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옛 서울 - 진경산수화 3 보림한국미술관 10
박정애 지음 / 보림 / 2006년 12월
평점 :
품절


 

한 번도 서울을 찬찬히 둘러 볼 기회를 갖지 못한 나에게 서울하면 가장 먼저 무엇이 떠오르는가 묻는다면  망설이지 않고 한강, 남산, 궁궐, 63빌딩, 청계천이라고 대답할 것이다.

나뿐만이 아니라 대부분의 사람들은 비슷한 대답을 할 것이다.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매력적인 도시이지만 한편으론 복잡하고 사건사고가 끊이지 않는 사람 살기 녹녹치 않은 곳인 서울도 예전엔 유유히 한강물이 흐르고 남산에는 소나무가 푸르렀던 시절이 있었고, 언제나 정신없이 바쁘고 복잡했을 것 같은 서울도 몇 십 년 전엔 지금과는 상상할 수도 없는 모습을 하고 있었다.

오랜 세월 나라의 중심이었던 서울은 화가들의 그림을 통해 옛 서울의 대한 기록뿐만이 아니라 옛 조상들의 추억까지도 만나게 해준다.


우리가 익숙하지 않은 미술 작품 앞에서 주눅이 드는 건 그 작품을 이해하지 못하고 모르기 때문이다.

보림 한국 미술관 시리즈는 이렇게 그림 앞에서 주눅 들고 쩔쩔매는 독자에게 그 것도 모르냐는 핀잔 대신 작은 것 하나까지 세세하게 설명하는 친절을 보이고 있다.

작년에 여러 번 갔던 담양의 소쇄원을 문화해설사의 설명을 들으며 다시 갔던 적이 있다.

뭐 새로울 게 있으랴 싶어 시큰둥했던 기행은 전혀 다른 느낌으로 다가왔고 새삼스레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을 실감할 수 있었다.

무심히 박물관에 걸린 그림들을 아무 설명 없이 눈으로 보고 지나치는 것과 설명을 곁들이며 보는 것은 천지 차이일 것이다.

쉽게 설명되어진 글은 그림에 숨은 면면을 들여다 볼 수 있는 힘을 주기도 해 어렵고 고리타분하기만 하던 옛 그림이 아닌 조상의 실용적이면서도 예술적인 그림으로 다가오게 해 준다.


가장 먼저 소개된 경도는 회화식 서울지도로 지금의 기호를 이용한 지도가 아닌 그림지도와 많이 닮은 모습이다.

각각의 특성을 잘 살린 산봉우리들과 한강, 산성들까지 자세히 표시해 두어 기록과 함께 진경산수화의 멋까지 볼 수 있다.

또한 정선의 인왕제색도를 보고 있노라면 70대 중반의 노화가의 힘찬 붓질과 속도감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다.

드라마에서나 봤던 구중궁궐을 그린 동궐도는 그 세밀하고도 어마어마한 크기의 그림에 감탄하게 된다.

그 시대의 시대상을 알 수 있는 ‘가교보월’과 담담정 아래 빨래하는 아낙들이 등장하는 ‘담담장락도’는 친근하기까지 하다.

거기다 정조임금님의 배다리를 그림 ‘한강주교환어도’를 보고 있노라면 쉽게 볼 수 없었던 임금의 행차와 그 진귀한 모습에 한껏 들뜬 백성들의 모습이 고스란히 전해 오는 듯하다.


나는 현재의 서울 곳곳을 모르니 과거의 그림 속에서 지금의 서울을 비교해 볼 수도 없고 기억해 낼 수도 없다.

단지 너무 크게 변화한 서울의 모습과 그림 속의 서울의 모습이 같은 곳을 그렸다는 사실이 연결되지 않을 뿐이다.

한강의 배를 띄우고 시를 짓던 조상들과 그 한강을 삶에 터전으로 살았던 조상들이 공존했던 시절로 돌아갈 수는 없지만 너무 빨리 변하는 도시의 모습에서 우리는 너무 크고 소중한 것을 놓치고 있지는 않는가하는 생각을 해 본다.

다른 사람보다 자신이 느리고 찬찬히 가는 것 같아 불안하다면 마음 한 구석에 옛 서울의 그림 한 장 걸어두어 여유를 찾는다면 인생 그리 어지럽지만은 않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