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만화 전두환 - 전2권
백무현 글, 그림 / 시대의창 / 2007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한국 현대사는 진행형이라 여러 사람들의 이해가 얽혀있어 덮어둔다. 귀찮고 밥이 안 나오기 때문에. 나날로 강해지는 밥벌이의 강박에서 지난 날을 꺼내는 건 순진한 사람들의 몫이 되었다. 3000년 전을 교육하는 교과서에서 30년 전 한국이 어떤 사회였는지 침묵한다. 일본이 한국에 어떤 짓을 했는지 세세하게 가슴에 새기면서 한국이 한국에게 한 짓은 쉬쉬한다. 당시에는 ‘어쩔 수 없다.’ ‘시대의 한계’라고 적당히 얼버무린다.
한국이 밟아온 길이 어땠는지를 알아야 다음 길을 예측할 수 있다. 그 길을 거슬러 가지 않아도 좋다. 표지판만이라도 앞날에 큰 도움이 된다. 그런 셈에서 만화 전두환1.2(시대의 창, 2007, 백무현)은 고마운 책이다. 바탕이 허전해서 붕 뜬 채 길을 헤매던 젊은이들에게 길 안내를 할테니까.
만화라는 장르는 한국현대사가 갖는 무게를 조금 덜어줘 읽는 이에게 정치 부담을 줄여준다. 아직까지 생각의 반쪽을 금지당한 채 자기 검열을 해야하는 한국사회에서 역사만화는 읽는 이들에게 현대사를 전달하는 똑똑한 방법이다. 그리고 글자만으로 모자란 구체성을 더한다. 구체성은 현장감을 주며 당시를 재현한다.
만화 전두환은 단순사실을 늘어놓는다. 이러한 서술방식은 영화‘화려한 휴가’를 닮았다. 지은이가 적극적인 해석을 하고 개입을 하기보다 나열을 해서 평가는 고스란히 ‘보는 사람’에게 넘긴다. 그렇기에 비빔밥에 들어갈 적당한 재료들을 모았을 뿐, 고추장이 없는 아쉬움이 남는다. 그러나 곰곰이 생각해보면 말을 아끼고 전하는 방식이 괜찮은 편집이다. 70-80년대를 잘 몰랐던 젊은이들에게 지나친 ‘시대 반성’과 과거사 강요는 오히려 반발을 일으킬 수 있다. 화살표하나를 줘서 그 다음은 읽는 이들에게 맡긴다. 그 화살표를 따라 더 들어가느냐, 다시 가던 길을 가느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