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프린세스 바리 - 제2회 혼불문학상 수상작
박정윤 지음 / 다산책방 / 2012년 10월
평점 :
바리, 안녕? 네 이야기를 듣고 무슨 글을 써야 할지, 도무지 알 수 없어서, 한동안 고민했어. 내게 네 삶은 ‘먹먹함’이라는 거대한 벽이었고, 나는 그 앞에서 한 마디도 내뱉을 수 없었지. 책을 덮은 후, 내가 할 수 있는 것이라곤, ‘침묵’뿐이었어. 이 시대에는 상처를 드러내고, 위로를 건네주고, 힐링을 시전하면 모든 것이 해결될 듯이 떠들어대고, 또 그런 행동들이 이미 ‘누구나 따라하는 유행’이 되어버린 지 오래지. 하지만, 나는 감히 네게 위로를 건네지 못하겠고, 힐링을 주겠노라고 자신할 수 없었어. 서투른 위로와 거짓된 힐링은 오히려 상처를 덧나게 할 뿐이라는 걸, 언젠가 겪었기 때문이랄까. 아, 정말, 정말로 나는 널 어떻게 위로할지도, 무엇을 해야 힐링이 가능할지도 모르겠어. 그래서 난, 이렇게 편지를 쓰려고 해. 이걸로 너를 위로하겠노라는, 그런 얄팍한 마음은 없어. 다만, 네게 말을 건네고 싶을 뿐이야. 그러니, 편히 읽어주길 바래.
네 이름은 바리. 할머니가 매번 들려줬던 바리공주 이야기에서 따온 이름이지. 부모는 아들을 원했으나 끝내 딸로 태어나서 버려지게 된, 그 기구한 운명이 비슷했기에 할머니는 그렇게 이름을 지었을 거야. 그래, 넌 버려졌어. 너는 물었을 테지. ‘왜 하필 내가 버려진 것일까? 내 앞의 언니들은 한 명도 버려지지 않았는데!’ 아마도, 너는 그 답을 바리공주 이야기에서 얻지 않았을까 싶어. 언젠가 자신을 버린 부모님이 곤란해질 때가 오고, 그때에 자신을 필요로 하게 되며, 그리하여 자신이 얼마나 소중했던 딸이었음을 깨닫게 되는 날이 올 것이라고 말이야.
그러나 너는 이름이 ‘바리’일 뿐, ‘바리공주’가 아니었어. 부모님은 네가 없이도 잘 살아가고 있었으며, 굳이 너의 존재를 필요로 하지 않았고, 그래서 네가 얼마나 소중한 딸인지 전혀 알 수가 없었지. 그래서 너는 연탄이 아니라 고추장을 팔면서 여전히 잘 사는 부모의 집을 뒤로한 채, 널 키운 산파 할머니와 살았던 가난한 시장 한 구석으로 돌아오게 돼. 그곳에선 홍등가에서 일했던 연슬언니가 있었고, 중국에서 엄마를 만나기 위해 참께 자루에서 숨죽이며 온 나나진이 있었고, “꿀맛이야, 바리랑 함께 먹으면, 뭐든지.”라고 말하는 청하가 있었고, 언제나 읽을 책을 가게에 놔두는 토끼 할머니가 있는 곳이었지.
언제부터인가 너도 느꼈을 거야. 삶은 어렸을 적 들었던 이야기와는 다르다는 걸. 때로는 그 괴리감이 우리를 너무도 슬프게 만들지. 그토록 당당했던 여성이었던 산파는 아기를 못 가진 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그 이후의 삶이 전혀 예상치도 못했던 방향으로 흘러갔고, 몸을 팔아 동생들을 보살핀 연슬언니는 끝내 그 동생들에게 외면 받았고, 나나진의 친아버지는 자신의 딸에게 몸을 요구했으며, 너에게 청혼했으며 아이를 함께 만들었던 청하는 무언가 꺼림칙한 사고로 죽게 되었지. 마침내 너는 “토끼 할머니에게 쓸 독초와는 다른 독초”, “편안하게 죽음으로 인도하는 절차 따윈 없이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강력한 독초”를 법제하려고 해. 그리고 반드시 (아마도 그 독초를 쓰기 위해) 돌아오겠노라는 너는 다짐하지.
자, 그런 너에게 내가 무슨 말을 건넬 수 있을까? 부모님은 없었지만, 두 할머니가 있지 않았느냐고? 고백을 하고, 결혼을 했던 청하와 함께한 기억이 있지 않았느냐고? 그래도 청하의 아이가 남아있지 않느냐고? 그런 빤한 소리는 하고 싶지도 않고, 네가 듣고 싶지도 않을 거라고 생각해. 지독한 삶 속에서 너는 위로와 힐링이 필요할지도 모르겠어. 아니면, 너의 지독한 삶과 마주한 우리에게 필요한 건지도 모르지. 하지만, 억지로 쥐어 짠 위로와 힐링으로 네 상처 난 마음을 치유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아. 단지, 그렇게 하면 네 마음이 치유 될 거라 믿으면서 네 삶을 마주하게 되어 느끼는 우리들의 불편함만을 완화시켜줄 뿐이지.
청하가 세상을 떠나고, 너는 불안해했지. “어, 나나진. 나 혼자 청하의 아기 잘 키울 수 있을가? 지켜줄 수 있을까?” 이때 나나진은 이렇게 대답했어. “왜 혼자야. 쌀집 할머니도 있고, 나도 있고, 음, 빨간 입술 싸가지 할머니도 있잖아” 맞아. 너는 버려진 아이였지만, 비록 그것은 어떤 ‘행복’을 위해 견뎌내야 하는 ‘소명’도 ‘운명’도 ‘사명’도 아니었지만, 혼자인 아이는 아니었어. 네가 좋다면, 나도 너와 함께 할게. 너 혼자 청하의 아이를 키우지 않게 할게. 우리, 친구하자. 나는 감히 네 삶을 위로하거나 치유할 수 있는 건 아니지만, 손은 내밀 수 있어. 내 손을 잡지 않을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