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인생을 이모작하라 - 생물학자가 진단하는 2020년 초고령 사회 SERI 연구에세이 18
최재천 지음 / 삼성경제연구소 / 2005년 3월
평점 :
절판


탑골공원에 가본 적 있는가. 거기 계신 분들을 보면 여러 생각이 든다. 한가로움과 따분함이 뒤얽힌 노후, 점점 쇠약해지는 몸, 국가가 대하는 노인들 처우, 노인 이미지.
사람은 누구나 늙는다. 이제 고령화를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

2008년은 완전노령연금 수급자가 나오는 해다. 완전노령연금 수급자란 20년 연금액 납임, 만 60세 이상, 위 2가지 요건을 갖춘 사람들로 국민연금제도를 도입한지 20년이 되는 해가 올해다. 이전까지는 일부금액을 삭감해서 지급했다. 이와 관련해 부쩍 고령사회를 경고하는 글들이 눈에 띈다. 연금법개정, 저출산율, 노동력부족과 맞물려 더욱 불거진 고령화문제는 알고 보면 심각한 수준이다.

UN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령인구 비율이 7%가 넘는 사회는 고령화사회(aging society)이고 14%를 넘으면 고령사회(aged society), 20%이상인 사회는 초고령사회(super-aged society)로 분류한다. 한국은 이미 고령화 사회고 2018년에는 고령사회로 접어들고 2026년에는 초고령사회로 들어설 전망이다. 고령화사회에서 초고령사회가 되기까지 프랑스가 150여년 걸리는데, 한국은 26년이 걸릴 거라고 예측된다. 이러한 고령사회를 ‘예정된 핵폭탄’.‘천천히 다가오는 쓰나미’로 인식하고 쓴 책이 ‘당신의 인생을 이모작하라 - 생물학자가 진단하는 2020년 초고령사회’[2005, 삼성경제연구소]이다.

지은이 최재천씨는 이화여대 교수로 대중의 과학화를 위해 글을 쓰는 분이다. 그가 생물학자로서 말한다.
‘다른 생물들에게는 생식능력의 마감이 대부분 죽음을 의미하는데 반해, 인간은 번식기가 지나서도 상당기간 생명을 유지하는 참으로 별난 동물이다.’
그는 머지않아 인생100세 시대가 오니까 번식기(reproductive period)와 번식후기(reproductive period)로 아예 50년씩 인생을 둘로 나누어 살 수 있게 제2인생 준비를 주장한다. 책은 개인의 행동지침과 준비과정보다 사회구조의 변화, 세대간 인색조정, 고령화 사회준비를 위한 여러 가지 혁명적인 제안을 한다.
° 초등 5년, 중등 5년, 대학 5년을 교육받는 5·5·5제도로 전환, 전문대학에서 더 발전한 특화대학, 40대들이 제 2인생준비를 위한 재교육대학 같은 교육제도 혁신
° 임금피크제, 역모기지 같은 고령화시대에 맞는 경제제도 개발과 도입, 보직과 보수의 분리로 일터문화의 새바람
° 열린 이민제도 도입, 아이 보육에 대규모지원과 직장 내 보육시설 확충으로 여성인력 활용
° 제2인생을 맞이하는 자세와 가치관 변화, 사회인식 개선, 그리고 건강관리

사람은 누구나 늙는다. 그리고 노인들은 주위를 둘러보면 어디에나 있다. 이미 와있는 고령화사회, 안정된 노후를 위해 몇 억을 모아야 한다는 숫자놀음에 눈 먼 세태, 최재천 교수는 따끔하게 지적과 대안을 내놓으며 개인이 아닌 사회가, 나아가 전 세계가 고령사회에 대비해야 한다고 경고한다. Y2K문제 경고가 철저한 준비를 낳아 별 탈 없이 21세기를 맞았듯이 고령사회 경고가 치밀한 계획을 만들어 현명하게 인구구조 변화를 수용하는 사회가 되길 바라며 이 책을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