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노동의 시대는 끝났다 - 기술 빅뱅이 뒤바꿀 일의 표준과 기회
대니얼 서스킨드 지음, 김정아 옮김 / 와이즈베리 / 2020년 3월
평점 :
오늘날 어떤 사람들에게 일이 삶의 의미를 얻는 원천인 까닭은,
일 자체가 특별해서가 아니라 우리가 인생 대부분을 일에 쏟아 붓기 때문이다.

4차 산업혁명은 진작에 시작되었지만 인간들은 기계가 인간들을 '온전히' 대신하지는 못할 것이라고 믿었다. 하지만 기계는 인간의 예측보다 훨씬 더 능동적이고 창의적으로 무언가를 생산하고 창조하고 있다. AI로봇이 작곡한 피아노곡을 한번이라도 들어봤다면, AI로봇이 창작한 소설을 읽어본 사람이라면, 그들에게 '창의적이지 못하다'고 이야기 할 수 없을 것이다.
인간의 피조물인 기계가 직감과 직관에 따라 판단을 하고, 나아가 자아를 인식하게 되는 수준에 이르면서 우리의 삶에서는 많은 것들이 변했다. 생활이 편리해진 것을 말할 것도 없고, 새로운 기술은 그야말로 '신세계'를 가져다 주었다. 그런데 과연, 기술의 발달이 인간의 노동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을까?
옥스퍼드 대학교 베일리얼 칼리지 경제학과 선임 연구원으로 일하고 있는 대니얼 서스킨스는 <노동의 시대는 끝났다>를 통해 '미래의 일자리'를 이야기 한다. 인간이 따라잡기 어려울 만큼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의 속도, 그 속에서 인간의 노동은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지, 즉 미래에서 인간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분석한다.
미래에 우리가 다른 설계 즉, 기계를 만들 완전히 새로운 방법을 우연히 발견하고, 그 기계들이 오늘날 살아 있는 가장 유능한 인간의 능력마저 훌쩍 뛰어넘는 정점에 도달할 날이 오지 않으리라고 말하기는 어렵다.
<노동의 시대는 끝났다>, 106p
저자는 많은 인간들의 우려와 다르게 기술이 집약적으로 발달한다고 하더라도, 오늘날 존재하는 많은 일자리는 완전하게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밝힌다. 단기적으로 새로운 일자리들이 창출할 것이라는 견해인데, 여기서 중요한 점은, 저자 역시 많은 학자들처럼 '인공지능 기술이 인간을 대체하는 것은 피할 수 없다'는 입장이라는 것이다.
인공지능이 인간을 대신하는 사회가 도래하면 어마어마하게 부를 가진 집단과 인적 자본도 거의 없는 집단으로 나뉠 것이라고 경고하며, 미래의 과제를 제시한다. 극과 극으로 나눠진 사회를 '어떻게' 공정하게 분배하고, 재건할 것인가 생각해봐야 한다는 것이다.
유급 노동이 사라진 미래를 고민할 때는 그저 자유 시간을 생각해 보는 쪽이 상황을 훨씬 더 정확히 보여 준다. 어떤 사람들은 그런 시간 상당 부분을 오늘날 ‘여가’와 꽤 비슷한 활동을 하며 보내고 싶을 터이고, 어떤 사람들은 지난날 ‘일’에 맞춰 더 체계적이고 목적이 있는 역할 쪽으로 기울 것이다. 하지만 내 생각에는 사람들이 선택하는 활동이 대체로 오늘날 말하는 일과 비슷하지 않을 것 같다. <노동의 시대는 끝났다>, 325p
돌이켜 보면 발달하는 기계에 인간의 생존이 위협받지는 않을까 걱정하던 일들은 근대 경제가 성장하기 시작한 후로 끊임없이 반복되었다. 저자는 '기술이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을 바라보는 경제학자들의 견해가 어떻게 변화했는지 설명하며, 21세기에는 기술적 실업이 어떻게 전개될지 설명한다. 또한 단순하게 '살아져서' 사는 게 아니라, '어떻게 잘 사느냐'에 대한 의미를 생각해 봐야 한다고 말하며, '새로운 노동 패러다임'에 대처해야 한다고 조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