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재나 마르틴 베크 시리즈 1
마이 셰발.페르 발뢰 지음, 김명남 옮김 / 엘릭시르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결혼을 해서 남매를 두고 인생의 절반을 경찰로 산 지극히 평범해 보이는 남자인 마르틴 베크가 주인공인 시리즈의 첫 번째 이야기가 <로재나>이다.
<마르틴 베크>시리즈는 1960년 대 스웨덴을 배경으로 한 범죄소설로 마이 셰발과 페르 발뢰가 공동 작업하여 10권으로 완성한 시리즈다.

스웨덴의 유명한 관광지인 예타운하의 준설 작업 중 여성의 시신이 발견된다.
부검 결과 사인은 “변태적인 성폭행이 동반된 교살에 의한 타살”로 밝혀지지만 여성의 신원은 물론 어떤 단서도 확보되지 않는다.
최고의 수사관인 마르틴 베크가 투입되고 동료들과 함께 수집된 모든 증거에 대한 재검토에 들어가고 그녀가 미국인인 “로재나 맥그로”임이 밝혀진다.

소설의 배경이 된 시대가 시대인 만큼 인터넷도 휴대전화도 CCTV도 없고 DNA가 수사에 활용되지도 않는다.
외국과의 공조 수사를 위해 오가는 우편물은 며칠씩 걸리고 국제전화도 자유롭지 않아 몇 십분을 기다려야 하는 시대다.
컴퓨터가 없는 세상이니 증거품이 나와도 사람들이 일일이 수작업으로 비교하고 분류해야 하는 세상이다.

마르틴 베크는 몸을 곧추세웠다. ’경찰관에게 필요한 세 가지 중요한 덕목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자.‘그는 속다짐을 했다. '나는 끈질기고, 논리적이고, 완벽하게 냉정하다. 평정을 잃지 않으며, 어떤 사건에서든 전문가답게 행동한다. 역겹다, 끔찍하다, 야만적이다, 이런 단어들은 신문기사에나 쓰일 뿐 내 머릿속에는 없다. 살인범도 인간이다. 남들보다 좀더 불운하고 좀더 부적응적인 인간일 뿐이다.' (p88)

분명 그 시대의 경찰들의 수사 기법은 현재와는 많은 차이가 난다.
그러나 꼭 범인을 잡겠다는 사명감과 끈기는 어느 시대의 경찰과도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공고하다.
우리가 영화나 드라마에서 흔히 만나온 경찰은 범인을 잡는 데 사력을 다하는 정의로운 경찰이거나 자신의 이익을 위해 악과 손잡는 부패한 경찰이 대부분이었다.
<로재나> 속 경찰은 특출한 능력이 있거나 대단한 체력의 소유자들이 아니다.

마르틴 베크는 가정적으로는 부인과의 사이가 데면데면하고 과중한 업무로 아이들과 함께 시간을 보내지도 못한다.
다만 동료들에게는 인정 받는 직장인일 뿐이다.
아닐로그적인 수사를 따라가다보면 답답함이 느껴지기도 하지만 수사과정과 신문과정이 사실적이라 그 시대의 수사과정에 참여한 듯한 기분이 든다.

6개월하고도 십 구일 동안의 수사과정을 보며 만약 <로재나>사건이 현재 일어났다면 대중들은 어떻게 피해자를 정의했을까 궁금해진다.
지극히 독립적이고 자기 주도적인 로재나가 아닌 범인의 자백한 대로 추악한 여자, 죽어 마땅한 여자로 손가락질하지 않을까 생각해 보게 된다.
이 세상에 어떤 누구도 다른이를 목숨을 앗아갈 수는 없다.
그것도 어리석은 자신의 신념을 이유로.

1권을 읽고 났더니 왜 ”경찰소설의 모범이자 북유럽 미스터리의 원점“이라고 하는 지 이해가 된다.
특별한 수사 기법이랄 것도 없이 ‘막고 품다’ 정신으로 진행되는 수사가 답답하기도 하지만 수사관들의 열정과 활약에 박수를 보내게 된다.
얼른 2권도 읽고 싶다.


<마르틴 베크 시리즈 정주행 이벤트에 당첨되어 출판사에서 제공 받은 도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