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토익 만점 수기 - 제3회 중앙장편문학상 수상작
심재천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12년 1월
평점 :
품절


 

여러가지 스킬을 요구하는 사회에 산다.

 

토익 점수로 대변되는 영어 스킬 뿐이랴.

 

가끔 그런 생각을 한다.

자유와 선택이 양육강식의 세계에서는 생존 자체만을 위해 참 버겨운 짐이 될 수 있다고.

차라리 태어난 직업으로 평생을 먹고 산 중세인들은

자신의 직업에 대해 진지했을까, 하고.

다른 직업으로 태어나지 못한 게 비단 그렇게 맺히는 한 뿐이었을까.

 

여러 가지 스킬이 있어서 그 스킬로 할 수 있는 직업을 택하는 사회에 살다보니

직업을 신이 부르신 소명(calling)이라 생각하는 그 진지함이

못내 아쉽다는 생각도 들고,

재주부리는 것들의 한계는 어디까지인지 궁금하기도 하다.

 

내 한 움쿰 스킬로, 재주로

일을 하며 버텨살다보니,

이 재주로 감당할 수 있는 한계가 어디일까 걱정도 된다.

 

그리고 같은 질문을

글을 쓴 작가 분께 되돌리고 싶다.

 

글쓰기가 재주인가.

어디까지가 재간이고 어디까지가 진심이고 깊이인가.

 

당신 글을 읽고

당신 재주는 알겠다.

 

보면 수려한 데뷔작을 내고 스러져간 작가들이 꽤나 많더라.

이는 글쓰기 재주로 뽑아낼 이야기를 담은 마음이 깊지 못하여 

자기 인생 경험치 밖에 없어서

그걸 뽑아낸 후 다시 뽑아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많은 작가들이 자신의 자서전 비스무리한 데뷔작을 많이들 쓰고

많이들 성공하고 그리고 많이들 스러져 가더라.

 

이번에 한껏 재주를 풀어놓은 건 알겠더라.

자신의 경험담과 이전 명작들의 상상력에 기대어서.

 

다음은 무엇일까....심히 고민이 되겠다. 이 작가는.

 

백수라 루저라는 자의식을 너무 면도칼처럼 세우다 혼자 다치지 말고

그걸 아니라고 증명하느라 작가의 말을 낭비하지도 말고,

다음 작품을 풀어낼

상상력을 기대하게 만들어주길 바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