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하이퍼텍스트 그리고 책의 종말 책세상문고 우리시대 11
배식한 지음 / 책세상 / 2000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이 처음 나온 2000년이라면 그래도 조금 도움이 되었을 내용이겠지만
2008년에 읽는 이 책은 시기가 지나도 한참 지난 내용이어서 식상하다.
제목은 어마어마한데, 실제 책의 절반은 인터넷의 역사를 요약한 것이고,
그 뒷부분은 정말 쓸데없는 데리다, 푸코, 롤랑바르트, 들뢰즈, 가타리 등의 이름과
그들의 이론이 등장한다.
필자가 보면 무지 기분나쁘겠지만, 책 제목부터 뭔가 ‘있어보이려는’ 태도,
즉, ‘폼 재는’ 듯한 그 내용이 참 우습게 보인다.
이 책의 내용은, 그저 인터넷을 통한 글쓰기가 지금까지와는
어떻게 다르며,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전개될 것 같다…정도면 된다.
‘책의 종말’이라는 둥 허황된 단어를 늘어놓는 것이 과연 철학을 배운 사람이
할만한 말인지 의심스럽다.
‘하이퍼텍스트’가 무슨 어마어마한 발견이라도 되는 것처럼
책 앞에서부터 호들갑을 떠는 것부터 좀 우습게 보였는데,
2000년이라서 그런가 싶은 생각이 든다.
1992년부터 인터넷을 사용했던 나는, ‘좀 신기한 걸’하는 정도로만 생각하고
앞으로 인터넷이 우리의 생활과 개인의 삶을 상당히 바꿔놓겠다는 생각은 했었다.
글쓰기와 책의 종말에 관해 ‘예언적’인 말을 할 필요는 없다.
미래가 어떻게 바뀔 것인지는 아무도 모르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선거제도와 정치적 상상력 책세상문고 우리시대 12
박동천 지음 / 책세상 / 2000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선거제도를 설명하는 책. 다양한 선거 제도와 세계 여러 나라의 선거 제도를 설명하는 것은 좋은데,
‘정치적 상상력’이라는 제목에 맞게, 모호한 결론으로 끝나고 있어 아쉽다.
‘이상적인 선거제도’와 ‘아름다운 혼’이 어떻게 연관 관계가 있는지 납득하기 어렵다.
필자의 말을 그대로 인용하면 이렇다.
“이상적인 선거제도를 도입한다고 이상적인 정치가 보장되지는 않는다.
오히려 선거제도 자체에 군데군데 얼룩과 금간 데가 있더라도 거기에 담겨 있는
아름다운 혼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운영되기만 하면 선거제도에 대해서
굳이 왈가왈부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이런 결론인데, 아무리 생각해도 ‘아름다운 혼’이 뭘 말하는지 알 수 없다.
선거를 운용하는 사람들의 영혼이 아름다워야 한다는 말인지,
선거제도를 영혼의 단계로 끌어 올려야 한다는 건지, 참 난감한 수식이다.
책의 제목부터 ‘상상력’이라는 모호하고도 추상적인 단어를 사용해서인지
결론까지 ‘아름다운 혼’이라는 모호하고도 추상적인 단어를 사용해서 어렵게 만들고 말았다.
이 책은 그냥, 선거제도를 설명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 역사의 여왕들 책세상문고 우리시대 9
조범환 지음 / 책세상 / 2000년 7월
평점 :
절판


우리 역사 속에 등장하는 여왕에 관한 이야기.
여왕의 존재는 오직 신라 시대에만 있었고, 신라의 정치적 환경에 관한 분석이다.
중요한 사실은, 신라의 첫번째 여왕인 선덕여왕 이전에 이미 일본에서는
여황이 존재했다는 사실이다.
산라의 진평왕은 이 사실을 알고 있었고, 자신의 딸에게 왕위를 물려주게 된다.
성골, 진골 등 완벽한 계급사회였던 신라시대에 여왕이 존재할 수 있었던
배경에 관해 설명하고 있는데, 역사 교과서에서는 등장하지 않는 주장들이
나오고 있어서 흥미롭다.
또한, 신라에서만 여왕이 나오고, 백제나 고구려에서는 여왕이 나오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도 설명하고 있다.
정치, 경제, 문화가 안정된 상태에서 여왕이 나올 수 있었다는 주장.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멋진 통일운동 신나는 평화운동 책세상문고 우리시대 10
김창수 지음 / 책세상 / 2000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제목처럼 경쾌하고 발랄한 내용은 아니다.
그렇게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제목을 붙였겠지만,
사실, 우리나라에서 통일운동과 평화운동은 정치적 상황에 따라
엄청나게 달라지기 때문에 이런 단행본의 시효는 짧을 수밖에 없다.
통일운동과 평화운동의 배경, 과제 등을 정리한 것으로 의미를 부여할 수 있겠다.
‘모든 통일은 선’이라는 주장에 반대하는 논리를 펴고 있지만,
나는 ‘모든 통일은 선’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필자의 주장에는 동의할 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철학과 문학비평, 그 비판적 대화 책세상문고 우리시대 7
김영건 지음 / 책세상 / 2000년 6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내용이 어렵다. 읽기가 힘들다.
제목부터 어려운 냄새가 풍긴다.
제목에서 보듯이 철학과 문학 비평에 관한 비판적 대화라고 해서, 난해함을 한껏 뽐내고 있다.
이 책을 쉽게 이해하는 수준이라면, 석사 이상의 공부를 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해 봤다.
나름대로는 철학의 영역과 문학의 영역에 대해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이 책을 읽으면서 그야말로 OTL이다. ^^;
저자가 무슨 말을 하려는지는 알겠지만, 자신이 선택한 텍스트에 비판을 하는 것과
그 비판의 내용에서 이중적 태도가 느껴지는 것은 왜일까?
무엇보다도 나는 ‘먹물의 위한 먹물’, 또는 ‘이론을 위한 이론’은 아주 질색이다.
이 책이 나쁘다는 것이 아니라, 내가 그렇게 생겨먹어서 그렇다.
나이가 들어서인지, 현학적인 태도에 대해서는 반감이 생긴다.
학자라고해서 왜 꼭 어렵게만 글을 써야 하는지 정말 모르겠다.
학문이 워낙 그런 거라면, 그저 꼬리를 내리는 수밖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