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꽃을 저녁에 줍다
루쉰 지음, 이욱연 엮고 옮김 / 예문 / 2003년 12월
평점 :
절판


책 제목이 참 감성적이다. 책 제목을 보고 책을 고르지는 않지만, 서점에서 보았다면
한번쯤 들었다 놓았을법한 제목이다. 그러나 이 책의 내용은 그리 감성적이지 않다.
매우 역사적이다. 우리로서는 치욕의 역사라 할 수 있을, 한일 합방 전후 중국의 정세
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기 때문이다.

루쉰, 그는 누구인가? 아직 읽지 않았지만 <아큐정전>이란 소설로 혹은 `노신'이란 필명
으로 유명한 작가다. 오늘날 중국인이 근대의 아버지라고 칭하고 있다는 소설가. 그는 단순한
소설가가 아니라 중국의 혼란기에 중국민중에게 길을 열어보였던 한 사람의 사상가였다.

일찍이 서양의 실용학문에 관심을 있어서 기술과 의학 교육을 받았고, 혼란기의 중국 민중
의 정신을 치유하기 위해서 육체보다는 정신의 개조가 필요하단 생각으로 과감히 일본유학
시절, 의학에서 문학으로 전공을 바꾸었고, 귀국해서 베이징대학 등에서 후학을 양성한다.

루쉰이 살았던 시대의 중국은 1980년의 광주처럼, 합법을 가장한 국가주의 폭력과 살인이
난무했고, 전제주의가 막을 내린 청국의 쇠퇴후에는 수많은 군벌간의 정치권력의 쟁탈전
속에서 민중이 길을 잃고 방황하던 시대였다. 그는 그 시절에 활동하던 혁명가들의 스승
이나 다름없었다. 중국문명 비평 작업을 통해서, 중국의 문화와 학문을 비판한다.

이 책은 루쉰의 짧은 산문들을 모아둔 책이다. 그는 소설을 비롯하여 수많은 `잡문'등을
발표했는데, 이 책은 그 글 가운데 일부를 선별해서 편집해 놓은 책이다. 역시 소설가로서의
루쉰의 면모를 살펴보기 위해서, 이같은 산문들 보다는 소설을 먼저 읽어보는 것이 좋겠단
생각을 해본다. 그러나 이 책속에서도 역시 짧지만 강렬한 느낌으로 다가오는 루쉰의
사상을 엿볼 수는 있다. 자신의 역사와 문화를 가감없이 비판할 수 있었던 그의 용기에
서 어설픈 국수주의같은건 찾아볼 수 없다. 서양 열강과 일본의 침략 기도가 계속되는
와중에도, 그는 과감히 비판의 화살을 밖이 아니라 중국과 중국민중 내부로 돌리고 있다.
중국의 쇠락과 혼란의 원인을 타인이 아니라 자기에게서 찾고 있는 것이다. 이런 모습은
매우 신선하게 보인다.

최근 이문열이라는 소설가는 한일합방의 국제법적 합법성을 강조했단 한다. 말도 안되는 소리
로서 워낙에 억지 주장을 많이 하는 작가라 귀담아 들을 가치조차 없다.. 이 사람을 보면,
언젠가 안중근 의사가 테러리스트라고 주장해서 기소된 김완섭이란 사람이 생각난다.
둘다 비슷한데가 있다. 파격적인 주장을 내세워 이목을 집중시킨다는 것이다. 그러나 자칭
지식인이라는 자로서 그들은 한 세기전 중국의 루쉰에게서 배워야 할 바가 많다. 우매한
중국민중을 어둠에서 일깨워 문화와 정치의 개혁을 이끌었던 시대의 스승 루쉰에게서 말이다.
그들은 오히려 민중을 우매함으로 이끌고 있으니..어찌 그들이 한 시대의 지식인이라 할 수
있을까? 오늘날은 과히 쭉정이 지식인을 감별할 수 있는 지식인 감별사가 필요한 시대다.


기억에 남을만한 글로,

<노라는 집을 나간 뒤 어떻게 되었는가>, 1923년 12월 26일 베이징 여자고등사범학교 문예회
에서 했던 연설을 묶은 것이다. 입센의 작품 <인형의 집>의 주인공 노라를 내세워 변혁기에
중국 신여성들이 전통과 보수적 편견을 이겨내고, 주체적인 삶을 살아가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역설하는 글이다.

<류허쩐 군을 기념하며>, 중화민국 15년인 1926년 정부청사 앞에서 시위도중 살해된 류허쩐과
그외 40여명의 청년학생들을 추모하며 적은 글이다. 마치 1980년의 광주를 보는 듯한 이 사건
을 통해서, 루쉰은 `추도사도 비통함이 가라앉은 뒤의 일이다'라고 말함으로써 암울한 정치적
현실을 개탄한다.

<후지노 선생>, 중국에 의학을 배우러 갔을때 자신의 노트를 일일이 수정해주는가 하면 그
어떤 사람보다 자신을 아껴주었던 일본인 선생을 추억하는 글이다. 국적을 넘은 스승과 제자
의 친분과 오랜 우정으로 루쉰의 학문에 채찍질이 되어준 한 선생님에 대한 감사의 마음이
가득한 글이다.


<밑줄긋기>

"희망은 본래 있다고 할 수 없고, 없다고도 할 수 없다. 그것은 마치 땅위에 난 길과 같다.
사실 지상에는 원래 길이 없었다. 가는 사람이 많아지면 길이 되는 것이다.(단편<고향故鄕>)"


"밀림을 만나면 밀림을 개척하고, 광야를 만나면 광야를 개간하고, 사막을 만나면 사막에
우물을 파라. 이미 가시덤불로 막힌 낡은 길을 찾아 무엇 할 것이며, 너절한 스승을 찾아
무엇 할 것인가!"


"안타깝지만 중국은 너무 변혁이 어렵습니다. 책상을 하나 옮기거나 난로를 하나 바꾸려
해도 피가 필요할 정도입니다. 더구나 피를 흘린다고 해서 옮기거나 바꿀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아주 커다란 채찍이 등을 후려치지 않는 한 중국은 스스로 움직이려 하지
않습니다. 나는 그 채찍이 언젠가는 틀림없이 올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것이 좋든 나쁘든,
어쨌든 분명히 내려칠 것입니다."







2004.8.3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