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 형제 - 날개가 필요해 우리들의 날개 아름북스 12
이은하 지음, 홍영지 그림 / 삼성당 / 2007년 4월
평점 :
절판


 

후줄근한 옷차림으로 쓰레기통을 들고 있는 아이의 그림과 함께 책머리에는 ‘쓰레기 형제’라는 제목이 아이러니하게도 반짝이고 있다.

사람에게는 함부로 쓰지 않는 쓰레기라는 단어를 타락하거나 부패한 못된 어른들이  아닌 아이들에게 붙여진 별명임을 안 순간 기분이 썩 좋지 않다.


너무나 다른 환경에서 살지만 쓰레기라는 똑 같은 별명을 가진 만복이와 대철이를 통해 힘들기만 한 요즘 아이들의 모습을 만나게 된다.

무릇 아이들이 읽는 동화는 아름답고 희망차야 한다는 생각을 하고 있던 나에게는 불편함으로 다가왔던 두 아이의 이야기가 먼 과거나 먼 나라의 이야기가 아닌 지금 현재 우리 주변 어딘가에 있을 아이들의 이야기기에 더욱 마음을 무겁게 한다.


부유한 가정이지만 온만 하지 못한 부모님 사이에서 힘들어하고 아빠의 폭력에 늘 주눅 들어 하는 대철이는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쓰레기라 불리는 아이다.

너무 가난한 아이, 아픈 할머니와 어린 동생과 살기 위해 쓰레기를 주워 생활하는 만복이, 역시 아이들은 쓰레기라고 부른다.


엄마 아빠와 함께 사는 부유한 가정의 아이, 가난한 조손가정의 아이, 항상 화가 난 듯 인상을 쓰는 아이, 언제나 무슨 일이 있어도 웃음을 잃지 않는 아이.

하나도 닮은데 없는 두 아이는 다가가기도 하고 한편으론 밀어내기도 하면서 점점 상대를 알아가며 친한 친구가 된다는 이야기는 제목만큼이나 어두워 가슴이 아프다.


특히 자신의 꿈을 점점 잃어 종내에는 “애당초 태어나지 않는 것. 아니면........, 먼지처럼 작아져서 나도 모르게 없어져 버리기”라고 생각하는 대철이를 보며 모든 잘못은 우리 어른들에게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어린이는 티 없이 맑고 건강하게 자신의 꿈을 펼치며 자라야 한다는 것을 당연한 진리라고 말하고 있지만 사실은 어른들이 주위를 둘러보지 않고 자기 욕심만 채우는 사이 만복이 같은 아이가 생활고에 시달리고 있고, 어른들의 문제를 아이에게 전가시키는 어른들 때문에 대철이 같은 스스로를 쓰레기라 여기는 아이들을 만들고 있다.

나 스스로 이런 위선적인 어른의 모습 그대로라 부끄러움에 고개가 숙여진다.


더렵혀지고 상처투성이가 된 대철이와 만복이가 서로의 어깨와 허리를 감싸 안고 기우뚱기우뚱 걸어가고 힘찬 호루라기 소리와 함께 재개발 마을의 하나 둘씩 놀란 불이 켜지는 마지막 장면이 행복하지 않고 가슴을 묵직하게 누르는 건 대철이와 만복이의 생활이 별만 달라지지 않을 것을 알기 때문이다.


 “쓰레기 산이었던 난지도. 더럽다고 코를 막았던 난지도가 지금은 월드컵경기장이 되었잖아. 공원에 맹꽁이랑 개구리도 있다고 하더라? 쓰레기 산이 그렇게 멋지게 변한 거야. 나도 어른이 되면 꼭 그렇게 될 거야!”

만복이가 꾸는 꿈이 한편의 꿈이 아닌 현실이 되게 하기 위해서는 우리 어른들의 몫이 더 크다는 건 누구나 알고 있다.

어른들의 작은 관심과 두 아이가 서로를 의지하는 우정이 합쳐지는 순간 대철이와 만복이의 꿈으로 한발 다가가는 원동력이 됨을 누구나 알고 있다.

부디 두 아이 쓰레기가 아닌 진정한 날개를 달고 원하는 삶을 살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