쥐를 잡자 - 제4회 푸른문학상 수상작 푸른도서관 18
임태희 지음 / 푸른책들 / 200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갓 발령을 받아 모든 것이 두렵고 확신이 없는 선생님, 스무살에 미혼모가 되어 지나치게 결벽하고 정서적으로 불안한 엄마, 그 엄마와 살며 너무 일찍 철이 든 진주홍.  

세 사람의 시점에서 같은 사건과 상황이 차례대로 번갈아가며 서술된다. '쥐'는 세 사람이 존재하는 곳에 동시에 존재하며 그들을 고통스럽게 한다. '쥐'는 매우 상징적인데 교실에서 지속적으로 괴롭히는 쥐소리는 주홍이의 사물함에서 난다. 하지만 이 쥐소리는 초임교사로서 불안함을 상징하는데 최선생은 자신감과 확신이 부족해서 쉽사리 주홍이에게 다사거지 못한다. 또 그의 비밀을 감당하기에도 벅찬 두려움을 상징하기도 한다. 나 역시 아이들과 상담을 하다 내가 감당할 수 없는 아이들의 비밀을 알게 될 때 무력감과 혼란스러움에 힘이 들 때가 있었기 때문에 충분히 공감했다.  

  엄마가 냉장고에 있다고 믿는 쥐는 미혼모로서 받았던 상처, 딸에게 쉽게 사랑을 주지 못한 어린 엄마의 불암함을 상징한다. 엄마는 몇 달이 지나도록 냉장고를 열지 못하고 냉장고 안에서 저절로 쥐가 죽기를 바란다.  

  그리고 주홍이가 뱃 속에 있다고 믿는 '쥐'는 바로 이 소설의 핵심적 문제. 주홍이가 가장 두려워하는 것. 생명이다.  결국 주홍은 아이를 지우고 그 죄책감을 견디지 못하고 스스로를 세상에서 지워버린다. 그토록 대면하기 힘들었던, 모두가 대면하기 두려워하며 피했던 쥐의 존재를 가장 먼저 확인하고 맞섰던 것은 가장 여리고 어린 주홍이었다. 실제 존재하는 '쥐'는 오직 주홍이에게 느껴지던 '쥐'였다. 하지만 주홍의 결심은 주위 상황에 의해 강요된 것이었다. 

  주홍의 죽음을 겪고 나서야 비로소 최선생, 엄마도 그들을 괴롭히던 쥐의 존재를 확인하게 된다. 최선생에게는 아이들 앞에 당당히 서고 스스로를 내보이며 비록 그들의 고민이 내가 받아들이기 버거운 것이더라도 누구보다도 아팠을 그 아이들을 보듬을 수 있는 용기였고, 엄마에게는 부인하고 외면하려고 해도 내가 낳은 아이가 나를 살게 했으며 엄마라는 존재를 자각할 용기였다. 그리고 그들은 그렇게 성장하게 된다. 

  어쩌면 한 소녀의 죽음이 어른 어떻게 성장하게 하는가로 읽힐 수도 있겠다. 마지막 주홍이 남긴 유언은 어린 소녀의 글이라기엔 너무나 의젓해 눈물이 나게 한다. 이 소녀를 이토록 철들게 한 상황은 얼마나 냉정했을까. 

  최근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청소년의 성, 미혼모 문제를 다뤘다. 하지만 아이들이 '쥐'라는 상징성을 쉽게 이해하지 못할 수도 있겠다. 중2수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