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비폭력 대화
마셜 로젠버그 지음, 캐서린 한 옮김 / 바오 / 2004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살면 살수록 어려워지는게 바로 타인과 소통하고 내 의사를 표현하는 일이다.
타인의 말을 있는 그대로 들어주는 것도 어렵고, 듣고 제대로 이해하는 것도 어렵다. 내 마음을 파악하는 것도 어렵고, 마음을 말로 표현하는 것도 어렵다.
이책은 그러한 어려움에 결정적인 도움을 준다.
이책에 따르면,
'비폭력 대화는 우리가 날 때부터 지닌 연민이 우러나는 방식으로 다른 사람들과 유대관계를 맺고, 우리 자신을 더 깊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비폭력 대화를 통해 우리는 자신을 표현하는 방식을 바꿔서, 우리 의식을 네 가지 영역ㅡ곧 우리가 무엇을 관찰하고, 느끼고, 필요로 하고, 우리 삶을 풍요롭게 하기 위해 무엇을 부탁하는가ㅡ에 집중해 자신을 표현하거나 다른 사람의 말에 귀 기울이는 법을 배우게 된다.
라고 되어 있다.
한 권의 책으로 다 이룰 수는 없지만, 이책을 읽고 잘 실천한다면 이전과는 다른 방식으로 타인과 대화할 수 있음은 분명하다.
우선, 지금까지 익숙해 있던 소통의 장벽을 깨보자.
도덕주의적 비판 - 자신의 가치관과 부합하지 않는 타인의 행동은 나쁘다든지, 부정하다고 판단하는 것.
비교하기 - 비판의 한 형태.
책임을 부인하는 것 - 자신의 생각, 느낌, 행동에 책임이 있다는 의식을 흐리게 하는 것.
강요하기 - 자기가 원하는 것을 다른 사람에게 강요하는 것.
이러한 소통의 장벽이 삶을 소외시키고 연민을 막는다는 것을 인식하고.
비폭력 대화의 네가지 요소를 명심하자.
1.평가와 관찰을 분리하는 것 - 관찰에 평가를 섞으면 듣는 사람은 이것을 비판으로 받아들이고 우리가 하는 말에 저항감을 느끼기 쉽다.
2.느낌을 표현하는 것 - 느낌을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어휘를 활용.
3.느낌 뒤에 숨은 욕구를 인식하는 것 - 다른 사람의 말과 행동이 우리가 갖는 느낌에 자극이 될 수는 있지만 절대로 원인이 될 수는 없다. 느낌을 자신의 욕구에 더 직접적으로 연결해 표현할수록 상대방은 더 쉽게 공감하며 반응한다.
4.무엇을 부탁하기 원하는가를 아는 것 - 막연하고 추상적이거나 모호한 말을 피하고, 원하지 않는 것보다 원하는 것을 말함으로써 긍정적인 행동을 부탁하는 것.
위 네가지 요소와 함께 명심할 것은
공감하기 - 다른 사람이 경험하는 것을 존중하는 마음으로 이해하기. 상대에게 견해나 느낌을 설명하거나, 조언을 하거나, 상대를 안심시키려는 말 대신 전력을 다해 상대의 말에 귀 기울이기.
이다.
읽는 동안 무척 공감되고 그동안 내가 타인과 소통하는데 뭐가 문제였나 알게 해주었지만, 이것을 실천한다는 건 만만치 않은 일일 것이다. 그래도 시도는 해봐야겠지? 하다 안되면 또 하는 거지 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