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재가 노래하는 곳
델리아 오언스 지음, 김선형 옮김 / 살림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섯 살부터 늪지에서 홀로 자란 여자 카야의 이야기이다. 소설의 세팅은 아름답다. 자연 속에 홀로 사는 야성의 아름다운 여인이라는 주제 하나로 반 이상 먹고 들어간달까.

그러나, 자연 =여성이라는 등식을 전제로 깔고 있어 불편하다. 자연은 아름답다. 자연이 아름다운 건 인간의 투사일 뿐이다. 원시의 미몽에서 벗어나 문명을 건설하고 자연을 정복한 인간들은, 자연 속에 생존을 두고 공포에 발발 떨던 과거를 편리하게도 잊고 그 무시무시했던 자연을 아름다운 것으로 환원시켜버렸다. (영어로 '환원시키다'가 reduce인거 정말 마음에 든다. ) 자연 속의 여자가 아름다운 것도 사실 환상일 뿐일지도 모른다.

남자는 두 가지 힘으로 여자의 세계에 침탈해 온다. 하나는 글자를 가르치는 이성의 힘, 또 하나는 온전히 마초스러운 남자의 힘.

재미있긴 하다. 이성 = 남자라는 등식이 통용되는 문화 내에서 여자가 이성의 질서에 편입되는 과정이 어떤 건지, 공부하는 여자의 딜레마가 무엇인지, 여자의 이성이 유독 돋보이는 건, '와, 여자인데 똑똑해'이건 '혼자 자연 속에서 독학했는데 똑똑해'이건, 이런 새삼스러운 반응들만큼,얄궂지 않나.

글을 가르치는 남자에게 종속되듯 느끼는 의존인지 사랑인지 한 관계가 축을 이룬다면, 공작새같이 수컷의 매력을 잔뜩 내뿜으며 실질적으로 (육체적으로) 여자를 침탈하는 관계가 또 다른 축을 이룬다. 후자의 남자는 사회와 문화가 가르치고 허용하는 관계 외엔 모른다 - 쓰레기라 불리는 늪지에 사는 가난한 백인과 계급의 차이를 좁힐 생각도 의지도 없고, 여자가 같은 인간이고 고유한 매력을 지녔는지에도 관심이 없다. 그냥 예쁘면 된다. 그리고 언제나 새로운 여자가 최고의 여자이므로, 문명 밖 여자의 아름다움은 ('헌'여자가 아닌) '새' 여자의 아름다움이니까 쫓는다.

카야는 독서의 힘으로 이성을 갈아, 늪지에서 자신을 들어올린다. 남들이 '마시 걸,' 쓰레기같은 늪지 소녀라 붙인 낙안에서 자신을 들어올린다. 남자건 여자건 공히 있는 이성의 힘으로 자신을 들어올리고, 남자건 여자건 공히 있는 욕망의 힘으로 자기 세계를 위협하는 남자에 맞선다. 끝에 반전이 있다.

성장 서사로 시작해, 로맨스 서사를 타다, 법정 심리 서사로 마무리되는 그런 느낌의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