보고 봄꽃들을 유심히 보는 버릇이 생겼단다.
너도 엄마처럼 메를레 이야기를 읽으며 행복한 봄을 보냈으면 좋겠다.
사랑한다.아들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