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을 견디는 기쁨 - 힘든 시절에 벗에게 보내는 편지
헤르만 헤세 지음, 유혜자 옮김 / 문예춘추사 / 2022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나의 인생소설 데미안을 쓴 헤르만 헤세의 에세이집이다
책 제목을 처음 보았을때 '헤르만 헤세가 삶을 견딜만큼 힘겨운 인생을 살았나?'하는 의문부터 들었다

데미안을 포함해 수레바퀴 아래서, 유리알 유희, 황야의 늑대, 나르치스와 골드문트, 싯다르타 등 거의 모든 작품을 읽었지만 헤르만 헤세에 대해 알고있는게 별로 없다는데 놀라고, 작가의 연보를 구글링해보고 또 한번 놀랐다

선교사인 부친과 독실한 기독교 신자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 종교적 환경에서 자란 어린시절과 엄격한 규율에 적응하지 못하고 신학교를 뛰쳐나와 일반학교도 퇴학을 당하고 자살까지 시도하고, 시인을 꿈꾸며 시계공장 견습공 대학가 서점에서 일하며 불안한 청춘시절을 보냈다

또한 나치 치하의 독일에서 전쟁을 반대하고 나치즘을 비판했다는 이유로 같은 독일 국민들에게 비난받고 탄압을 당하기도 했다
결국 조국을 버리고 스위스로 망명해서 독일인이 아닌 스위스인으로 살다 생을 마감한다

평생 우울증으로 카를 구스타프 융에게 정신치료를 받기도했다니 데미안에서 주인공 싱클레어가 겪는 정신적 고뇌와 혼란들이 헤르만 헤세 자신의 경험담일지도 모른다

노벨문학상과 괴테상을 동시에 수상한 성공한 작가로 성공한 화려한 꽃길만 걸었을것 같은데 가족과의 불화, 조국의 배신, 우울증 등 보통사람이라면 감당하기 어려울정도로 파란만장한 일생을 보냈다

책은 특이하게도 삶에 대한 짧은 단상들을 적은 글과 시, 그리고 그림으로 구성되어 있다
1부 영혼이 건네는 목소리 2부 조건없는 행복 3부 삶의 진정한 아름다움으로 나누어 48편의 글과그림을 통해 예술 문화 사회에 대한 사색 뿐만 아니라 인간이라는 존재, 행복과 고통, 삶과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담백한 글로 쓰여진 문장들은 오래오래 곱씹어야 비로소 마음에 와닿고, 작가가 직접 그린 소박한 풍경화 또한 삶의 고통을 외면하지 않고 일상에서 소소한 행복을 찾아 끝까지 견디며 깨달은 인생의 지혜를 고스란히 느낄수있다

나처럼 헤르만 헤세를 사랑하는 독자든 아니든 책을 읽다보면 그가 작가가 아니라 철학자에 더 가깝다고 느낄만큼 사색의 깊이가 아주 깊다
이 책 한권에는 헤르만 헤세가 우리에게 들려주는 삶에 대한 태도와 애정이 모두 들어있다

세상에서 나혼자 불행하고 고통스러운 삶을 살고있다고 느껴질때 '힘든 시절에 벗에게 보내는 편지'라는 부제처럼 따뜻한 위로와 응원이 되어줄 것이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 여름날의 록스타 - 여전히 가슴 뛰게 하는 음악들에 대하여
이승윤.당민 지음 / 클로브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연인 헬스보이로 유명한 개그맨 이승윤과 유튜브 채널 당민리뷰를 운영하는 당민이 함께 록ROCK에 대한 추억을 이야기하는 에세이다

음악 쫌 듣는 음잘알이라면 중고등학교 시절 MBC FM 김기덕의 골든디스크나 두시의 데이트, KBS 김광한의 팝스다이얼이나 쇼 비디오자키를 들으며 좋아하는 팝송이나 락 명곡이 나올때마다 카세트 테이프에 녹음해 믹스테이프를 만들거나 배철수의 음악캠프에서 추천하는 히트곡들을 공CD에 구워 자기만의 플레이리스트를 만들어본 추억이 있을것이다

나 또한 본조비와 U2를 추앙하던 락덕후였는데 1960년대 자유정신을 대표하는 비틀즈부터 1970년대 고막이 터질듯한 강한 사운드의 하드록, 1980년대 이후 얼터너티브락과 모던록까지 락의 역사와 함께 나이 들었다

락밴드 멤버들의 이름과 대표곡을 줄줄 외우고 한곡한곡 영한사전을 찾아가며 가사를 해석하고 록스타처럼 삑사리를 내며 She's Gone을 불렀다
그시절엔 락이 우리들의 음악이었다
책은 여전히 가슴 뛰게하는 락음악들의 추억을 소환한다

10대시절 만들었던 믹스 테이프처럼 A면과 B면으로 나누어 SIDE A MORE THAN POWER 파워 그 이상의 감성 편에서는 레드 제플린으로 시작해 딥 퍼플, 레인보우, 에어로스미스, 보스턴, 건즈 앤 로지스, 포이즌, 잉베이 맘스틴, 아이언 메이든, 본 조비, 반 헤일런, 콰이어트 라이엇, 드림 시어터, 익스트림 같은 감성을 자극했던 밴드의 곡들을 담았다

SIDE B POWER 일상의 탈출구를 열다 편에서는 좀 더 파워풀하게 메탈리카로 시작해 메가데스, 헬로윈, AC/DC, 블랙 사바스, 오지 오스본, 주다스 프리스트 같은 헤비메탈의 전형을 보여주는 곡을 소개한다

전설적인 락밴드와 함께 Stairway to Heaven, November Rain, Sweet Child O' Mine, Always, It's My Life, Jump, More than Words, She's Gone, Goodbye to Romance 등 누구나 한번쯤 들어보거나 불러보았을 명곡들이 나온다

두 저자중 이승윤은 :L 당민은 :D로 표기해서 구분하고 있는데 이승윤님은 자신이 좋아했던 락밴드와 관련된 추억 이야기를, 당민님은 락밴드와 멤버에 대한 리뷰 위주로 글을 써 저자마다 골라읽는 맛이있다

책을 읽는내내 두저자의 이야기가 마치 내가 처음 락음악에 빠졌을때의 감정이 고스란히 느껴져 '이건 내 이야기잖아~' 하면서 재미있게 읽었다ㅎㅎㅎ

누군가 락은 청춘에게 허락된 합법적 마약이라고 했다
그만큼 락은 청춘, 여름과 가장 잘 어울리는 조합이다

락보다는 아이돌 음악에 더 열광하는 요즘 세대에겐 락의 찐 매력을 알게해주는 가이드가 되고, 나같은 락덕후에겐 시간을 달려 젊은 여름날의 락스피릿에 불을 지피는 책이다

Rock Will Never Die!!🤘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노자와 장자에 기대어 - 최진석의 자전적 철학 이야기
최진석 지음 / 북루덴스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노장철학의 대가 최진석 교수님의 자전적 철학 이야기를 담은 에세이다
EBS 인문학 특강 노자강의를 듣고 최진석 교수님을 알게되었는데 그전까지 공자를 동양사상의 최고이자 유일하다고 믿고 그의 가르침을 따르던 나를 노자와 장자의 세계로 입문하게 만들만큼 정신이 번쩍드는 강의였다

책은 1부 별헤는 마음 2부 우주를 겨드랑이에 낀 채로
3부 신의있는 사람 4부 건너가는 시선 5부 정해진 마음 넘는 법으로 나눠 노자와 장자의 시선으로 나와 우리사회를 통찰한다

책의 처음 저자가 고등학생때 별똥별을 보고 깨달음을 얻는것으로 부터 이야기가 시작되어 우리동네 우리나라는 왜 이렇게 가난할까? 라는 생각으로 고향 섬을 떠나고 싶어하는 마음,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의 주인공 산티아고, 아버지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큰누나의 죽음을 통해 본 어머니의 마음같은 개인적인 이야기부터 공자, 노자와 장자, 뉴턴 칼 세이건 루쉰에 이르기까지 동서양의 철학자와 사상가 학자들의 이야기를 통해 나와 우리사회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할지를 보여준다

철학자로서가 아닌 인간으로서의 진솔한 이야기와 그를통한 철학적 사유를 엿볼수있어 감동이 더 깊었고, 노자와 장자의 사상을 바탕으로 우리의 삶과 사회를 어떻게 바꿔야할지 스스로에게 질문하는 시간이 되었다


[본 포스팅은 네이버 카페 문화충전200%의 서평 이벤트로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___답지 않은 세계 - MZ에 파묻혀 버린 진짜 우리의 이름
홍정수 지음 / 부키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도 한때는 다른사람의 시선이나 사회가 정해놓은 틀에서 벗어나 자유롭고 개성적인 신세대의 아이콘인 X세대였다

시간이 흘러 386 486 586으로 이름이 바뀌고 옛날사람 화석 꼰대가 되어버렸고 X세대가 지나온 그 자리를 MZ세대가 물려받았다
하지만 예전의 기성세대들이 X세대를 바라보던 시각과는 꽤 다른 차이가있다

단군이래 가장 똑똑한, 높은 학력과 스펙을 가졌으면서도 부모보다 가난한 첫 세대, 제대로된 직장도 평생 자기가 살 집 하나를 가질수있을지 모르는 세대, 사랑도 결혼도 아이도 포기하는 세대, 일이나 직장보다 내가 가장 중요한 세대..

​과연 우리가 보는 MZ세대와 그들이 생각하는 자신들의 모습이 일치할까?
91년생 저자는 '아, 진짜 그거 아니라고!'를 외치며 MZ세대론에 질린 나머지 책까지 쓰게되었다고 한다

책은 첫번째 이야기 요즘것들의 유별난 취향에서는 MBTI에 열광하고 할머니스타일이 트렌드이며 개취(개인의 취향)과 요즘 핫하다는 갬성을 찾아 헤매며 아날로그 감성을 추구하며 집꾸미기에 진심인 MZ세대의 취향을, 두번째 이야기 모순덩어리가 살아가는 법에서는 취업 스트레스와 퇴사축하, 하나의 직장과 부캐 N잡러, 파이어족과 욜로족, 명품 플렉스와 짠테크가 공생하는 MZ세대의 고민을, 세 번째이야기 당돌과 당황의 콜라보에서는 젊은꼰대라고 셀프디스하고 아이를 낳지않고 빠른 손절과 너무나 쉽고 간단해진 혐오같은 기성세대가 불편해하는 MZ세대의 측면과 MZ세대내에서도 존재하는 갈등과 차이점을, 네 번째 이야기 그리고 더 많은 목소리에서는 과거의 부조리에 반대하고 미래를 위해 싸워나가는 MZ세대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MZ세대들의 실상을 디테일하게 다룬 이야기들을 읽다보니 '얘네들은 무슨 생각을 하는걸까?' '도대체 왜 저러지?'라고 부정적이고 거부감이 느껴졌던 것들이 '아.. 그럴수도 있겠구나' 그들만의 힘듦과 고민도 많았겠구나 이해가된다

책을 다 읽고나면 ~카더라식 소문만 무성하고 실체는 없던 MZ세대에 대해 조금은 알것같고, '요즘애들은 다그래~' 나이나 세대를 기준으로 ㅇㅇ나이이기때문에 ___답다라는 대신 그냥 한사람으로 봐주자는 저자의 말에 공감하게된다

M도 Z도 동의하지 못하는 해괴한 세대론을 누가 만들었을까?
우리는 왜 무의미한 알파벳 조합으로 프레임을 만들어 서로를 규정지으려고 할까?

기성세대든 MZ세대든 개인마다 일과 삶을 바라보는 시각이 다르고, 추구하는 가치가 다를뿐이다
나이로 세대 갈라치기를 하지말고 서로 다름만 강조해서 못마땅해하고 비판할것이 아니라 같이 일하는 동료로, 같이 살아가야할 존재로 이해하려는 노력이 모두의 생존을 위해 필요하지 않을까?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죽기 전까지 병원 갈 일 없는 스트레칭 - 일생 중 가장 긴 노년, 반짝하는 ‘예쁜’ 몸이 능사가 아니다, 오래 쓰는 몸을 만들어라, 최신 개정판
제시카 매튜스 지음, 박서령 옮김 / 동양북스(동양문고)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트레칭을 운동전 간단한 몸풀기나 맨손체조쯤으로 만만하게 생각한 나자신을 반성한다. 나이들어 병원에 가지않으려면 오늘부터라도 하루 30분씩 열심히 스트레칭하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