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산을 오르면서 나는 본다
가장 높은 것들은 추운 곳에서
얼음처럼 빛나고
얼어붙은 폭포의 단호한 침묵,
가장 높은 정신은
추운 곳에서 살아 움직이며
허옇게 얼어터진 계곡과 계곡 사이
바위와 바위의 결빙을 노래한다
간밤의 눈이 다 녹아버린 이른 아침,
山頂은
얼음을 그대로 뒤집어 쓴 채
빛을 받들고 있다.
만일 내 영혼이 天上의 누각을 꿈꾸어 왔다면
나는 신이 거주하는 저 天上의 一角을 그리워하리.
가장 높은 정신은 가장 추운 곳을 향하는 법.
저 아래 흐르는 것은 이제부터 결빙하는 것이 아니라
차라리 침묵하는 것.
움직이는 것들도 이제부터는 멈추는 것이 아니라
침묵의 노래가 되어 침묵의 同列에 서는 것.
그러나 한번 잠든 정신은
누군가 지팡이로 후려치지 않는 한
깊은 휴식에서 헤어나지 못하리
하나의 형상 역시
누군가 막대기로 후려치지 않는 한
다른 형상을 취하지 못하리.
육신이란 누더기에 지나지 않는 것
헛된 휴식과 잠 속에서의 방황의 나날들
나의 영혼이
이 침묵 속에서
손뼉소리를 크게 내지 못한다면
어느 형상도 다시 꿈꾸지 않으리
지금은 결빙하는 계절, 밤이 되면
물과 물이 서로 끌어당기며
결빙의 노래를 내 발밑에서 들려주리
여름 내내
제 스스로의 힘에 도취하여
계곡을 올리며 폭포를 타고 내려오는
물줄기들은 얼어붙어 있다
계곡과 계곡 사이 잔뜩 엎드려 있는
얼음 덩어리들은
제 스스로의 힘에 도취해 있다
결빙의 바람이여,
내 핏줄 속으로
회오리 치라.
나의 발끝에서 머리끝까지
나의 전신을
관통하라.
점령하라.
도취하게 하라.
山頂의 새들은
마른 나무 꼭대기 위에서
날개를 접은 채 도취의 시간을 꿈꾸고
열매들은 마른 씨앗 몇 개로 남아
껍데기 속에서 도취하고 있다
여름 내내 빗방울과 입맞추던
뿌리는 얼어붙은 바위 옆에서
흙을 물어뜯으며 제 이빨에 도취하고
바위는 우둔스런 제 무게에 도취하여
스스로 기쁨에 떨고 있다
보라, 바위는 스스로의 무거운 등짐에
스스로 도취하고 있다
허나 하늘은 허공에 바쳐진 무수한 가슴
무수한 가슴들이 消去된 허공으로
무수한 손목들이 촛불을 받치면서
빛의 축복이 쌓인 裸木의 계단을 오르지 않았는가
정결한 씨앗을 품은 불꽃을
天上의 계단마다 하나씩 바치며
나의 시간은 오히려 눈부신 성숙의 무게로 인해
침잠하며 하강하지 않았는가
밤이여 이제 출동명령을 내리라
좀더 가까이 좀더 가까이
나의 핏줄을 나의 뼈를
점령하라, 압도하라
관통하라
한때는 눈비의 형상으로 내게오던 나날의 어둠
한때는 바람의 형상으로 내게오던 나날의 어둠
그리고 다시 한때는 물과 불의 형성으로 오던 나날의 어둠
그 어둠 속에서 헛된 휴식과 오랜 기다림
지치고 지친 자의 불면의 밤을
내 나날의 인력으로 맞이하지 않았던가
어둠의 존재의 處所에 뿌려진 生木의 향기
나의 영혼은 그 향기 속에서 얼마나 적셔두길 갈망해 왔던가
내 영혼이 내 자신의 축복을 주는 휘황한 白夜를
내 얼마나 꿈꾸어 왔는가
육신이란 바람에 굴러가는 헌 누더기에 지나지 않는다
영혼이 그 위를 지그시 내려누르지 않는다면
- 조정권, 산정묘지 1 [26]
.
.
.
>> 접힌 부분 펼치기 >>
겨울, 저물녁의 찬바람이 묻어온 몸으로
조정권의 시를 받아든 오늘,
이제는 멈춰있던 시편들이 올라와 있을 것 같단
생각을 했어요.
저 글줄들을 읽으면서, 올려 두었겠구나...
그랬지요.
그렇게 한줄한줄 옮겨 적고
싶었으니까요...
우리들의 머릿속
그 尾狀核이라는 곳엔
무엇이 간직되어 있을까요...
잘.. 다녀오셨는지요..
결빙의 계절, 지금 그곳엔
아득하기만 하던 흰눈도 만나볼 수 있었을 테고,
하늘빛 닮은 강물도, 그 바람의 느낌도
더 선연했을텐데...
가보았다면..
얼어붙은 바위 위에
알알이 동전들로 박혀있는
오가는 이의 마음들도 보았겠네요....
그리고..
혹, 보셨는지요
겨울 강물 위로, 말없이 어리는
星河의 반짝임도요....
내일은..
아침 산보를 나서볼까 해요...
동네의 작은 야산이죠.
다리가 견뎌줄지.. 모르겠어요..
그래도,
겨울의 處所에서 건네듣는
침묵의 소리도 내 안으로 흘려보고
그속에서 맑은 기운으로 흐르는
한줄기 약수로 마른 입도 축여보고...
<< 펼친 부분 접기 <<