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설탕의 맛
김사과 지음 / 쌤앤파커스 / 2014년 2월
평점 :
2014년 김사과는 여행 에세이를 냈고, 그의 글에는 여행의 표정이 없었다. 여행의 표정은 무엇인가. 흔히 여행기에서 쉽게 느껴지는 것, 여행을 권장하는 이들이 줄곧 지어보이는 것, 그러니까, 페이스북에서 실시간으로 올라오는 표정 같은 것. 이를 형용사로 표현하자면, ‘해맑음.’ 이곳의 여행기는 죄다 그 표정을 짓고 있었고, 그건 마치 페이스북을 끊임없이 보고 있다는 기분이 들었고, 결국 여행기는 세련된 신파극이 되어버리곤 했다. 그런데, 김사과의 『설탕의 맛』에는 그게 없다. 으레 여행자라면 당연히 있어야 할 표정이 없다.
감동과 감탄. 여행의 필수적 감정들. 사람들은 언제나 ‘그곳’은 ‘여기’와 다를 거라고 믿었다. 그래서 마음껏 감동했고, 한없이 감탄했다. 그것은 마치, 공간을 통해 시간을 건너뛰는 것 같았다. 지나간 과거를 만나고 감동하거나, 다가올 미래를 꿈꾸며 감탄하거나. 언제나 가장 구질구질 한 것은 바로 ‘현재’였으므로, 자고로 여행이란 과거나 미래가 되어야 한다는 것은 당연한 이치인지도 모른다. (그렇지 않으면 누가 여행을 가려고 하겠는가?) 그런데, 『설탕의 맛』은 뉴욕과 포르투와 베를린과 다시 뉴욕을 거쳐 가면서 자꾸만 하나의 도시만을 떠오르게 한다. 그것은, 서울이었다.
익숙함. 익숙했던 것. 곧, 익숙해질 것. 그것은 놀라움과는 완전히 동떨어진 다름이었다. 그러니까, 그것은 마치 신상품 같은 다름이었다. 신상품은 예전 상품과 다르다. 하지만, 익숙하다. 아이폰5S는 아이폰4와 다르다. 하지만, 익숙하다. 서울에서 유행하는 상품들은 지방의 상품과 다르다. 하지만 곧 그것은 익숙해질 것이다. 여행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익숙해지고야 말 신상품의 최신 유행을 체험해볼 수 있다는 것 정도에 불과해졌는지도 모른다는 어떤 불길한 느낌. 김사과의 여행기에는 그런 예감이 짙게 배여 있다.
그러니까 보고 있는 것은 뉴욕이라는 서울이고, 포르투라는 서울이며, 베를린이라는 서울이다. 그것은 서울의 신상 버전 혹은 구 버전이거나, 아니면 그저 제품넘버만 다른 같은 회사의 상품 같은 것이다. 『설탕의 맛』에서는 각기 다른 지역의 풍경들을 묘사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그것은 기존의 여행기가 내뱉었던 ‘다른 세계’ 따위의 판타지가 아니라, ‘다른 제품’의 설명서 같은 느낌이 든다. 아, 여기는 이렇군. 어, 저기는 그렇군.
‘다른 세계’는 사라지고, ‘다른 제품’만 남은 사회, 그것은 불길하지만 달콤하다. 어차피 사람들은 ‘다른 제품’이 주는 달콤함에 적응한지 오래다. 오래전 ‘다른 세계’에 열광했던 사람들은 이제 ‘다른 제품’에 열광한다. 우리를 구원해 줄 수 있는 무언가가 있다면, 그것은 ‘다른 세계’가 아니라 ‘다른 제품’일거라고 믿는다. 설령, 그것이 가짜 세계일지라도, 가짜 신일지라도, 가짜 구원일지라도, 어떠한가. 어차피, 진짜는 사라졌는데. 하여, 이 여행기에 다른 세계는 없다. 그러니까, 이 책은 여행기가 아니다. 각기 제품 넘버가 다른 유사 제품에 대한 후기 같은 것에 가깝다.
여행의 표정이 아닌 제품의 표정. 『설탕의 맛』이 짓는 표정. 그것은 건조하지만, 달콤하다. “샴푸 냄새 나는 죽음” 같은 것. 그것은 정말이지 “나쁘지 않아”보이기에, 기꺼이 빠져 익사당해도 좋을 것만 같다. 아니, 이미 이곳에서는 그와 같은 일들이 일어나고 있고, 그것은 서울의 풍경이자, 뉴욕의 풍경이며, 포르투와 베를린의 풍경이었다.
뉴욕과 포르투와 베를린에 대한 김사과의 글을 보면서, 나는 그가 서울에 대한 에세이를 쓰면 재밌을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가,(서울이란 제품에 대한 후기 같은 것.) 아니 어쩌면 서울에 대한 에세이가 바로 이 『설탕의 맛』이 아닐까 하는 결론에 이르렀다. 분명히, ‘서울 SEOUL 14’ 라는 마지막 장이 추가되었어도 그것은 조금도 어색하지 않았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