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 천재가 된 홍대리 천재가 된 홍대리
이지성.정회일 지음 / 다산라이프 / 2011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정보화 시대에 독서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독서법에 관련된 책들이 봇물터지듯 출판되었지만 소설 형식으로 쓰여진 나에게 처음이다. 본래 어떤 방법을 가르치는 책이 썩 재미있는 것은 아니기에 이야기의 옷을 입힌 독서법이 참신하게 느껴진다. 또 이야기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나와 동시대를 살아가는 청년들이라는 점에서 더욱 매력적으로 다가온다.  

학교를 졸업한 후 책과는 담을 쌓고 고달프게 직장생활을 하던 홍대리가 그야말로 생존을 위해서 독서를 시작했다가 점점 달인이 되어가는 과정을 섬세하게 그렸다. 독서에 대한 좋은 멘토를 모시고 처음에는 두 권으로 시작하여 100일만에 33권을 집중하여 읽고, 이 단계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면 1년에 100권 읽기에 도전한다는 내용이다. 그 다음 단계도 있는데 자기 분야에서 성공한 CEO 열 명을 만나서 인터뷰하기와 1년 365권 읽기 과제이다. 

그렇다면  이와 같은 집중독서 훈련이 주는 유익은 무엇일까? 먼저 마음 속에 충분한 지식이 축적되어 배경지식이 된다는 점이다. 우리가 어떤 책을 이해할 수 있는 것은 그 책에서 다루는 주제에 대해서 이미 70%이상의 배경지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말은 아무리 전문가라 하더라도 자기 전공분야가 아니라면 이해하기 어렵다는 뜻이다. 반대로 수 백권의 책을 읽어 다양한 분야의 배경지식을 넓혀 놓으면 독서가 쉬워진다는 말이다.  사람이 오늘 과 같이 탁월한 문명을 이룰 수 있었던 가장 중요한 이유는 생각의 힘이 크다는 데 있다. 그런데 생각의 재료인 정보가 없다면 어떻게 될 것인가? 무에서 유를 창조할 수 없듯이 생각의 재료 없이 훌륭한 생각도 존재할 수 없다.  

집중독서의 번째 유익은 저자들처럼 생각하는 훈련이 된다는 점이다. 독서는 인간이 하는 활동 가운데 종합적이고 고도의 정신력이 필요한 활동이다. 즉 신체적으로 충분히 집중할 수 있어야 하고 정서적으로 읽어야만 할 이유를 충분히 알고 있어야 하며 독서의 기술을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때문에 독서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이 모처럼 마음을 먹고 책을 손에 들지만 곧 포기하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하나의 작은 습관도 몸에 베이게 하려면 세가지 필수적인 요소가 있어야 하는데 강한 동기(열정)와 지식, 그리고 일정 기간의 반복훈련이다. 저자들이 제안하는 집중독서과정을 실천하기만 한다면 장담하건데 우리 두뇌가 독서하는 두뇌로 변화될 것이다. 

요컨대 집중독서는 우리 마음 속에 생각의 재료를 충분하게 비축하는 효과와 두뇌에 독서회로를 만드는 효과가 있다. 이 두 가지가 겸비된다면 그 결과로서 자신의 분야에서 탁월성이 드러나는 것은 시간문제이다. 이 점을 충분히 납득하고 저자들의 방법을 적용해 보기 바란다. 

 사람을 세우는 사람 이영식 

http://www.bibliotherapy.pe.k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