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을 위한 세계경제원론 01 : 경제학 입문 내인생의책 청소년을 위한 세계경제원론 1
바바라 고트프리트 홀랜더 지음, 김시래.유영채 옮김, 이지만 감수 / 내인생의책 / 201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제 경제가 세계를 뒤흔드는 시대다. 시대에 걸맞게 태어나면서부터 경제 교육을 시켜야 할 의무가 생겼다. 뿌리부터 경제를 심으면 세계에 우뚝 서는 나라의 알찬 국민으로 성장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밑바탕이 바로 되어야 성장해서 어떤 고난이 악한 일에 닥쳐도 올바른 판단을 한다. 그러나 세계금융시장의 붕괴이니, 블랙스완이니 하면서도 정작 경제가 뿌리로부터 성장을 했는지에 대해서는 심각하게 논의하지 않는 것 같다. 태어나면서 고등학교 교육과정까지 도덕을 빼놓을 수 없는 과목으로 선택해야 하는 것처럼 경제 과목도 태어나면서부터 배워야 한다. 사실 이러한 생각은 아이들의 의견을 따온 것이다. 언제가 중학교에 들어간 아이가 그랬다. “유태인은 어려서부터 경제교육을 시키는데 우리나라를 보면 아직도 경제교육을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은 것 같아요” 라고 했다. 정작 말을 들으면서도 가정에서는 실질적인 경제교육 보다는 성적이나 숙제나 학교의 방침만 따라가기 벅찼던 것 같다.


“청소년을 위한 세계경제원론 1권”이라는 책을 펼치면 대단원1에 왜 경제학이 중요한지 언급된 부분이 마음에 와 닿는다. “경제학에 대한 지식이 조금이라도 있었다면 사람들은 그때 빚을 내서 집을 사는 결정은 하지 않았을 거예요.”라는 부분이다. 소문대로만 뉴스에 보도 되는 대로만 혹은 눈에 보이는 이익만 생각하고 집에 투자를 한 결과 문든 것이 ‘거품’이었음을 깨닫게 된 내용이다. 경제학적 지식은 먼 앞을 내다보는 지혜를 준다는 말과도 같은 말이다. 이는 경제학은 인생에서 출발점에 이미 형성되어 있어야 하며 경제를 알 나이에서는 몸소 갈고 닦은 경제학이 자신을 이웃을 나라를 튼튼하게 해 주는 결과를 가져 온다고도 이해가 된다. 대단원2에 수요와 공급을 알기 쉽게 설명하고 있고, 대단원3부터 대단원6장까지 돈의 흐름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한다. 대단원7장에 “자유 시장 경제 체제가 한정된 자원을 이용하고 재화와 서비스를 분배하는 가정 최선의 방법을 찾아준다는 아담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에 대해서도 언급이 되어 있다. 지금의 경제와 비교하며 생각해 볼 수 있는 부분이다. 대단원8장에는 국제화 시대에 맞는 용어들을 설명하고 있고, 눈에 띄는 “수입 할당제”란 무엇인지도 설명하고 있다. 한마디로 청소년이 알면 좋을 경제학 입문서다.


경제의 중요성이 부각되어 세계를 뒤흔드는걸 보면서 “청소년을 위한 세계경제원론 1권”이라는 책이 출간 소식에 관심이 갔다. 아직 1권밖에 읽지는 못했지만 청소년이 접근하기 쉽게 경제를 소개하고 있는 책이다. 자주 경제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세계의 정세에 비하면 너무 늦게 경제에 눈을 맞추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내일보다는 빠른 관심이므로 우리 국민들이 뿌리부터 경제교육을 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청소년을 위한 세계경제원론 1권”은 꼭 알아야 될 경제용어들을 청소년들이 알기 쉽게 설명하고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