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말하는 진심, 내가 모르는 본심 - 무엇이 내 행복을 훼방놓는가?
매릴린 케이건 & 닐 아인번드 지음, 서영조 옮김 / 전나무숲 / 2012년 6월
평점 :
절판


  마음의 상처가 쌓이고 쌓이면 쉽게 치유되질 않고, 자신과는 다른 모습의 행동으로 굳어진다. 그것은 방어기제를 사용하는 자아가 문제를 해결하거나 상황을 모면하는데 과도하게 작용하였기 때문이다. 방어기제란 자아가 위협을 받거나 고통을 받을 때 무의식적으로 자신을 속여 그 상황을 모면함으로써, 자신을 보호하려는 심리적 행위이다. “내가 말하는 진심 내가 모르는 본심”은 이러한 방어기제의 여러 가지 예를 들어서 삶을 좀 더 풍요롭게 살 수 있도록 제시하고 있다. 나는 이 책을 통해 나에게 잘 못 사용되어진 방어기제의 모습을 발견할 것이다.

 

 

 

  방어기재를 쓰는 것은 자신과 세상사이의 마음이다. 마음의 바깥은 거칠고 단단하며, 할퀴기도 하고 부수기도 한다. 그러나 안쪽의 마음은 부드럽고 살짝만 터치를 해도 상처가 나거나 찢어지기 쉽다. 한 번 상처가 난 것들은 원 상태를 복구 되지를 않고 흉터를 남기기 일쑤다. 마음은 흉터를 덜 가지게 하기 위해 자꾸만 방어기제를 쓴다. 그런데, 오히려 왜곡된 나를 형성하게 되고, 내 자신에게 더 많은 상처로 흉터 투성이를 가지게 할 수 있다. 그러지 않으려면 이 책에서 읽은 것처럼 마음을 보호해야 한다는 것에 동감한다.


 

  

  가장 원초적인 방어기제를 이 책에서는 부정이라고 한다. 위의 톰 이야기를 읽으면서 근원적인 문제를 해결하려 하지 않고 부정을 사용해 술로 불안감을 회피 하는 모습이 너무 슬퍼 보였다. 문제를 해결하려 하지 않고, 술로 대체 하는 것은 더 큰 문제를 만들어 낼 것이다. 나도 어떤 문제에 부디치면 당당히 맞서서 문제를 해결해야 되겠다고 생각했다.



 

  

“지성화의 또 다른 모습”을 보며, 우리말을 생각해 보니 체면 혹은 겉치레라는 단어가 떠오른다. 저자는 이를 경험과 감정의 장벽으로 설명한다. 헤어진 걸 ‘휴지기’라고 쓴다던가, ‘돌아가셨다’를 ‘사망 했습니다’ 그리고 ‘해고 당했어요’를 방면 되었습니다‘라고 쓰는 것처럼 지성화된 말을 사용하는 것은 감정을 드러내는 것이 두려운 사람일 수 있다. 머리로 논리적으로만 살아가면 가슴은 너무 차가워진다. “내가 말하는 진심, 내가 모르는 본심”이라는 책은 이성과 감성을 적절히 써야 삶이 더 풍요로워 질 거라는 걸 배우게 해 주는 책이다.

 

 

  이 책에서 승화는 “자신이나 사회 구성원의 대부분이 받아들이기 힘든 생각이나 기분을 용인할 수 있는 행동으로 바꾸는 것”이라고 한다. 사실 받아들이기 힘든 생각을 용인하는 행동으로 바꾼다는 것은 쉽지 않다. 문학, 음악, 미술, 스포츠 등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훨씬 승화에 가까이 갈 수 있다. 혹은 목표를 세우고 그 목표를 향해 열정을 태울 줄 아는 사람이라면 승화에 다가갈 수 있다. 승화도 방어기제의 일종이다. 그러나 분명 더 나은 삶을 위해 승화가 있어야 함을 이 책은 일러준다.

 

 

 

  이 책에는 다른 사람의 사례가 방어기제의 좋은 모델이 된다. 마음이 힘들다고 느끼는 사람이라면 이 책이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방어기제가 얼마나 많이 나에게 작용을 하는지 그것으로 인해 내가 어떤 상황에 놓이게 되는지 그리고 그런 상황에 놓이면 어떻게 벗어나야 하는지를 알게 될 것이다. 나도 한 때 방어기제가 너무 많이 작용되어 힘들 때가 었었다. 그러나 위의 승화하는 방어기제로 그런 나의 상황을 바꾸었더니 긍정적인 길이 열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