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어떻게 설득당하는가 - FBI에서 배우는 비즈니스 심리학
조 내버로 & 토니 시아라 포인터 지음, 장세현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12년 2월
평점 :
절판


대부분 능동적인 제목이거나 능동적인 행동양식에 관심을 보였었다. 그러나 이 책을 읽고 어떨 때 수동적인 내가 되는지를 알 수 있었다. 가족 간의 관계에서, 친구와의 관계에서, 회사 동료들과의 관계에서 그리고 모르는 다수와의 관계에서 나의 처세를 알려준 책이다. “우리는 어떻게 설득 당하는가”는 내가 대인관계에서 부디치는 사소한 부분까지도 알려준다. 사회생활을 한다는 것은 인간관계를 지속하는 일이다. 그 인간관계에서 마찰이 자주 일어난다면 사회생활을 영위하기가 어려워진다. 이 책은 그러한 어려운 부분을 꼼꼼히 짚어주며 나의 비언어적 행동을 수정해 줄 것이다.


‘말 따라 하기’의 효과 구지 심리학자의 이름을 들먹이지 않아도 상대방과 쉽게 유대감을 쌓는 방법임을 우리는 인지한다. 유대감 형성은 곧 의사소통의 길을 연다는 것과 같다. 삶에서 간단한 이 원리를 잊지 않고 잘 활용한다면 누군가와의 대화가 훨씬 부드러워질 것이다. “우리는 어떻게 설득 당하는가”는 비언어적 행동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비언어적인 행동이 어떤 파급효과를 가져오는지 읽는 부분에서 나는 고개를 끄덕인다. 제목처럼 저자의 글에 설득 당하고 말았다. 악수를 한다거나, 웃는 얼굴로 타인을 대해야 한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다. 그렇지만 누구나 웃는 얼굴로 고객과 사장을 대할 수만은 없는 자신을 발견한다. 사소하다고 생각했던 작은 행동 하나 하나 까지도 누군가에게 점수가 매겨진다는 사실이 부담스럽다. 그러나 노력 없이 어떤 성과를 바라는 것은 도둑 심보나 다름없다. 나를 가꾸는 일에도 게을리 하지 않는 것이 진정한 프로 정신이라는 생각이 든다. 이 책은 비언어적인 행동이 어떤 효과를 자초하는지에 대해 말해주지만, 비언어적 방법들도 알려 준다. 그 방법들 중에 중요한 것은 사전에 모든 내용을 다시 한 번 점검하고 일을 행하기 전에 연습을 하고 긍정적인 비언어적 행동을 최대한 이용하라는 충고이다.


“우리는 어떻게 설득 당하는가”를 읽으면서 내 자신은 어떤 모습일까 돌아보는 기회가 되었다. 사회생활에 많은 도움이 되는 책이다. 이 책은 문제가 있을 때 사람들은 먼저 비언어부터 드러낸다는 사실을 잊지 말도록 당부한다. “마치 가족을 대하듯 상냥하고 존중 어린 태도를 유지해야 한다”는 말을 기억해야겠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네 여자집 2012-03-26 15: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서평 잘 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