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족의 가족을 뭐라고 부르지? - 바르게 부르는 가족 호칭책
채인선 지음, 배현주 그림 / 미세기 / 2010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초등학교에서 가족을 고르는 문제가 출제되었는데 엄마와
아빠 강아지까지는 가족으로 고르고 할머니와 할아버지는 제외했다는 이야기를 들은적있다. 실제로 그런일이 있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요즈음 우리 사회의
실상을 정확하게 반영해주는 일화가 아닐 수 없다. 솔직히 말해서 요즈음 아이들만 가족의 개념이 축소된 것은 결코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나
역시 가족의 호칭에 관해서 직계만 넘어가면 헤매기 일쑤였기 때문이다. 예를 들자면 우리 남동생이 내 아내의 오빠의 아들을 어떻게 불러야하는지
지금도 헷갈리고 한참을 따져보아야한다. 이 책은 이러한 궁금증을 그림과 함께 상당한 수준으로 해소해준다.
강아지는 가족으로 인식하면서 직계인 할머니와 할아버지,
외할머니와 외할아버지 마저 제외하는 좁은 가족개념으로는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턱없이 부족한 토대라는 생각이 든다. 그렇기 때문에
생물학적인 가족이 반드시 문화적이고 정신적인 가족으로 백퍼센트 치환되지는 않는다. 가족에 대해서도 호기심을 가지고 탐구하고 학습하는 가운데
발견해가는 과정이다. "가족은 발견하는 거예요."라는 본문이 특히 가슴에 와 닫는 대목이다. 가족을 발견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촌수를
계산하고 그에따라 적절한 호칭을 공부하는 것일게다. 그런의미에서 이 책은 어린아이는 물론 부모들과 조부모들이 읽고 가족 전체가 토론해야할 중요한
매체인 셈이다.
책을 읽으면서 우리 가족 체계가 얼마나 과학적으로 잘
정립되어 있는지 감탄한다. 가족관계는 크게 직계와 방계로 나누고 다시 어머니의 가족들과 아버지의 가족들로 나눠진다. 복잡한 가족관계 하나하나에
대해서 정확한 명칭이 있다는 것이 새롭게다가온다. 이 책은 한 번 읽어서 암송이 어려울 것 같아 한 권 구입하기로 결정한다. 이 책을 가지고
가족을 발견할 수 있도록 돕고싶다.
사람을 세우는 사람 이영식
http://www.bibliotherapy.pe.kr
가족을 발견하는 것이라는 말에 전적으로 동감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