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아이처럼 - 아이, 엄마, 가족이 모두 행복한 프랑스식 육아
파멜라 드러커맨 지음, 이주혜 옮김 / 북하이브(타임북스) / 2013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의견이 분분하다. 만나는 모든 이들은 자신의 경험을 근거로 더할 수 없는 확신에 차 있고, 경험이 없는 나의 생각들은 그만큼 흔들린다. 살면서 이토록 불확실한 과제를 받아본 적이 있었던가.

육아가 그렇다. 아이는 사람이니까. 워낙에 사람을 읽는 일에 소질이 없는 탓에 내 아이를 읽지 못하고 놓칠 일이 두렵다. 그래서 이런 책을 읽게 되는가보다.

일단 재미있다. 저자의 서술에 비추어보면 우리와 꽤 비슷한 모습의 미국인 엄마가 프랑스 엄마들과 아이들, 그 사회가 아이들을 어떻게 대하는지 관찰하고 감탄하고 의심하는 과정들이 남 얘기가 아니다보니.

어떤 부분에선 매우 확실하다. 신뢰할 만 하단 생각이다. 실습해보고 싶어서 아이가 더 갓난아기였을때 읽었다면 좋았겠다는 생각이 들 정도이다.

어떤 부분에선 도대체 어떻게 한다는 건지 감이 안 잡힌다. 나의 단호함과 그들의 단호함은 어떻게 다르길래. 프랑스 엄마 한 분 모셔서 과외라도 받고 싶다.

전반적으로는 참고할 만 하다는 수준이다. 네이버 맘키즈 섹션에 올라오는 각종 글들과 거리가 멀다. 이것저것 보고 내 노선을 정하는 것이 바램인데 간극을 메우는 합의점을 찾기가 어려울 정도. 결국은 엄마의 직관인가.

가장 부럽다 할 수 있던 건, 사회 전반에 육아법에 대해 무의식적 합의가 이루어져 있다는 것. 어제 만난 친구와 오늘 만난 친구가 극과 극의 육아법을 얘기하는 사회에서 초보엄마들은 너무 혼란스럽다. 프랑스 사람들이 ‘맘충‘이라는 단어에 대해 어떻게 반응할지 정말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