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신저 블루픽션 (비룡소 청소년 문학선) 56
로이스 로리 지음, 조영학 옮김 / 비룡소 / 201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청소년 고전 “기억 전달자”, “파랑 채집가”에 이은 “메신저”라는 SF소설이라 흥미로웠다. SF소설이지만 그 내용 안에 그려지는 “기억 전달자”는 질서와 안정을 위해 철저하게 통제하는 사회의 위험성에 대해 독자에게 생각할 여지를 준다. 또 “파랑 채집가”는 핵전쟁과 테러의 위험을 안고 사는 현대의 사회가 미래에 어떻게 변할 것인가를 생각해 보게 한다. 강한 메시지를 소설을 통해 전달하는 로이스 로리의 소설은 SF형 소설이라서, 가상세계를 넘나드는 컴퓨터를 다루는 청소년에게 인기를 끄는 것이라 생각한다.

“메신저”에는 숲이 배경이다. 숲이 열리고 닫히는 것을 사람의 마음의 벽이 생기는 것과 같은 원리로 보여주고 있다. 그 이유는 맷티가 숲으로 외출을 하려 할 때 맹인 아저씨가 해준 말을 읽으면 보인다. 맹인 아저씨는 사람들이 숲을 두려워한다고 말한다. 그렇지만 그것은 환각이라고 한다. ‘환각’ 이라는 단어는 바로 사람에게 대응하는 자극 ·대상이 외계에 없음에도 그것이 실재하는 것처럼 지각되는 표상을 가지는 것이라 한다. 결국 마음의 벽이 두려움을 만들어 낸 것이다.

맷티와 함께 사는 맹인 아저씨는 특별한 능력을 지녔다. 무엇이든 볼 수 있는 능력이다. 그래서 “보는 자”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골목골목 다니며 개인들의 행복지수를 측정하고, 울타리, 말뚝과 교차로 하나까지 알고 있고, 목소리와 냄새와 그림자까지 식별한다. 결국 보는 자는 신적인 존재로 보인다. 사람의 눈에는 보이지 않으나 하늘에서 내려다보는 하나님 같은 느낌을 준다. 맷티가 과거의 마을에서 지금의 마을에 정착을 하며 배우는 것은 정직이다. 거짓된 평화가 아닌 정직한 평화를 배운다. 맷티에게는 이상적인 좋은 마을임이 틀림없다. 누구든 그런 이상적인 사회를 꿈꾸며 그런 사회를 만들고 싶어 한다. 맷티처럼 통제된 고통스런 사회를 맛본 사람이라면 더욱 그러하다.

맷티는 그 마을에서 새롭게 태어나며 ‘메신저’가 되어 심부름을 한다. 그러나 나무지배인의 미망인과 조언자가 만나면서 마을 폐쇄에 관한 이야기들이 오갔다. 급기야 마을 모임이 있던 날 마을 사람들은 3주 후에 마을 문을 닫기로 결정했다. 이야기 중간 부분에 자신의 재능에 대한 맷티와 지도자의 이야기는 즐겁게 풀이되어 있다. 맷티에게 재능은 아껴두었다가 가장 필요할 때 써야 한다고 지도자는 말한다. 맷티는 숲으로 여행을 떠난다. 곧 마을이 폐쇄될 예정이니 여행자들은 마을로 오지 말고 발길을 돌리라는 메시지를 숲 길 곳곳에 붙여야 한다. 그 여행길에 맹인 아저씨의 딸을 마을로 데려오기로 맹인 아저씨와 약속을 한다. 맷티가 맹인 아저씨의 딸인 키라를 데리고 숲을 들어서자 숲은 이미 악취가 나고 이상한 기운이 감돈다. 마을은 외부인을 차단하기 위해 담을 쌓으려 하고 있고, 맷티 일행은 숲의 공격을 받으며 마을을 향해 걷고 또 걷는다. 키라의 발이 찢기고 맷티도 온몸이 상처투성이다. 더 이상 나아가지도 못하고 의식을 잃어갈 즈음 지도자가 맷티 일행을 구하러 온다. 지도자는 맷티에게 재능을 사용할 때라고 말한다. 맷티가 자신의 재능을 사용하자 다시 숲은 평온을 되찾고 마을은 평화로워진다. 그리고 맷티는 자신의 재능을 모두 쓰고 죽음을 맞고, 죽어서 자신이 가지고 싶었던 ‘메신저’라는 이름이 아닌 ‘치유자’라는 이름을 얻는다.

비록 SF소설이지만 거래를 한다거나, 벽을 쌓는다는 의미는 현대사회의 모습을 많이 담고 있다. 아차, 하는 사이 그들은 우리들의 미래가 될지도 모른다는 경고 같다. 내용이나 구성이 독특해서 재미있게 읽었다. 숲이 스스로 닫히는 일은 없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며 책 읽기를 끝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