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에게 철학은 무엇인가 - 근대, 이성, 주체를 중심으로 살펴본 현대 한국 철학사
강영안 지음 / 궁리 / 2002년 3월
평점 :
절판


이 책의 큰 장점이자 한편 단점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문체의 편안함이다. 이 책이 담고 있는 다양한 서양철학 사상과 한국 학계로의 수용에 대한 설명을 이토록 평이하게 할 수 있었던 것은 분명 저자의 능력이다.

한편, 서언에서 저자가 밝히고 있듯이 이 책은 어떤 독자적인 저서라기보다는, 연구과제 보고서의 묶음인지라 현학적이지 않고 편안하게 읽힐 수 있는 반면, 읽은 후에는 무언가 아쉬움을 남겨 주었다. 저자가 생각하고 말하고 싶었던 것이 더 있었을 것 같고, 더욱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할 것 같았다. (다시 말하자면, 아마 철학을 본격적으로 공부하는 분들에게는 이 책은 별로 흥미를 끌지 못할 듯 싶다.) 철학에 대한 전문지식이 전혀 없는 나로서는, 예컨대 훗설의 현상학에 대해 한국철학계의 수용과정을 통해 친절하게 설명해준 부분이 인상적이었다.

저자가 가장 심혈을 기울였다고 말하는 마지막 장은 우리나라 및 일본의 학자들이 서양의 철학용어들을 어떻게 번역했는지를 다루고 있는데, 독자의 입장에서는 조금 건조할 수밖에 없었다. 물론 저자는 단어 하나하나를 확인하고 정리하였겠지만, 독자에게 보여지는 것은 단지 색인목록이기 때문이다.

저자가 이 책을 통해 보여주듯이 우리의 철학은 놀랍도록 태연하고도 빠르게 서양을 흡수하였으며, 그 와중에서도 여러 학자들이 나름대로 한국적 시각을 견지하고 개발하려 애쓴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여전히 한국적인 것에 대한 고민은 학문적 수준에서나, 일반인의 입장에서나 계속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