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드의 '사전꾼들' 의
형식과 작동 원리를 단적으로 드러내주는 주인공 에드와르의 작품 속 대사. 가령.
"제가 원하는 것은 한편으로 현실을 보여주는 동시에, 또 한편으로는 방금 말씀드린 바와 같은 형식화를 위한 노력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독자들은 지루해서 끝까지 읽지도 못할 거예요."하고 로라가 말했다. 미소를 참다 못해 이제 그녀는 웃음을 드러내기로 작정했던 것이다.
"천만에, 내 이야기를 들어 보십시오. 그런 효과를 얻기 위해 소설가인 한 인물을 만들어서, 그를 중심 인물로 설정합니다. 그러니까 작품의 주제는 말하자면 현실이 그에게 제공하는 것과 그가 현실로써 만들어 내려고 하는 것과의 투쟁이 되는 셈이지요."
...
...
"제 소설의 주인공인 소설가는 현실을 이탈하려고 원하겠지만, 저 자신은 끊임없이 그를 현실로 끌어들일 생각입니다. 사실을 말씀드리자면 그것이 바로 주제가 됩니다. 현실에 의하여 제시되는 사실과 관념적 현실 사이의 투쟁."
국역본, 161-162쪽.
"내가 쓰고자 하는 것은 음악에 있어서 '푸가' 기술과 같은 것입니다. 음악에 있어서 가능했던 것이 어째서 문학에서는 불가능한 것인가 알 수 없습니다."
소프로니스까는 반박했다. 음악은 하나의 수학적 기술이며 더구나 바흐는 특히 기호만을 고려하고 감정이나 인간성을 배격함으로써 비로소 권태의 추상과 걸작, 일종의 성좌의 전당을 창조하기에 성공한 것이다. 그리고 그 비밀스러운 전래는 해득하는 소수의 사람들 이외에는 거기에 들어갈 수 없다는 것이었다. 에드와르는 곧 그것에 반대하여, 자기는 그 전당을 참으로 훌륭한 것이라고 생각하며 바흐 전생애의 궁극점과 절정을 거기에서 볼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그 뒤에"하고 로라가 덧붙여 말했다. "사람들은 푸가로부터 완쾌하였어요. 인간의 감정을 더 이상 그런 곳에서는 살 수 없어서 다른 장소를 찾게 된 것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