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린세스 바리 - 제2회 혼불문학상 수상작
박정윤 지음 / 다산책방 / 201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바리, 안녕? 네 이야기를 듣고 무슨 글을 써야 할지, 도무지 알 수 없어서, 한동안 고민했어. 내게 네 삶은 먹먹함이라는 거대한 벽이었고, 나는 그 앞에서 한 마디도 내뱉을 수 없었지. 책을 덮은 후, 내가 할 수 있는 것이라곤, ‘침묵뿐이었어. 이 시대에는 상처를 드러내고, 위로를 건네주고, 힐링을 시전하면 모든 것이 해결될 듯이 떠들어대고, 또 그런 행동들이 이미 누구나 따라하는 유행이 되어버린 지 오래지. 하지만, 나는 감히 네게 위로를 건네지 못하겠고, 힐링을 주겠노라고 자신할 수 없었어. 서투른 위로와 거짓된 힐링은 오히려 상처를 덧나게 할 뿐이라는 걸, 언젠가 겪었기 때문이랄까. , 정말, 정말로 나는 널 어떻게 위로할지도, 무엇을 해야 힐링이 가능할지도 모르겠어. 그래서 난, 이렇게 편지를 쓰려고 해. 이걸로 너를 위로하겠노라는, 그런 얄팍한 마음은 없어. 다만, 네게 말을 건네고 싶을 뿐이야. 그러니, 편히 읽어주길 바래.


네 이름은 바리. 할머니가 매번 들려줬던 바리공주 이야기에서 따온 이름이지. 부모는 아들을 원했으나 끝내 딸로 태어나서 버려지게 된, 그 기구한 운명이 비슷했기에 할머니는 그렇게 이름을 지었을 거야. 그래, 넌 버려졌어. 너는 물었을 테지. ‘왜 하필 내가 버려진 것일까? 내 앞의 언니들은 한 명도 버려지지 않았는데!’ 아마도, 너는 그 답을 바리공주 이야기에서 얻지 않았을까 싶어. 언젠가 자신을 버린 부모님이 곤란해질 때가 오고, 그때에 자신을 필요로 하게 되며, 그리하여 자신이 얼마나 소중했던 딸이었음을 깨닫게 되는 날이 올 것이라고 말이야.


그러나 너는 이름이 바리일 뿐, ‘바리공주가 아니었어. 부모님은 네가 없이도 잘 살아가고 있었으며, 굳이 너의 존재를 필요로 하지 않았고, 그래서 네가 얼마나 소중한 딸인지 전혀 알 수가 없었지. 그래서 너는 연탄이 아니라 고추장을 팔면서 여전히 잘 사는 부모의 집을 뒤로한 채, 널 키운 산파 할머니와 살았던 가난한 시장 한 구석으로 돌아오게 돼. 그곳에선 홍등가에서 일했던 연슬언니가 있었고, 중국에서 엄마를 만나기 위해 참께 자루에서 숨죽이며 온 나나진이 있었고, “꿀맛이야, 바리랑 함께 먹으면, 뭐든지.”라고 말하는 청하가 있었고, 언제나 읽을 책을 가게에 놔두는 토끼 할머니가 있는 곳이었지.


언제부터인가 너도 느꼈을 거야. 삶은 어렸을 적 들었던 이야기와는 다르다는 걸. 때로는 그 괴리감이 우리를 너무도 슬프게 만들지. 그토록 당당했던 여성이었던 산파는 아기를 못 가진 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그 이후의 삶이 전혀 예상치도 못했던 방향으로 흘러갔고, 몸을 팔아 동생들을 보살핀 연슬언니는 끝내 그 동생들에게 외면 받았고, 나나진의 친아버지는 자신의 딸에게 몸을 요구했으며, 너에게 청혼했으며 아이를 함께 만들었던 청하는 무언가 꺼림칙한 사고로 죽게 되었지. 마침내 너는 토끼 할머니에게 쓸 독초와는 다른 독초”, “편안하게 죽음으로 인도하는 절차 따윈 없이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강력한 독초를 법제하려고 해. 그리고 반드시 (아마도 그 독초를 쓰기 위해) 돌아오겠노라는 너는 다짐하지.


, 그런 너에게 내가 무슨 말을 건넬 수 있을까? 부모님은 없었지만, 두 할머니가 있지 않았느냐고? 고백을 하고, 결혼을 했던 청하와 함께한 기억이 있지 않았느냐고? 그래도 청하의 아이가 남아있지 않느냐고? 그런 빤한 소리는 하고 싶지도 않고, 네가 듣고 싶지도 않을 거라고 생각해. 지독한 삶 속에서 너는 위로와 힐링이 필요할지도 모르겠어. 아니면, 너의 지독한 삶과 마주한 우리에게 필요한 건지도 모르지. 하지만, 억지로 쥐어 짠 위로와 힐링으로 네 상처 난 마음을 치유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아. 단지, 그렇게 하면 네 마음이 치유 될 거라 믿으면서 네 삶을 마주하게 되어 느끼는 우리들의 불편함만을 완화시켜줄 뿐이지.


청하가 세상을 떠나고, 너는 불안해했지. “, 나나진. 나 혼자 청하의 아기 잘 키울 수 있을가? 지켜줄 수 있을까?” 이때 나나진은 이렇게 대답했어. “왜 혼자야. 쌀집 할머니도 있고, 나도 있고, , 빨간 입술 싸가지 할머니도 있잖아맞아. 너는 버려진 아이였지만, 비록 그것은 어떤 행복을 위해 견뎌내야 하는 소명운명사명도 아니었지만, 혼자인 아이는 아니었어. 네가 좋다면, 나도 너와 함께 할게. 너 혼자 청하의 아이를 키우지 않게 할게. 우리, 친구하자. 나는 감히 네 삶을 위로하거나 치유할 수 있는 건 아니지만, 손은 내밀 수 있어. 내 손을 잡지 않을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