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내 남은 생의 첫날 - 우리 시대를 대표하는 문인 101인의 가상유언장
도종환.황금찬 외 지음 / KD Books(케이디북스) / 2006년 7월
평점 :
품절


백지 한 장과 연필 한 자루를 주며 유언장을 쓰라고 한다면 기분이 어떨까. 살기 바쁜 삶이라 머리 한 구석에 꽁꽁 숨겨두었던 죽음이 그제서야 슬금슬금 기어 나와 조심스럽게 얘기한다.
‘너에게 내일은 안 올지도 몰라, 그러니 끝으로 하고 싶은 말을 쓰렴.’

죽음을 똑바로 바라보고 받아들인 사람만이 제대로 살 수 있다. 자신의 죽음을 생각해보고 가상유언장을 써본다. 삶을 성찰하기 위해. 그런 기획으로 만들어진 책이 ‘오늘은 내 남은 생의 첫날’(경덕 출판사. 2006)이다.  

이 책은 '우리 시대를 대표하는 문인101인의 가상유언장'이란 부제목을 달고 있는 만큼 글이 삶이었던 문인들이 생애 마지막일 수 있는 글 모음이다. 한 글자, 한 글자 정성을 다할 수  밖에 없다. 그렇기에 한 편, 한 편이 명문이다. 짊어졌던 짐들과 거추장스런 누더기들을 홀가분하게 벗어던지고 또렷하게 가슴 속 얘기를 전한다. 남은 시간은 없고 종이는 한정되어 있으므로.

떠나는 사람들은 한 결 같이 미안하다고 말한다. 남편에게, 아내에게, 딸, 아들에게, 삶의 동반자들에게 남기는 말은 더할 수 없는 사랑과 끝 모를 미안함이 담겨있다. 그리고 당부의 말을 잊지 않는다. 떠나는 이는 아쉬울 수밖에 없기에. 어느 한 사람도 돈, 명예, 권력을 더 가지고 싶다고 말하지 않는다. 떠날 때가 되면 보이나 보다. 무엇이 더 중요한 지. 유언장을 읽으며 삶을 돌아본다. 나에게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유언장이기에 딱딱하고 교훈을 주려고 애쓰기보다 연서 같은 느낌을 받는다. 문인들의 유언장이라 그런가. 그래도 유언장이라 내용이 비슷비슷해서 조금 지루한 느낌도 있다. 그만큼 공통된 중요 내용이겠지만 되풀이되니 재미가 떨어진다. 한 번에 읽기보다 여러 날에 걸쳐 나눠 읽으면 좋겠다. 글자 하나마다 배어있는 사랑의 기운이 여러 날에 걸쳐 움틀 것이다.

이 가을날, 가상유언장을 쓰면서 다시 한 번 삶을 추스르는 건 어떨지 권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