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하면서 책쓰기 - 컨셉의 명수에게 배우는 책쓰기 전략
탁정언.전미옥 지음 / 살림 / 2006년 9월
평점 :
품절


인터넷이 생활속으로 들어오고 미니홈피나 블로그 열풍이 불면서 우리는 1인 1미디어 시대를 맞게 됐다. 예전엔 '글'이란 '특별한' 사람들만 쓰는 건줄 알았는데 이젠 누구나 인터넷 카페나 블로그를 통해 글로써 자신들의 생각을 나타내는 세상이 된 것이다. 더불어 '특별한' 사람들이 아닌 '평범한 보통' 사람들이 자신의 이야기나 노하우를 나눌 수 있으며 그것들을 책으로 출판하는 시대가 도래했다. 엄청난 정보들이 떠도는 광활한 인터넷 바다에서 누가 나의 글에 관심을 가져줄까 싶지만 블로그가 낳은 적지않은 화제의 책들을 돌아다보면 책쓰기가 아주 머나먼 일은 아닐 것도 같은 기분이 들긴 한다.

 이 책 <일하면서 글쓰기>는 바로 이러한 사람들에게 책쓰는 방법을 알려주는 지침서다. 책은 아무나 쓰냐고 생각했던 당신에게 당신도 책을 쓸 수 있다고 격려하며 책쓰기의 세계로 안내한다.
- 왜 글을 쓰는가. 왜 자꾸 쓰라 하고, 기왕이면 자신의 책을 한 권쯤 가지라고 부추기는가? (중략) 책쓰기는 그 자체로 아주 좋은 자기계발의 방식이기 때문이다. 생각한 것을 글로 씀으로써 개인에게 새로운 가능성이 열리기 때문이다.


자, 이제 책쓰기에 살짝 관심이 생겼는가? 그렇다면 보다 확실한 책쓰기 과정으로 돌입해 보도록 하자. 우선 책을 쓰려면 책으로 낼만한 '꺼리'를 갖고 있어야 한다. 어떤 양질의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느냐가 바로 책쓰기의 시작점이다. 자신이 전문성을 필요로 하는 일에 종사하고 있다면 그 분야에 대해 그동안 자신이 쌓아온 경험과 노하우를 살려 책쓰기에 돌입해보자. 만약 그런 전문성을 갖고 있지 않다면 자신의 소소한 일상 속에서 시선을 사로잡을 만한 특별한 이야기를 찾아봐도 좋고, 또는 고정관념에 사로잡혀있던 우리에게 신선한 충격을 줄만한 독특한 시선으로 바라보는 이야기도 좋다.

양질의 컨텐츠 못지 않게 이 책에서 강조하는 것이 바로 '컨셉잡기'이다. 인터넷이 보편화된 요즘은 떠도는 정보는 무한하다. 오히려 너무 많아 정리가 안 될 지경이니 이런 정보들만 나열한다면 그 책은 별 의미가 없다. 이런 수많은 정보들을 어떤 시각으로 접근하여 어떻게 가공해서 독자에게 쓸만한 정보로 내놓느냐가 관건인 것이다. 이것이 바로 컨셉이다. 하루에도 수없이 쏟아져 나오는 책들 중에서 빛나는 컨셉으로 자신의 존재를 증명하는 책들이 바로 컨셉의 중요성을 온몸으로 말해주고 있다.

 
자신만의 컨셉이 있고 그 컨셉에 맞게 풀어낼 수 있는 양질의 컨텐츠를 갖고 있다면 이제부턴 세부적인 전략이 필요하다. 책도 하나의 상품이다. 그 책을 내는 작가나 출판사에 이익을 가져다 줄 수 있어야 하기에 출판전 여러가지 전략이 필요하다. 고객수요(needs)와 트렌드에 대한 분석에서 제목과 목차짜기까지 한 권의 책이 탄생하기까진 수많은 과정을 거쳐야 한다. 더불어 한 권으로 묶일만한 분량의 글을 쓰려면 그에 따른 여러가지 준비가 필요하다.

블로거의 입장에서 눈이 반짝였던 꼭지는 바로 '블로거를 위한 전략적 책쓰기'였다. 책에서 예를 든 <2000원으로 밥상차리기>, <나물이네 밥상>로 유명한 김용환씨나 <시골의사의 아름다운 동행 1,2>에 이어 <시골의사의 부자경제학>까지 베스트셀러에 올려놓은 박경철씨를 모델로 누리꾼의 입소문을 탄 유명블로거들이 쏙쏙 자신의 책을 내놓고 있다. 얼마전까지 그냥 평범한 보통사람들이었을 이들이 이젠 베스트셀러 작가가 된 것이다. 이들을 예로 들며 누구나 책을 쓸 수 있다고 필자는 이야기한다. 그렇지만 우리는 모두 알고 있다. 하루아침에 끄적대는 글들로 이런 책들이 나올 수는 없다는 것을. 그 책들은 그들 나름의 질높은 컨텐츠가 있었고 자신만의 컨셉으로 책을 만들었기 때문에 성공한 경우다. 또한 이 책 속에 나오는 여러 단계들을 충실히 준비하였기에 훌륭한 한 권의 책이 탄생했을 것이다.

 
처음 이 책을 잡을 때는 정말 아무나 책을 쓸 수 있을 것 같은 마음이었다. 그럼 나도 한 번? 하는 마음으로 읽던 책은 책장을 넘길 수록 첫마음과 달리 책은 아무나 함부로 쓰는게 아니라는 생각이 짙어졌다. 이 말은 특별한 사람만이 책을 쓴다는게 아니라 한 권의 책을 만들기까지 그 과정이 참으로 녹록찮다는 것을 알았다는 뜻이다. 그 과정을 거쳐 자신의 책을 완성한 사람들이 참으로 대단하게 느껴졌고, 또한 아무리 허섭한 책이라도 그 책이 나오기까지 얼마나 많은 노력이 들었을까 하고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거.. 이렇게 끝맺으면 책의 취지와 전혀 다른 방향으로 나가게 된다고라? 아직 할 말이 남았다. ^ ^;; 정말 마지막으로 하고픈 말은, 이런 단계를 거쳐서라도 쓰고 싶은 책이 있다면 이 책을 읽고 용기를 내어 책쓰기에 도전해 보라는 것이다. 확실히 예전보다 보통사람들이 책을 낼 수 있는 기회의 문이 넓어진 요즘이다. 자신만의 컨셉이 있다면, 그 컨셉을 충실하게 채워나갈 컨텐츠와 그 과정을 견뎌낼 용기가 있다면 책쓰기에 도전해 보자. 그런 분들에게 이 책, <일하면서 책쓰기>는 더없이 친절한 안내인이 되어줄 것이다.

 

 
- 좋은 글에 대한 고정관념을 바꿀 필요가 있다. 좋은 글은 누구나 읽어서 알기 쉬운 말로 쓴 글이다. 글을 깨친 어린이부터 글을 읽을 줄 아는 어르신들까지 우리나라에서 태어나 우리말을 할 줄 알고 우리글을 쓸 줄 아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글이다. 그리고 좋은 글은 자신의 삶과 밀접한 글이다. 아무리 화려한 수사와 아름다운 표현이 많은 글이라 할 지라도 자신의 생활이나 삶과 동떨어진 글은 관념에 머무르기 쉽다. 꾸며 쓰지 않고 느낌대로 쓴 글, 정직하고 솔직한 글이 좋은 글이다. 그런 글이 읽는 사람에게 감동을 주며 글쓴이의 격을 드러낸다. (34~3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