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은 정말 우리를 행복하게 하는가 - 시장에 관한 6가지 질문
이정전 지음 / 한길사 / 2002년 3월
평점 :
품절


이정전 교수를 만나본 적은 없지만 존경한다. 몇해전 <녹색경제학>이라는 저서를 인상깊게 읽은 적있다. 거기서 저자는 환경을 보는 경제학적 시각을 충실히 설명할 뿐 아니라 다른 여러 시각 또한 공정하게 다루어주어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다. 한편 <두 경제학의 이야기>는 꼼꼼히 읽어보지는 않았으나 역작이라고 느꼈다.

이전 저작에 비해 이 책 <시장은 우리를 행복하게 하는가>는 아쉽게도 실망스러웠다. 책의 목차를 살펴보면 알겠지만 이 책이 제기하고 있는 문제들은 독자의 눈을 사로잡기에 충분하다. 물론 이런 질문들을 겨우 한 권의 책이 충분히 해결해 주리라 기대한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이 실망스러운 것은 소개하고 있는 주장들의 반복과 전반적인 논리의 부재 탓이다.

앞선 저작들에서 저자는 다양한 시각의 주장과 연구들을 매우 솜씨있게 자신의 글로 엮어내었더랬는데, 본서에서는 왠지 다양한 주장들이 각자 그냥 목소리를 내고 있는 것으로 느껴진다. 문제는 질문 자체의 모호함에 기인한다고 보고 싶다. 도대체 시장이란 무엇인가? 물론 저자는 한 장을 할애하여 이 질문에 대답하고 있지만, 후에 행복, 자유, 도덕 등을 논함에 있어 시장은 자유경쟁이 되었다가, 과당경쟁이 되기도 하고, 자본주의나 신자유주의를 뜻하기도 하며 자본주의 이전부터 존재했던 거래 양태를 의미하기도 한다.

서평 제목에서 지적한대로, 뒤집어서 이렇게 물어볼 수 있다. 그렇다면 시장은 우리를 불행하게 하는가? 좀 심하게 말한다면 본서와 유사한 내용을 조금 손질해서 그런 제목으로 책을 낼 수도있지 않을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은 일독의 가치가 있다. 특히 경제학을 전공하는 이들에게 권하고 싶다. 경제학 전공자가 아닌 이들에게는 너무도 당연한 얘기가 어려운 방식으로 논술되기 때문에 권하기가 어렵고, 경제학 전공자들의 경우는 막연히 고민하였으면서도 실제 이런 질문을 진지하게 다룰 수 있다는 점을 몰랐을 수 있기 때문에 여러 주장과 자료들을 접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한다.

읽으면서 거슬렸던 점은, 특히 책 전반부에서 같은 내용이 반복해서 언급되던 부분, 그리고 별로 신뢰할 수 없는(?) 후쿠야마 교수의 말로 책을 시작해서 그의 말로 책을 끝낸 점, 가정 문제를 논하면서 저자의 성차별적/가부장적 시각을 드러낸 점, 그리고 제레미 리프킨을 계속 '교수'라고 지칭하는 점 등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