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기 걸린 물고기 사계절 그림책
박정섭 글.그림 / 사계절 / 201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보화 시대를 살아가는 지혜

 

감기 걸린 물고기/ 박정섭 글그림 사계절201608/12,150

 

박정섭의 <감기 걸린 물고기>는 물고기를 빗대어 인간세상을 풍자하는 사랑스러운 그림책이다. 검푸른 바다를 떠올리게 하는 짙은 보라색을 배경으로 노랑, 파랑, 빨강, 회색, 검정 물고기들이 등장한다. 그들을 잡아먹는 큰 물고기의 사냥 전략은 똘똘 뭉친 작은 물고기 공동체를 거짓 정보로 분열시키는 것이다. 먼저 빨간 물고기가 감기에 걸렸다는 소문을 퍼뜨린다. 그 다음에는 감기에 걸리면 열이 펄펄 나고 그래서 빨간색이 되었다고 한다. 이 정보가 물고기 무리에 퍼뜨려지면 갑론을박 논쟁이 벌어지고 빨간색 물고기들은 자신이 감기에 거릴지 않았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같이 뭉친다. 이때 큰 물고기가 빨간 물고기들을 덮친다. 같은 방식으로 노란 물고기, 파란 물고기가 잡아먹히고 마지막 남은 까만 물고기와 회색 물고기들이 싸우다 결국 다 잡아먹힌다.


물고기들은 떼를 지어 다니는 경우가 많다. 멸치나 새우처럼 작은 물고기는 물론 중간 크기의 청어나 고등어, 제법 덩치가 큰 대구나 방어도 떼를 지어 다닌다. 이렇게 몰려다니면 오히려 천적들에게 쉽게 발각될 것 같은데 왜 그럴까? 이유는 생태계에서 덩치가 깡패이기 때문이다. 떼 지어 이동하는 물고기들을 멀리서 보면 마치 거대한 한 마리의 물고기처럼 보인다. 사진을 보면 상어나 고래처럼 거대한 물고기도 물고기 무리에 비하면 송사리처럼 작아 보인다. 물고기가 떼를 이루어 이동하는 까닭은 생존에 유리하기도 하지만 헤엄을 칠 때 에너지가 절약되기도 한다. 시쳇말로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 것이다.


작은 물고기들이 떼를 지어 이동하는 모습을 보면 경이롭다. 기러기처럼 앞장서서 무리를 이끄는 대장이 있는 것도 아닌데 그 수많은 개체들이 일사분란하게 요리조리 방향을 틀면서 마치 한 몸처럼 움직이니 말이다. 제식훈련은 군사교육의 가장 기초다. 수백 명의 군인들이 발을 맞춰 행진하는 데는 상당한 훈련과 인내, 통솔이 필요하다. 물고기들은 그런 훈련을 받지도 않았을 텐데 본능적으로 무리를 지어 한 치 오차도 없이 대열을 지어 헤엄을 친다. 만약 상호간에 주고받는 신호가 교란이 된다면 순식간에 대오는 무너지고 위험에 노출 될 것이다.


오늘 날 인류는 정보화 사회를 살고 있다. 정보화 사회에서 우리에게 정보 검색능력과 정보 선별능력, 정보 가공능력, 정보유통 능력, 정보 활용능력을 요구한다. 인터넷의 발달로 정보를 검색하는 능력은 어느 정도 평균화되고 있다. 하지만 정보의 바다에서 진정으로 가치 있는 정보를 선별-가공-활용하는 능력에는 상당한 개인차가 있다. 특히 누구나 정보를 생산-유통하는 시대에 진짜로 중요한 능력은 가치 있는 정보를 선별하고 취사선택하는 능력이라고 하겠다. 그 능력을 갖추지 못한다면 우리는 큰 물고기의 분열책에 걸려들어 먹잇감이 되는 신세가 될 것이다. 이 책은 아동들도 읽을 수 있는 그림책이지만 정보화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전달하는 주제는 결코 가볍지 않다.

 

<토론을 위한 발문>

 

1. 작은 물고기들이 무리를 이루어 이동하는 까닭은 무엇일까?

2. 큰 물고기가 작은 물고기 무리를 분열시키기 위한 전략은?

3. 작은 물고기들의 내부에서 분열이 일어나는 까닭은 무엇인가?

4. ‘감기의 은유적 의미를 우리 사회에 빗대어 해석해 본다면?

5. 큰 물고기가 재채기를 하는 바람에 구사일생으로 살아난 작은 물고기들이 두 번 다시 실수를 반복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6. 한 공동체가 분열되어 내전으로까지 치닫게 되는 메커니즘은 무엇일까?

7. 큰 물고기의 감기 프레임이 작은 물고기 공동체에 잘 먹히는 까닭은? 즉 정보를 대하는 물고기 공동체의 취약점은 무엇인가?

8. 공동체를 이루고 살아가는 사회의 장점과 단점은 무엇인가?

9. 공동체 생활에서 중용한 덕목은 무엇인가?

10.정보를 올바르게 선별하여 활용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11.헛소문을 사실로 믿는 심리는 무엇일까?

12.헛소문을 걸러내지 않고 믿게 되면 공동체에 어떤 일이 벌어질까?

13. 우리 사회에 큰 물고기는 무엇인가?

14. 이 작품에서 가장 인상 깊은 장면은?

15. 잡아먹힌 작은 물고기들이 구사일생으로 살아날 수 있었던 계기는?

16. 여론은 어떻게 형성 되는가?

17. 과거에 비해 현대 사회에서 정보가 유통되는 방식은 어떻게 다른가?

18. 정보를 다루는 슬기로운 방법은?

19. 나는 많은 물고기 중 누구와 가까운가?

20. 내가 만약 작은 물고기 공동체의 일원이라면 어떻게 대처하겠는가?

21. 정보화 사회에서 요구하는 정보검색능력, 정보선별능력, 정보가공능력, 정보유통능력, 정보 활용능력의 관점에서 나에게 어느 점수를 줄 수 있는가?

 

<독후활동>

 

1. 어항 그림그리기

2. 무리지어 이동하는 물고기의 종류와 습성 연구하기

3. 가장 인상 깊은 장면 그리기

4. 정보화 시대에 잘 기능하는 방법 탐구하기

5. 뉴스 올바로 보는 법 연구발표하기

6. 뉴스가 생산되어 대중에게 전달되는 메커니즘 연구해 보기

7. 유튜브 계정을 이용해서 유익한 정보를 가공하여 올려보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