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빛 창창 - 2024 상반기 올해의 청소년 교양도서 우수선정도서
설재인 지음 / 밝은세상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용과 호랑이 태몽을 꾸고 곽용호란 이름을 얻은 용호는 삼수 끝에 4년제 인서울에 간신히 들어갔지만 졸업 후 직업도 없고 스무 아홉이 되고도 여전히 유명 드라마 작가인 엄마 곽문정에게 얹혀산다.
어려서부터 엄마의 명성에 늘 가려사는 용호는 되고 싶은 것도 하고 싶은 것도 없이 무위도식하고 있다.

그런데 어느 날 엄마가 신작 드라마 집필을 앞두고 연기처럼 사라지고 엄마의 수족이자 드라마 피디인 오혜진이 은밀한 제안을 한다.
엄마없이 살길이 막막한 용호는 그 제안을 받아들여 고등학교 문학 동아리에서 함께 활동한 옛 연인 함장현과 함께 엄마의 대본을 대필하게 된다.

소설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엄마가 사라지고 오혜진과 곽용호, 함장현이 엄마가 조사한 자료로 드라마 대본을 쓰는 이야기와 엄마를 찾아나선 광혜암에서 용호가 모르고 있던 엄마를 만나게 되는 이야기다.

곽용호는 어른 된 후에도 경제적인 자립을 위해 피나는 노력을 했던 엄마의 고단이나 수고로움을 이해하려하지 않는다.
그저 엄마는 자신의 욕심때문에 일에만 열중했고 어린 용호를 돌보지 않았다고 생각하고 엄마의 모든 것을 폄훼한다.
그리고 자신의 현재의 모습은 모두 엄마탓이라고 생각한다.

곽용호는 모든 잘못은 미혼모인 엄마탓이라고 생각하지만 한 번도 생부에 대해서는 언급조차 하지 않는다.
이 세상에서 미혼모로 살아간다는 게 어떤 의미인지 알 나이가 되고도 여전히 엄마를 원망하고 엄마를 이해하려 들지 않는다.

용호가 광혜암에서 만난 여자들의 모습은 가족을 위해 모든 힘을 쏟다 늙고 기력이 쇠해진 엄마들의 모습을 떠오르게 한다.
그 곳 여자들의 병이 가장이 되어 열심히 경제활동을 하고 가족을 건사하기 위해 자신을 돌보지 않다가 자식이 장성한 후 쓰임이 다한 순간 걸리는 병증같아 마음이 아프다.

<그렇다.
이 병증의 가장 특이한 점 중 하나는 타인을 보살피는 신체 능력을 잃지 않지만 자신을 위하는 방법은 까맣게 있는다는 것이다. 마치 자신에게 입이 있다는 사실을 망각한 것처럼 사람들은 제 손에 든 수저를 자기 입으로 넣지 못하게 되었다.> p159~160

가족이라고 누구나 같은 모습은 아니다.
아직도 엄마가 필요한 나이에 머물러있는 듯하던 용호가 드디어 밖으로 나가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고 엄마를 이해해 가는 모습을 보며 조금만 더 일찍 엄마를 이해했더라면 곽용호도 엄마도 더 행복해하지 않았을까 생각해 보게 된다.
그래도 용호가 광혜암 사람들과 어울려 이름값을 하는 결말은 얹힌 것 같은 속을 조금은 풀어준다.


<도서는 밝은세상 출판사에서 선물 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