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민족주의는 죄악인가
권혁범 지음 / 생각의나무 / 200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민족주의는 죄악인가/ 권혁범/ 생각의 나무/ 11,000원
한쪽에서는 굶어 죽어가고 한쪽에서는 남아서 버리는 음식. 음식이 남아서 버리면서도 굶어 죽는 이는 거들떠보지도 않는 다면, 과연 이 둘은 무슨 관계인가.
둘은 싸웠다. 둘의 생각은 너무도 큰 차이를 보여 도저히 마주앉아 이야기할 상황이 안 되었다. 그래서 싸웠다. 상처는 컸다. 집이 부서지고 마당이 불탔으며, 기껏 심어 놓은 온갖 곡식들도 다 타고, 심어 놓은 나무도 죽어버려 민둥산이 되어 버렸다. 건물과 공장도 다 부셔져 완전히 새로 짓지 않으면 안 되다. 둘만 싸운 것이 아니라 둘의 싸움에 그 형들이 끼어들어서 싸움이 커져버렸다. 둘은 후회하지 않았다. 싸움을 끝낸 것이 아니라 잠시 쉬기로 한 것이다.
이 둘은 형제다. 피를 나눈 형제. 그 형제는 각기 자신의 땅을 보유하고 자신만의 체제로 그 땅에 사는 사람들을 다스리고 있다. 그 사람들은 점점 자신의 형제가 누구 이었는지 잊고 있다.
어떤 때에는 서로 같은 옷을 입고 같은 휘장을 휘날리며 한마음이 되기도 한다. 더 큰 나라들을 상대로 싸움을 할 때이다. 하지만 그 외에는 서로 마주보기조차 거부한다. 서로를 헐뜯고 오해하고 욕하기 일쑤다. 그러면서도 서로에게 기대하는 것이 많다. 애증의 관계인가.
형제는 한 ‘민족’이다. 몇 천 년의 역사를 하나로 가지고 있다. 그 역사는 ‘민족’을 규정한다. 그들의 역사 밖의 사람들은 모두 ‘외세’가 된다. ‘우리’만의 색깔이 있다. 그 색깔에 맞지 않는 이들도 문밖에 세운다. 흐름을 따르지 않으면 ‘이지메’ 당한다.
엄밀히 한 민족이면서 서로에게 배타적인 성향을 띠고 있는 것. 그리고 그것의 규정은 국가 통치의 권력에서 유래한다는 것. 이것이 우리가 가진 한 민족에 대한 정의의 모순이다. 모순은 이것에서 그치지 않는다. 금발에 파란눈을 가진 외국인은 우월하고 검은 피부에 검은 머리를 한 이들은 천시한다. 그러면서도 그네 나라의 침략때는 동맹이니 협력이니 하는 단어를 쓰는데 주저하지 않는다.
<민족주의는 죄악인가>의 저자는 민족주의가 악으로 작용하는 현실을 비판한다. ‘민족’이라는 단어의 유래와 의미. 오늘날에 민족주의가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알린다. 언제나 ‘타자’를 적으로 놓는 것으로 작용하는 위험을 가지고 있는 것이 민족주의다. 히틀러의 독일이 수백만의 유태인들을 파리 잡듯이 가스실에 가두어 죽였던 것처럼, 유색외국인에게 험담을 아무렇지도 않게 하며 ‘더럽다’라는 표현을 쓸 수 있는 우리의 동남아인에 대한 적의감이 자연스레 솟아나는 것도 다 태어난 이후 교육을 통해 습득한 민족주의의 영향이라고 볼 수 있다. 이미 다민족화가 진행되는 현실에서 이러한 사고는 갈등과 반목만을 낳을 뿐이다.
이를 좀 더 진보적으로 해석하고 현재의 불합리를 극복하는 길은 무엇일까.
 |
|
|
|
‘민족주의는 죄악인가? 아니다. 다만 현 시점에서 그것의 부정적인 영향력이 클 뿐이다. 지금 21세기의 세계자본주의체제에 대한 고민과 진보적 대안 모색에서 필요한 것은 ’탁선산‘이 인용한 사학자 ’지수걸‘의 말대로 민족주의에 대해 ‘겸손한 장례식’을 치루는 일이다.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