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랄다와 거인 비룡소의 그림동화 27
토미 웅거러 / 비룡소 / 199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랄다와 거인>은 식욕을 주제로 다룬다. 저자 토미 웅거러가 붙인 원제는 <Zeraldas Riese>로 요리가 장기인 소녀에게 초점을 맞추고 있다. 우리 나라 번역본은 <제랄다와 거인>으로 제목에다 거인을 꺼내 놓았다. 두 사람 모두 주인공이라 할 수 있기에 괜찮은 번역이다. 제랄다에 초점을 맞추면 '음식의 치유하는 능력'을, 거인에게 초점을 맞추면 '식욕의 강렬함'을 읽어낼 수 있을 것이다.

아침식사로 어린 아이를 잡아먹는 식인 거인. 아침마다 거인이 마을에 나타나면 마을 사람들은 공포에 질린다.  거인이 짊어진 보따리에 아이들의 팔다리가 삐죽히 보인다. 한편 아버지와 함께 농장에서 가축을 기르며 사는 제랄다는 음식만들기를 아주 좋아하는 소녀다. 배탈이 난 아버지가 제랄다에게 농사 지은 것을 시장에 내다팔고 필요한 물품을 사오라고 시킨다. 시장가는 길에 거인은 절벽 위에서 제랄다를 발견하고 군침을 흘리다 그만 발을 헛디뎌 굴러 떨어지고 만다. 식인하는 습관만 빼고 주인공 거인은 순진하고 조금 멍청해보이기도 하다. 기절한 거인을 내려다보는 제랄다의 마음에 불쌍하다는 생각이 든다. 그녀는 거인이 아마 배가 고파 쓰러져 있을 거라고 생각했을 것 같다. 제랄다는 시장에 내다 팔 재료로 길거리에서 즉석 요리를 해서 거인 앞에 차려 놓는다. 생전 처음 먹어보는 맛에 행복해 진 거인은 제랄다를 자신의 성에 초대한다. 그날부터 제랄다는 풍족한 재료로 자기가 만들고 싶은 요리를 마음껏 하고 거인은 다른 친구들까지 불러서 매일 잔치를 벌린다. 제랄다의 만찬을 즐기던 거인들은 그 맛에 취해서 식인하는 것을 까맣게 잊어버린다. 식인 습관이 고쳐진 것이다. 마침내 거인과 결혼한 제랄다는 아이들을 낳고 행복한 표정으로 가족사진을 찍었다.

여기서 잠깐! 그림책의 대가 토미 웅거러가 제랄다 이야기를 이처럼 싱겁게 끝낼리 없다. 마지막 장면에 제랄다의 가족이 소개된다. 여러 명의 아이들이 있고 엄마가 갓 태어난 아기를 안고 있다. 그런데 아이 중 하나가 포크와 나이프를 등뒤에 숨기고 포동포동한 갓 태어난 동생을 쳐다보고 있는 모습이 심상치 않다. 지금은 제랄다의 풍족한 음식에 더이상 사람을 잡아 먹지는 않지만 거인족 유전자 속에 새겨진 식인 습관은 언제든지 다시 튀어나올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은근히 암시하는 것만 같아 소름이 돋는다. 

식욕은 세상에서 가장 강한 욕구다. '삼일 굶은 사람 담장 안 넘는 사람 없다.'라는 옛 속담처럼 말이다. 먹어야 산다는 이 단순하고도 명료한 사실은 그 누구도 피할 수 없다. 나 자신을 돌이켜 볼 때도 가장 조절하기 힘든 것이 식욕이었다. 시골출신인 내가 처음 뷔페 식당에 갔을 때가 생각난다. 수 많은 음식을 한 가지씩 빠짐없이 담다보니 접시가 산처럼 수북했다. 몇 차례의 시행착오를 거쳐 지금은 나름대로의 식사 전략을 세워본다. 오늘은 일식 중심으로 먹어 보리라 생각했다면 다른 음식들은 눈요기만 하고 번개처럼 지나간다. 그럼에도 과식하는 습관은 나이가 들어도 극복하기 어렵다. 집에서는 그럭저럭 먹을만큼만 먹고 숟가락을 내려놓지만 외식을 할 때면 어김없이 과식을 하게된다. 인류의 유전자 속에는 아예 음식이 눈 앞에 있을 때 충분히 먹어둬야 한다는 강박관념이 있는 게 아닐까 생각해본다. 그렇다. 식욕은 인간뿐만 아니라 모든 생명을 지닌 존재에게 가장 기본적이고 가장 강렬한 욕구임에 틀림없다.

 

<발문>

1. 거인은 어떤 성격의 인물인가?

2. 제랄다는 어떤 성격의 인물인가?

3. 거인의 식인 습관은 어떻게 생겼을까?

4. 제랄다의 음식을 만드는 재능과 긍정적인 성문은 거인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5. 음식이 굶주림을 채우는 것 외에 어떤 의미가 있는가?

6. "동물들은 배가 고프면 음식을 찾지만 인간은 눈물이 난다."라는 말의 뜻은 무엇일까?

7.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가장 인상에 남는 식탁은?

8. 거식증이나 폭식증, 이식증과 같은 섭식 장애는 어떻게 발생하는 것일까?

9. 우리 조상들의 식사공동체를 의미하는 '식구'라는 개념은 오늘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주는가?

10. 내가 좋아하는 음식은?

11. 음식을 주제로 다룬 문학이나 영화, 시는?

12. 저자가 그림 속에 숨겨놓은 메시지들은?

13. 식용이 충족되어야 비로소 발현되는 인간의 욕구들은?\

14. 심탐을 관리하는 좋은 방법은?

15. 음식과 관련된 한국문화의 독특한 점은?

 

<독후활동>

1. 내가 좋아하는 음식과 레시피 소개하기.

2. 식빵과 액체 초콜릿, 오이 등의 간단한 재로로 자아상 만들어보기(푸드테라피)

3. "한 끼 식사"를 주제로 공동 시쓰기

4. 다양한 종교의 식사 기도문 연구해 보기

5. 식사에 관한 명시 탐색하여 발표하기

6. 식탁을 주제로하는 대중가요 찾아보기

"맛있는데!"
"근사해!"
"세상에 이런 맛이!"
"한 마디로 하늘나라 맛이야!" - P1

옛날에 사람을 잡아 먹는 거인이 혼자 외로이 살고 있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