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코리아 2014 - 서울대 소비트렌드 분석센터의 2014 전망
김난도 외 지음 / 미래의창 / 201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대 이상의 성과를 불러올 것 같은 내년은, 달리기를 잘하는 말띠 해다. 컨설턴트 이며 작가인 김난도 교수는 다가올 해를 다크호스 해라 말하며, 예상을 뛰어넘는 승리의 한 해로 만들 수 있도록 말 달리자고 서문에 쓰고 있다. 올해는 참 많이도 힐링이라는 단어를 들었다. 힐링이 되었으면 2014년에는 김난도 교수의 외침처럼 다크호스를 타고 잘 달릴수 있을 것이다.

  트랜드 코리아는 2013년의 소비트렌드를 돌아보고, 2014년의 소비트렌드를 가늠하는 책이다. 이 책에 실린 2013년의 회고를 한 번 보기로 한다. ① 갑의 횡포를 비유한 ‘갑과 을’이라는 단어가 대화에서 꼭 붙어 다니는 유행어 였다. ② 우발적인 범죄, 타인을 향한 불신으로 CCTV와 스마트폰으로 언제 어디서나 감시하는 ‘감시사회’가 되었다. ③ 지방 덩어리를 소재로한 광고와 맥도날드의 빅맥송 부르기 이벤트 등 웃긴 마케팅이 한 몫 했다는 평가도 볼 수 있다. ④ ‘스칸디맘과 스칸디대디’는 어느 한 쪽이 군림하지 않고 가족 간에 서로 소통하는 모습으로 인기를 끌었다. 그 중에서 올해 가장 즐거움은 역시 먹방에 관한 것이다. 외국인 이지만 개그와 먹방방으로 사랑 받았던 해밍턴, 00일 텔레비전 프로에서는 몇 인분을 뚝딱 먹어 치우는 방송으로 돈을 버는 미녀가 나왔었다. ⑤ 드라마 ‘미스김’은 을의 현실적인 상황을 대변하고 있다. ⑥ 심적, 육체적 과부하에 시달리는 소진사회에 대해 언급하며 소진사회가 만연하면 과로사와 우울증으로 인한 자살등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므로 성숙한 사회로 가기 위해 잠시 나타나는 트렌드여야 함을 강조한다.

  

  2014년 경제 전망을 읽어 보니 미세한 수준의 회복 정도로 본다는 내용이다. 어느 정도 성장한 국가이고, 땅도 좁고, 지하자원도 풍부하지 않다 보니, 이제 커다란 경제 성장 보다는 어떻게 하면 현재를 잘 유지하여 나아갈지가 중요해진 것 같다. 내년의 소비 트렌드로 가장 눈에 띠는 부분은 40대의 소비를 겨냥한 점이다. 이제 오래전의 40대와 현대의 40대는 세대차가 많이 벌어졌다는 뜻도 된다. 우연의 심리코드도 눈여겨볼 만 한 논리다. ‘내가 만일...’로 시작하는 소비트렌가 들어맞는다면 대박 시장을 열 수도 있다.


  이 책은 “서울대 소비트랜드 분석센터의 2014년 전망”에 관에 연구한 책이다. 한 해를 마감하면서 꼭 읽어 볼 만한 책이라 생각한다. 2013년은 그리 행복한 해는 아니었던가? 사람들은 스트레스를 벗어나려고 많이들 웃기려고 했고, 많이들 힐링하려고 노력했던 것 같다. 그러한 세상을 한 번 더 돌아보는 좋은 계기가 되었다. 2014년 트렌드를 미리 예측하는 것도 상당한 매력이 있다. 우리의 인생도 장애물을 잘 뛰어넘는 ‘우승마’가 되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