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달 도서 진행 관련 (중간공지)
[가속공부법]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가속 공부법 - 성공과 합격에 빠르게 도달하려면 아웃풋을 내는 공부를 하라!
이와세 다이스케 지음, 박정애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11년 10월
평점 :
절판

"성공과 합격에 빠르게 도달하려면 아웃풋을 내는 공부를 하라! "는 부제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책은 학습법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 이 책은 아인슈타인이나 에디슨 같은 소수의 천재들이 실천할 수 있는 독서법이 아닌 아이큐 100을 전후한 지극히 평범한 사람들이 비범하게 공부할 수 있는 전략을 소개한다. 그만큼 적용할 수 있는 범위가 넓다는 뜻인데 저자 자신이 평범하다 못해 학습 부진아 였던 학창시절을 극복하고 자신만의 가속 학습법을 터득하여 적용한 결과 사법시험에도 합격하고 실제 업무와 학문의 영역에서도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고 한다. 다시 말해서 이 책은 스로우 러너(Slow Learner)들을 위한 책이다. 나도 슬로우 러너 중에 한 사람이라서 인지 대부분의 내용에 공감이 간다.
그럼 저자의 설명을 들어보자. 슬로우 러너들의 특징은 어떤 분야를 공부할 때 처음에 개념이 잡히지 않아서 헤매고 공부의 성과가 나지 않는다. 이 때 중요한 것은 한 번에 모든 지식을 다 습득하려고 하지 말고 우선 전체의 윤곽을 파악하라고 한다. 저자도 항상 시작이 어려웠다고 고백한다. 사실은 극 소수의 천재를 빼 놓고는 누구든지 새로운 학문을 접할 때 시작이 어려운 것이 당연하다. 배경지식이 아직 부족하기 때문이다. 그래도 포기하지 말고 일단 끝까지 읽어보면서 전체적인 윤곽을 파악하느느 것이 이 단계를 극복할 수 있는 핵심적인 요령이다. 책의 목차를 철저하게 정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노하우이다. 또 당신이 만약 학생이나 고시생이라면 이 단계에서는 시험의 당락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몇 몇 고난도의 문제를 가지고 씨름할 것이 아니라 풀 수 있는 다수의 문제에 집중하고 좀 더 나가서 문제가 원하는 것을 파악하여 거꾸로 세부 사항을 파악해 가라고 한다. 위에 제시한 그림은 저자가 제시한 첫번째 방법을 실천하기 위해서 이 책의 전체 제목을 마인드맵으로 그려본 것이다. 이렇게 목차를 마인드맵으로 만들어보는 것만으로도 책의 전체 윤곽이 마음속으로 들어온다.
2장에서 다루는 내용은 독서의 전략이라기보다 실제 업무에서 정보를 다루는 전략에 관한 것이다. 즉 업무에서 다루는 낱낱의 정보를 피상적으로 처리하지 말고 정성스럽게 하나하나 관찰하는 동안 새로운 통찰을 얻게된다는 것이다. 하나의 질문을 가지고 많은 정보에 접하다보면 거기에 담긴 질서가 어느 순간 눈에 들어오면서 새로운 의미를 갖게된다. 이는 특히 현장 업무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유용한 전략이다. 악보를 베껴 보면서 음악이 다르게 들렸다는 저자의 경험담처럼 사실 모든 공부는 전체적인 윤곽을 파악하고 다시 세부적인 사항을 탐구하여 다시 종합하는 순환과정이기 때문이다.
3장은 한 걸음 물러서기 전략이다. 무엇인가를 골똘하게 생각하는 것만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 능사가 아니라는 점은 여러 사례를 통해서 검증되고 있다. 따라서 역사적인 발명은 잠을 자다가, 목욕을 하다가, 산책을 하다가....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았다. 사실은 우연이라기보다 자신이 풀려고 애쓰는 문제에서 한 걸음 떨어질 때 세부사항에서 벗어나 전체적인 조망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얻어지는 통찰일 것이다.
자 다시 여기까지 정리해 보자. 슬로우 러너들은 시작이 어렵기 때문에 우선은 한꺼번에 내용을 다 이해라려고 하지 말고 처음에는 느긋한 마음으로 전체적인 윤곽 파악을 목적으로 공부에 임한다. 즐기는 마음이면 더욱 좋다. 그런 다음 세부사항도 조금씩 알아간다. 이런 시간을 충분히 가진 다음 일단 정보에서 한 걸음 물러나 휴식을 취한다. 이렇게 공부를 하다가 어느 정도 배경지식이 쌓이고 내면의 힘이 축적되었다고 느끼는 시점이 온다. 그때 바짝 긴장하여 책이나 주제, 문제를 단시간 내에 정복해 버리는 것이다. 이것이 저자가 말하는 가속공부법이다.
다른 내용들은 부차적인 것들이니 책을 읽어보고 자신에게 적용할 만하면 활용해보고 그렇지 않으면 버리면 될 것이다.

사람을 세우는 사람 이영식
http://www.bibliotherapy.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