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철학 콘서트 1 - 노자의 <도덕경>에서 마르크스의 <자본론>까지 위대한 사상가 10인과 함께하는 철학의 대향연 ㅣ 철학 콘서트 1
황광우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6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세상은 넓고 사상은 많건만, 내가 아는 사상은 그야말로 우주의 티끌만큼이란 생각이 들면서, 저자의 말처럼 고전을 꼭 공부해야겠다 싶더라. 책속에 나온 위대한 사상가 말고도 위대하지는 않으면서 말은 많았던 사상가도 많았겠지? 그런 이들도 누군가의 삶에 영향을 끼쳤을테고.
그러나 어쨌든 인류의 역사에서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두고두고 영향을 미친 '위대한' 사상가 10인이 있었으니 그들이 누구냐? 소크라테스, 플라톤, 석가, 공자, 예수, 퇴계이황, 토머스 모어, 애덤 스미스, 카를 마르크스, 노자이다라고 책의 저자가 꼽아놓았다. 한번쯤 혹은 자주 들었던 인물들일 것이다.
웃기는게 학교서는 이들의 이름 또는 저작이 시험문제의 답으로 암기되는 철학 공부를 했다는 거다. 아니지, 철학 공부랄게 전혀 못되었지. 정말 X같은 나라다. 청소년 시절에 이런 사상가들의 철학에 대해 제대로 배웠다면 스물, 서른이 될때까지, 또는 그보다 더 오랜 시간 방황했을 청춘들이 10분 1쯤으로 줄었을텐데. 나 역시 마찬가지. 그만큼 인간은 아무 생각없이 살기가 어렵다는 거다. 생각할 힘을 길러주는 철학을 제대로 배우지 못했으니 나중에는 결국 아무 생각 없어지는 결과를 낳는게 아닌가?(딴데로 샜다.)
암튼, 살 길을 밝혀주는 철학은 그래서 중요하다. 자신이 왜 존재하고, 세계와 어떻게 관계맺고 있는지, 무엇을 목적으로 살아야하는지를 아는 인간과 모르는 인간은 천지 차이이므로. 위대한 사상가들이 그 길을 안내해주는데도 그걸 모른체 죽다니 인간이 참 어리석다.(또 샜다.)
자신이 왜 존재하는지 알려면 세계를 인식할줄 알아야한다. 바로 세계를 어떻게 인식할 것인가가 철학이자 세계관이다. 그것에 따라 인간이 무엇을 위해 어떻게 살 것인지가 결정된다. 물론 결정 안하고 그냥 살다 갈수도 있다. 그러나 역사는 그냥 살다 가는 사람들이 아니라 생각 좀 하고 사는 사람들에 의해 움직인다는 사실은 인지해야겠지? 이책에서 소개하는 10인의 사상가들을 죽기 전에 다 만나야겠다. 이들에게서 살 길을 배울수 있을 것이다.
사는게 어렵고 힘들수록 철학공부를 더 많이 해야하는데, 어찌된 세상이 자꾸만 철학을 사람들로부터 떼어놓는다. 석가도 공자도 예수도 지금의 세상에선 그모습 그대로의 가르침이 전해지지 않는다. 생각할수록 슬픈 세상이다. 마르크스의 사상이 슬픈 세상을 구원할수 있을까? 토마스 모어의 유토피아는 단지 유토피아로 끝나고 말것인가? 이놈의 세상은 도대체 어떻게 해야 바뀔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