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도 쓸쓸하냐 - 2004년 1월 이 달의 책 선정 (간행물윤리위원회) 운문산답 1
이아무개 (이현주) 지음 / 샨티 / 200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빵으로만 살 수 없는 사람들, 지구라는 곳이 어떤 의미인지, 여기서 왜 사는지,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지. 21세기 과학의 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에게 끊이지 않는 질문이다.

 

그래서 우리는 한 손에 휴대폰을, 다른 손에는 경전을 들고 종교생활을 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달리 말하면 21세기는 종교의 시대이기도 하다. 머리를 아무리 굴려도 고개를 들어보면 막다른 곳. 주어진 세상에 대한 도전은 언제나 피곤하다. 그런 이유로 세상을 해석해주는 종교는 편안하게 기댈 수 있는 쉼터다. 

 

현재 자신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이 질문을 던지며 책 <지금도 쓸쓸하냐?>(샨티. 2003)를 읽어 보자.



이 책의 저자는 이 아무개라는 필명을 쓰는 ‘이현주 목사’. 그는 두 화자가 대화하는 방식으로 책을 꾸민다. 현실에서 에고인 이 아무개와 본래의 이 아무개가 두 화자다.



 

에고의 이 아무개는 현실에서 살아가는 많은 사람들처럼 다양한 모습을 띈다. 상처받고 아파하는 나, 삐져서 토라진 나, 다가올 날들에 두려움을 갖고 있는 나, 지난날에 묶여있는 나, 욕망에 달아오른 나, 고민에 빠진 나. 일상에서 흔한 사람의 모습이다. 본래의 이 아무개는 기독교에서 말하는 성령, 불교에서 말하는 불심, 비종교인에게는 양심으로 이해할 수 있다.



에고인 자아가 본래 자아에게 궁금한 것들을 물어보면 답을 해준다. 현실자아는 늘 불만이이 많다. 불만과 고민을 본래 자아가 귀담아 들어주고 왜 그런지 답을 던져준다. 현실 자아는 마치 내 이야기를 들은 것 마냥 외로운 삶과 쓸쓸한 세상살이에 대해서 꼬치꼬치 묻는다.



목사는 사람들을 이끌고 챙기는 역할을 맡는다. 여기서 아이러니가 생긴다. 목사 역시 흔들리고 갈등하는 사람이 아닌가? 흔들리는 사람이 흔들리는 사람을 잡아준다? 반문이 생기는 대목이다.



종교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마치 해탈한 듯 안정을 얻은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저자는 자신의 방황과 고민을 솔직하게 드러낸다. 그리고 자기의 한계를 인정한다. 이것이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이다

.

에고인 자기는 한계가 있어 바람에 나부끼고 불안하지만 참자아는 안정되어 있고 평화스럽다고 말한다. 얼아(참자아)는 누구에게나 있으니 정진하라고도 전한다. 그렇기에 이 책을 읽으면 비록, 쓸쓸함이 줄어들지는 않지만 쓸쓸함을 똑바로 쳐다보고 껴안을 수 있게 된다.



가는 모습이 다를 뿐, 종교는 한 길로 통한다. 삶에 신비를 느끼는 모두가 종교인이다. 겉으로 드러난 모습은 다를지라도 종교인들이 가는 방향은 같다. 가고 있는 길이 빠른지 알려고 조급할 필요는 없다. 다만 가는 길이 막혀서 다른 사람들은 보이지 않는지 신중하게 살피며 걸으면 된다.



어떻게 믿고 세상을 바라보느냐에 따라 삶이 달라지고 세상이 바뀐다. 너는 이미 나무랄 데 없이 옹근 존재”일 뿐 아니라 실은 “우주가 동원하여 너를 돕고 있다”고 책은 말한다,



<장자, 도를 말하다>(청아출판사. 2006)를 보면 “삶이 우리를 돌본다”라는 대목이 있다. 걱정과 불안만 있는 것 같지만 지금처럼 잘 살고 있는 걸, 감사로 받아들인 적이 있는지 스스로에게 물어 볼 일이다.



내일은 내일의 새로운 힘이 솟을 거라는 믿음만 있다면 삶은 충분히 감사하다. 숨은 책 <지금도 쓸쓸하냐?>. 쓸쓸한 창 밖 불빛에 마음을 뺏긴 이들을 위한 아늑한 선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